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나오기

한동안 말을 못했다.

가슴속에 엉킨 말들, 말이 되는 순간 아픈 말들

더 이상 아프지않게 말을 하기가 여전히도 어렵다.

하루에도 수없이 할까 말까, 어찌해야 할까를 갈등했다.

두려웠다. 그리고 두렵다. 

오늘의 투쟁없이 내일의 투쟁이 없다는 것은 맞는 말이지만

오늘의 패배한 투쟁은 내일 한발 더 내딛는 것을 주저하게 만든다.

또 패배할까봐 두렵고, 그 피해의식에 몸과 맘이 발목잡힐까봐 두렵고, 

또 모두를 미워할까봐 두렵다.

 

하지만 더 이상 망설이고 두려워해서는 이길 수가 없다.

사람생명 두고 '하다 안되면 말지'라고 생각하면 죄악이다.

'어쩔 수 없었다'는 평가는 죄악이다.

 

스스로 갇힌 것을 벗어나는 방법은

진심으로 다가가는 것이다. 그리고 진심으로 화답해줄 것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울리게 해야한다.

그런데 어제 나누리가 밉다고 얘기를 했다. 너무 밉다고. 딜레마다. 내 개인과 나누리의 문제가 아니라 나누리의 딜레마다.

 

지난주에 그를 만났다.

감사하게도 그는 꼬집어 얘기를 해줬다.

그의 말을 듣는 내내 울었다.

그의 말에 100%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200%공감한다.

'왜 2004년부터 3년이 넘도록 싸우지 않았느냐, 너는 아직 절실하지 않은것이다'

'누가 대중투쟁을 하고 있느냐'

'그가 너희들을 만나고 운동권의 말만 배워왔더구나'

'너희가 그를 가둬놓고 있다'

 

터진 눈물만큼만이라도

내 맘이 열렸으면 좋겠다.

터진 눈물만큼만이라도

반성하고 한발 내디뎌보자.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