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

만안구 보건소 금연 클리닉은 아직 미래의 일이라, 어찌나 열심히 타바코를 말아댔던지, 한밤중에 말아피는 종이가 떨어져 새벽같이(그래봤자 점심전) 동네 구멍가게에 갔다. 이 동네에서 8개월을 넘게 살면서도 한 번도 들리지 않았던 가게엔 중국계 인듯한 아줌마가 물건을 팔고 있었다. 어린 애들에겐 그것을 팔 수 없다며, 다자고짜 나이를 물어 나를 기쁘게 하더니, 친절하게도 이런저런 이야기를 걸어온다. 익숙한 동아시아 영어 발음이, 야채통에 덩그러니 굴러다니는 마늘 한통이 왠지 친숙해 페이퍼 값을 지불하고도 잠시 가게를 둘러 보다 나왔다.

 

이런느낌이지 않을까? 같은 ethnic boundary에 있다는 것 만으로도, 위안을 주는.

이주가 민족이나 국가의 경계를 넘어 사람들에게 다중적 정체성을 부여하는 한편, 사람들은 공간을 이동해도  끊임없이 자신의 belonging(소속)에 기반한 또 다른 형태의 동질적 그룹을 형성하며 지내고 있다. 문득 참 재밌는 주제라는 생각이 들면서, 학생들과 같은 단기 이주자들이 아닌 다양한 사람들이랑 더 부대끼고 싶다는 느낌이 든다.

 

지지부진한 논문을 쓰는 내내, 운동의 연장선에서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고 싶다는 내 의도가 좀 지리멸렬하게 다가오고 있다. 뭐랄까 욹어 먹는 느낌 같은 것도 들고. 만약 장기간의 연구 주제를 정해야 한다면, 무겁지 않고 발랄하고 재밌는 주제를 정하고 싶다는 생각도 든다. 가령 이주가 연애에 미치는 영향같은 주제, 연애라는 지극히 사적으로 보이는 행위를 성,인종,계급이 얽혀있는 정체성의 정치를 통해 분석해 보는 것. 현장연구는 당연 이주자들의 온갖 연애이야기를 듣는 것이 될 것이다. 재밌겠다, 근데 그들의 삶을 또 어떻게 논리에 가두고 재단한단 말이냐? 이것이 문제로구나. 게다가 이 연구는 왜 하는 것이냔 말이다.차라리 이주 정책과 같이 무덤덤한 얼굴로 냉랭하게 쓰고나서 여기저기 떠들고 다닐 주제가 맘은 편할 것 같다. 내 움직임이 운동에 기여를 해야 한다는, 뭐 그렇고 그런 '대의'을 위한 '의미 부여'에 적합한 것일수도. 하지만 재미가 없을 것 아니냐? 아아아, 도대체 내가 원하는 것은 뭐냔 말이냐?

 

바로 이것이 동네 구멍가게를 갔다오면서 든 생각이다. 나 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