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성혁명론

2007/11/22 00:44

仁이란 무엇이며, 義란 무엇인가?

 

 

맹자는 말한다.

 

   [仁을 해친 者를 도적이라고 하며, 義를 해친 者를 깡패라고 한다. 도적 깡패는 한 필부일 뿐이니, 한 필부인 紂를 죽였단 말은 들어봤어도 임금을 죽였단 말은 못들어봤다.]

 

은나라 말기 서방의 한 제후에 불과했던 周 무왕이 천자인 紂를 정벌한 역성혁명을 맹자가 정당화해 주었다. 이 구절이 유명한 그 대목이다. 유교란 사친, 사군의 교이고, 맹자는 그 유교사상에 있어 원저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인데 이런 말을 했기에 더 유명해졌을 것이다.

 

주 무왕은 왕위를 찬탈하였나요?

  맹자 : 아니다. 주 무왕의 행위는 왕위찬탈이 아니라, 혁명이다.

왕위찬탈과 혁명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맹자 : 하늘이 정해주면 혁명, 하늘이 정해주지 않으면 찬탈.

하늘은 어떤 기준으로 정하는가요?

  맹자 : 민심을 보고 정한다.("天視自我民視"!) 

민심은 무엇인가요? 그 향배는 무엇이 결정하는가요?

  맹자 : 仁, 義가 있는 자를 향한다. 

 

여기까지는 거침없이 대답한 맹자, 그러나 이 질문에도 거침없이 대답할 수 있을까?

 

어떤 사람에게 인과 의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요? 주 무왕에게 인과 의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판단했나요?

만약 있다면, 이렇게 대답할 것 같다.

 

  맹자 : "당대의 물적토대와 이데올로기의 조응이 중요해지는 게 아닐까 하네. 아다시피, 은나라 말기 생산력 수준에서 은나라의 자연주의적 이데올로기로는 더이상 사회를 운영하기 어려웠던 것일세. 거북점이나 치고, 무당에게 정사를 맡기고, 귀신을 과도하게 신뢰하고... 등등, 여론주도층에서 불만이 떠돌았던 것. 역사는 주의 인문주의적 이데올로기를 필요로 했네. 마침 그때 주나라 군주가 무왕이었지."

 

무왕 사후, 주나라는 통치상 협조에 소극적인 은나라 구세력에 대해 모여서 함께 술도 못마시게 하는 무단적 통제를 감행한다. 이런 나라가 무슨 인의를 독점했겠는가. 결국, 인의란 물적토대에 대한 이데올로기의 적합한 조응, 바로 그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닐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7/11/22 00:44 2007/11/22 00:44
http://blog.jinbo.net/rkpaek2/trackback/215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