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454

해미님의 [죽음의 책임을 묻자] 에 관련된 글.


처음에 "죽음의 책임을 묻자"라는 제목을 봤을때 어떤 죽음일까 했다. 버지니아의 죽음인지, 여수의 죽음인지, 하얏트 앞의 죽음인지, 이라크에서의 죽음인지, 전기가 끊긴 집에서 촛불을 켜고 자다가 불에 탄 죽음인지... 열어보니 일터에서 일하다가 맞는 죽음이었다. 나는 살아있는데, 나의 주변에는 죽음이 둘러싸고 있구나.


2454


충격죽인 숫자다.
2006년 한국의 일터에서 노동을 하다가 죽음을 맞이한 사람이 2454명이나 된다니.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멀쩡하게 일하고 있던 사람이 일터에서, 내가 고향에 다녀온 어제 7명의 사람이 죽었고, 내가 휴가를 내고 쉰 오늘 7명이 죽고 있고, 내가 출근하게 될 내일 7명이 죽을 것이라는 얘기다. 모레도 글피도 일주일 뒤도,  한달 뒤도 계속 이어질 날들에 화답하듯 죽음의 행렬도 이어질 태세다. 일하다 죽는 노동자가 이렇다면 일하다 다치는 노동자는 도대체 몇이란 말인가?

현장의 조직

노동자의 건강을 의제화 한 행동을 조직하자. 죽임이 자행되는 일터에서 살아있는 노동자들을 조직해야 한다. 동료의 죽음에 대한 안타까움과 분노를, 자신에게 닥칠 미래의 죽음과 부상에 대한 우려를 그냥 잊혀지게 해서는 안된다. 각 사업장과 공정에서 노동자의 건강을 앗아가는 원인을 파악하고 사측에 이의 변화를 촉구하고 거부시 단체 행동으로 맞서야 한다. 노동강도와 작업속도와 성과가 노동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협한다는 것을 일상적으로 선전해야 한다.  기조직 사업장에서는 노동자의 건강이 임금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선전하고, 미조직 사업장에서는 생명권과 건강권을 의제로 노동자를 조직해야 한다. 노동자는 조직됐을때만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노동자와 자본간의 대립에서 그 결과를 결정하는 것은 언제나 힘이었다.


현장의 싸움을 모아서 한 줄기로- 기업살인

각 사업장에서의 싸움만을 통해서는 각 사업장의 노자 역관계에 따라 어느 정도 노동자 건강권을 쟁취하는 사업장이 있는가 하면 계속해서 악화일로를 걷는 사업장도 있을 수 밖에 없다.  각 현장의 싸움의 경험과 성과를 모아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는  기업살인법을 마련하고 사업주에 대한 형사처벌을 가능케 하여 죽음에 대한 실질적인 책임을 질 수 있게끔 하는 요구와 투쟁이 필요하다. 부르주아 의회제 국가인 한국에서 법안을 쟁취하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노동자의 건강문제가 전체 노동자의 문제임을 견지해야 한다.



노동자 건강권 투쟁으로 자본주의에 균열을

자본주의가 시작된 이래 노동자의 죽음은 끊기지 않았고, 따라서 자본주의가 지속되는동안 노동자의 죽음을 멈추게 하기는 근본적으로 힘들것이다. 자본주의를 끝장낸 후 노동자들의 건강권을 온전하게 획득할 수도 있겠지만, 내일 당장 이를 행하기는 객관적 조건도, 주관적 역량도 보시다시피이다. 

반대로, 노동자들의 건강권 쟁취 투쟁을 통해 자본주의의  잔혹한 특성을 폭로하고 자본주의에 맞서는 노동자들을 조직해야 한다. 불황과 위기일때 자본은 노동자에 대한 공격을 강화하며 비정규직 양산과 더불어 노동자들의 죽음 역시 자본의 노동에 대한 공격의 산물이다. 양자가 물러설 수 없는 지경으로 향해 치닫고 있는 지금, 살기 위해 물러설 수 없는 노동자 건강권 투쟁을 통해 자본주의에 균열을 내고 한발 더 나아가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