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최근에 읽은 그리고 읽을 혹은 전혀 안읽을 지도 모를 책 #8

가. [한길 그레이트북스 077] 종교의 본질에 대하여,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민음사, 2006/05

나. [창비시선 266] 평일의 고해, 정영, 창비, 2006/09

울컹거리는 슬픔이 아니라, 머리는 차분하게 가라앉으며 가슴이 맑아지는 좌절로 가득하다. 삶에 대한 비관적 사색 이나 철학이 곧곧에 묻어난다. 대체로는 꿈틀거릴것 같은 감각적 표현이 가득하다. 그 중에 정지(Still)한 영화속 주인공이 희미하게 사라지는 것 같은 끝자락(소멸)의 아픔이 드러나는  

그림 마을

 

며칠째 아무도 지나가지 않은 마을길 위로

낡은 털신을 신고 지게를 멘 늙은 청년이 지나간다

 

교회당은 텅 비었다

 

저수지엔 검은 이끼가 망각처럼 떠 있다

신발이 한짝 떠오를 것도 같았으나

아침마다 미친 여자가 제 몫의 꽃을 던지며 논다

 

탱자가시 울타리에 살던 새들은 떠나고

서울행 기차는 하루에 네 번

내 옅은 병의 차도를 묻듯 간다

 

마을에선 하루에 한명씩 지워진다고 했다

'그림 마을'은 가히 압권이다.

 

다. [창비시선 270] 바람의 사생활, 이병률, 창비, 2006/11

시인에게 '피의 일'은 '당신을 중심으로 돌았던/그 사랑의 경로들이/백년을 죽을 것처럼 살고 다시 백년을 쉬었다가/문득 부닥친 한 목숨에게/뼈가 아프도록 검고 차가운 피를 채워넣는 일'이란다.

 

라. [창비시선 271] 속눈썹이 지르는 비명, 박연준, 창비, 2007/01

마. [문학과지성 시인선 323] 우리는 서로 부르고 있는 것일까, 마종기, 문학과지성사, 2006/08

바. [문학과지성 시인선 329] 새떼를 베끼다, 위선환, 문학과지성사, 2007/01

사. [문학과지성 시인선 330] 나는 나를 묻는다, 이영유, 문학과지성사, 2007/02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