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술 - 2008/07/25 01:06

 

나폴레옹의 전쟁금언(The Military Maxims of Napoleon)



 1. 국경선(Frontiers)


   국가간의 경계선은 큰 강이나 산맥, 또는 사막으로 이루어진다. 군대의 진군을 가로막는 이러한 모든 장애물들 중에서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것은 사막이고, 그 다음은 산맥이며, 그리고 세 번째는 강이다.



 2. 전쟁 계획(Plan of Campaign)


  전쟁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적의 모든 행동을 예측하고 대책을 강구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전쟁계획은 주변 상황과 지휘관의 재능, 부대의 성격, 그리고 작전지역 특성에 따라 언제나 수정될 수 있어야 한다.


 3. 부대의 양익(Flanks)


  한 나라를 정복하기 위해서 군대는 그 양익을 강이나 산맥 등 중립지대와 대규모 자연 장애물에 의존해야만 한다. 때때로 일익 또는 양익이 모두 노출되는 경우도 있다.


  첫째, 양익이 자연의 보호를 받고 있는 경우 지휘관은 오직 정면이 돌파되지 않도록 하면 된다. 둘째, 일익만이 보호받을 경우 그는 여기에 의존해야 한다. 셋째, 양익이 모두 노출되어 있을 경우 그는 중앙 대형에만 의존해야 하며, 이때 지휘 아래 있는 부대를 절대로 분리시키지 말아야 한다. 왜냐하면 두 개의 부대로 분리되어 양익이 노출될 경우, 보호해야 할 측면은 모두 4개가 되며, 3개 부대의 양익이 노출될 경우, 6개의 측면이 취약해지기 때문이다.


  위에서 인용된 첫번째의 경우, 작전선은 좌우측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든 진행될 수 있다. 두 번째의 경우에는 보호되는 날개(翼) 방향으로만 진행되어야 하며, 세 번재의 경우에는 중앙에 위치한 부대와 수직 방향으로 진출해야 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경우에 사용될 군수품과 예비 물자들을 집적하고 호송차량대를 구성하며 전진기지를 구성하고, 또한 작전선을 단축하기 위한 방어 거점을 구축해야 하는데, 부대의 진출 방향을 따라 이러한 부대 방호를 위한 각종 진지는 최소한 5-6일의 행군거리마다 설치해야 한다.


 4. 부대의 집결(Junction of Forces)


  병력 집중을 위해 정해진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 별도의 작전선을 유지한 채 2-3개 군으로 나뉘어 기동할 경우, 그 합류지점은 반드시 적 근처를 피해서 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적은 전투력을 집중하여 우군의 집결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우군을 각개격파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명확한 전쟁 목표와 난관에 대한 대비(Forces to be oportioned to Difficulties)


  모든 전쟁은 하나의 명확한 목표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확고한 원칙과 전술적 법칙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쟁은 모든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규모의 군대에 의해 치러져야 한다.



 6. 후퇴의 위험(Dangers of Retreat)


  전쟁의 시작 단계에서 진군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심사숙고해야 할 문제이다. 그러나 일단 공세로 나가기로 결정했으면, 마지막 순간까지 밀어붙여야 한다. 아무리 숙달된 기동능력을 가졌더라도 후퇴는 방상 부대의 사기를 약화시키게 된다. 왜냐하면 아군은 승리의 기회를 상실하게 되는 반면에 적은 승리의 기회를 얻게 되기 때문이다. 전투에서의 손실은 아군이나 적군이나 거의 비슷하지만, 후퇴에서는 오직 아군만이 손실을 입게 된다. 이와 같은 다른 입장 때문에 후퇴는 가장 치열한 전투보다도 더 많은 병력과 장비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7. 유리한 진지 위치(Favourable Positions)


  부대는 주야를 불문하고 항상 모든 저항요소를 제거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따라서 병사는 항상 무기와 탄약을 완전하게 준비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보병은 포병, 기병 및 지휘관들과 분리되어 있어서는 안 되며, 각 사단급 부대들은 항상 상호 지원하거나 지원받을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부대는 정지, 야영 또는 행군 중이거나 간에 전쟁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장악할 수 있도록 항상 유리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부대측면은 잘 엄호되어야 하며, 모든 포병부대는 충분한 시계를 확보하여 최고의 이점을 가지고 전투할 수 있도록 위치해 있어야 하낟. 부대가 종대 대형으로 행군 중일 때에는 전방과 좌우 측방에 엄호 부대를 두어 경계해야 하며, 이때 경계부대는 유사시 본대가 전투대형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어야 한다.



 8. 불리한 진지 위치(Unfavourable Positions)


  지휘관은 전투 당일에 이르러서도 자주 자신에게 자문해보아야 한다. 만일 적군이 당장 나의 정면이나 우측 또는 좌측에 나타나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만일 이러한 질문에 답하는 데 어떤 어려움을 느낀다면, 그는 위치선정을 잘못한 것이며, 즉시 이를 수정해야 한다.



 9. 부대의 전투력과 기동속도(Strength of an Army)


  부대의 전투력은 역학적인 힘과 같아서 그 속도와 부대의 크기를 곱한 것으로 나타난다. 빠른 진군 속도는 부대의 사기를 배가시키며, 모든 승리의 기회를 증대시킨다.



10. 열세한 전투력의 만회(Inferior Army)


  부대의 전투력이 병력이나 기병 및 포병에서 열세할 때에는 통상적인 작전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력의 열세는 부대 이동의 속도로 만회해야 한다. 포병의 부족은 기동에 의해, 그리고 기병이 열세는 진지 선정으로 만회해야 한다. 특히 그러한 환경에서는 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11. 병참선(Line of Communications)


  통신수단도 없이 서로 격리된 채 작전을 할 경우 항상 순식간에 패배를 자초하는 실책을 범하게 된다.

  소규모 분견대는 오직 첫날의 작전 명령만을 수령하고 떠나게 되며, 다음날의 작전은 본대에서 일어난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분견대는 명령을 기다리다가 위기에 대응할 시간을 놓치거나, 또는 명령도 없이 운명에 맡긴 채 작전에 임하게 되기 쉽다. 그러므로 부대는 항상 적군이 아무런 제재도 받지 않고 우군 부대 사이를 통과할 수 없도록 상호 연결된 대형을 유지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특별한 이유로 인해 이 원칙이 지켜지지 않을 경우, 각 분견대는 작전에서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 각 분견대는 장차 집결을 위해 약속된 지점으로 이동해야 하는데, 이때 각 부대는 새로운 명령을 기다리지 말고 지체없이 전진해야 하며, 모든 수단을 강구하여 부대가 각개격파당하는 것을 방지해야 된다.



12. 작전선(Line of Operations)


  1개 군은 단일 작전선만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신중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최악의 사태를 제외하고는 절대 포기되어서는 안 된다.



13. 부대간 거리(Distance between Corps)


  기동 중인 부대 상호간에 허용 가능한 거리는 위치나 주변 환경, 그리고 고려중인 목표에 따라 다르다.



14. 산악전(Mountain Warfare)


  산악지역에 위치한 진지들은 대부분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공격하는 것 자체가 위험하다. 이런 전투방식의 특성은 적 스스로가 후방의 다른 진지를 택하거나 아군을 공격하기 위해 산을 내려오도록 하여 교전 없이 현 진지를 포기하도록 유도하면서, 적의 측방이나 후미지역의 진지를 점령하는 것이다. 산악지구 전투에서 공격은 항상 불리하다. 개활지에서의 공격전에서도 최고의 비책은 바로 방어전투와 공격하도록 적을 유인하는 데 있다.



15. 모험정신과 용기(Enterprise and Bravery)


  전투를 하는 지휘관은 무엇보다도 부대의 영광과 명예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부하의 안전과 보호는 그 다음 문제일 뿐이다. 후자는 전자로부터 초래되는 빛나는 무공과 용기 속에 거의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후퇴를 할 경우에는 부대의 명예를 제외하더라도 두 번의 전투에서 입는 것과 비슷한 손실을 입게 된다. 그러나 용기있는 자들이 그들의 군기와 함께 발견되는 한 후퇴한다고 해서 결코 실망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법으로 우리는 승리를 얻게 되며, 승리를 얻는 것은 가치 있는 것이다.



16. 정면 공격(Frontal Attack)


  아군이 그렇게 하기를 적군이 바라고 있는 일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 이유는 단 한 가지, 적이 그것을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적이 사전에 연구하고 정찰한 전투지역은 반드시 피해야 하며, 적이 요새화하고 참호를 구축해놓은 곳에서는 두 배 이상의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 원칙으로부터 이끌어낼 수 있는 한 가지 결론은 방향을 우회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적 진지는 절대로 정면 공격하지 말라는 것이다.



17. 참호 구축(Entrenching)


  행군시나 부대기동 도중에 우세한 적과 전투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매일 야간시에 참호를 구축하고 방어에 유리한 지형을 점령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수한 전술에 의지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주어진 자연적 지형만으로는 우세한 적을 방어하기에 충분치 않다.



18. 적의 우유부단함 이용(Profiting by Enemy's Indecision)


  보통의 재능을 지닌 지휘관은 불리한 지형에 처하거나 우세한 적에게 기습을 받았을 경우 철수를 통해 부대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러나 뛰어난 지휘관은 용기로써 모든 악조건을 극복하고 적을 공격하기 위해 과감히 전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그는 적을 당황케 하며, 적이 아군의 기동에 대해 우유부단함을 보일 때 이러한 약점을 이용할 줄 아는 능수능란한 지휘관이라면 승리를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적어도 낮에는 기동하고 밤에는 스스로 참호를 구축하거나 더 나은 진지로 철수해야 한다. 이처럼 결정적인 행동을 통해 그는 모든 군사적 우월성의 최고 본질인 부대의 명예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9. 수세로부터 공세로의 전환(Transition from Defensive to Offensive)


  방어에서 공세로의 전환은 전쟁에서 가장 미묘한 작전 중의 하나이다.



20. 작전선 변경(Changing the Line of Operation)


  작전선을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은 하나의 원칙이다. 그러나 필요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것을 변경시키는 것 역시 전쟁에서 가장 숙달을 필요로 하는 작전의 하나이다. 작전선을 능숙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군은 적을 기만할 수 있다. 적은 어디가 아군의 후미인지 또는 공격 가능한 취약점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21. 이동중 호송대책(Marching with Convoys)


  군대가 공성포열이나 대규모 환자 호송대를 운용할 경우 병참기지(또는 집결지)까지의 행군대열은 연장될 수밖에 없다.



22. 진지내 부대 배치(Encamping in Position)


  진지를 구축하는 기술은 곧 진지에서 전투하기 위해 부대를 배치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포병은 각각의 특성에 맞게 배치되어야 하며, 적의 눈에 띄지 않으며 장비를 회전시키기 쉬운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 그리고 대포는 가능한 한 주변지역을 엄호하고 통제할 수 있는 지역에 배치해야 한다.



23. 포위된 진지(Position surrounded)


  아군이 점령하고 있는 진지를 적이 포위하기 위해 위협할 때에는 아군의 전투력을 즉시 집결시켜 공세 행동으로 적을 위협하라. 이러한 기동을 통해 아군은 적의 기도를 방해하고, 필요시 아군이 철수할 때에도 적이 아군의 측익을 위협할 수 없도록 방어할 수 있다.



24. 숙영지 편성(Cantonments)


  특히 적의 기습이 가능한 경우 숙영지는 적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가장 안전한 지역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아군은 적이 공격해오기 전에 전투력을 집결시킬 시간적 여유를 갖게 될 것이다.



25. 측면 공격(Flanking Attack)


  상호 전투중인 2개 부대 중 한 부대는 다리를 건너 철수해야 하는 반면 다른 부대는 원형 접촉선을 유지하고 있을 경우, 후자가 모든 이점을 누리게 된다. 이때야말로 지휘관은 과감한 작전으로 적에게 결정타를 가하며 적의 측익을 공격해야 한다. 승리는 그의 손 안에 들어 있는 것이다.



26. 부대간의 통신대책(Corps without Communication)


  통신수단도 없이 각각 개별행동을 해야 하는 부대들이 개방된 통신수단을 보유하고 있는 중앙 집중적인 부대에 대항해 싸우는 것은 모든 원칙에 위배되는 일이다.



27. 퇴각중인 부대의 재집결(Junction of Retreation Columns)


  원래의 진지에서 축출된 부대는 적으로부터 방해받지 않도록 충분히 떨어진 후방지역에서 항상 재집결해야 한다. 이때 예상할 수 있는 최대의 불행은 부대가 집결되기도 전에 각개격파되는 것이다.



28. 야간 전투력 분산의 위험(Detaching Part of Force at Night)


  전투가 있기 전 저녁에 부대의 전투력을 분산시켜서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적이 후퇴화거나 또는 공세로 전환하여 아군의 진지를 비참하게 유린할 정도의 대규모 증원군이 도착하는 등 밤 사이에 상황이 변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29. 전투력 집중(fight with the Maximum Force)


  전투를 결심했다면 먼저 적 전투력을 집결시켜라. 아무것도 분산시키지 말라. 단 하나의 대대가 때때로 그 날의 승패를 결정짓는다.



30. 부대 측면이 노출된 기동(Flank March)


  좁은 통로를 이용해 지나가야만 하는 산기슭에 진을 치고 있는 적군 앞으로 아군이 측면을 노출시킨 채 행군하는 것만큼 전술원칙에 모순된 것은 없다.



31. 적의 반격기회 박탈(Leave Nothing to Chance)


  아군이 큰 전투를 하기로 결심했을 때, 특히 우수한 전투능력을 지닌 적과 싸워야 할 경우에는 가능한 성공의 기회를 스스로 남겨두어야 한다(항상 완전히 이겼다고 생각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아직 무기와 보급품들이 남아 있는 가운데서도 어쩔 수 없이 아군이 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패자에게 슬픔이 있을진저!"



32. 전위부대의 구성(Composition of Advanced Guard)


  전위부대의 임무는 단지 전진하거나 후퇴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기동하는 데 있다. 전위부대는 중기병 예비대와 보병부대의 지원을 받는 경기병으로 편성되어야 하며, 또한 포병이 이들을 지원해야 한다. 전위부대는 엄선된 정예부대와 지휘관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장교와 병사들은 각각 능력과 전술 지식에 의해 선발되어야 한다. 훈련이 부족한 부대는 전위부대에게는 오직 방해가 될 뿐이다.



33. 협곡 통과(Entering a Defile)


  협곡을 통과하게 되었을 때, 아군이 협곡 반대편 출구를 장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군수품이나 포병화기를 통과시키는 것은 전쟁 상식에 모순된다. 후퇴할 경우 대포는 우군의 기동을 방해하며, 결국은 상실되고 만다. 이러한 것들은 아군이 통로를 완전히 장악할 때까지 충분한 경계부대와 함께 진지에 남아 있어야 한다.



34. 부대간 간격(Interval between Corps)


  만일 적을 함정으로 유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면 전투 대형으로 전개된 양 부대 사이에로 적이 침투할 수 있는 간격을 남겨 놓아서는 안된다는 것은 하나의 원칙이다.



35. 진지간 상호 지원(Encampments Mutually Definsive)


  우군 내의 주둔지들은 항상 유사시 상호 지원할 수 있도록 편성되어야 한다.



36. 도하작전(1)(Forcing a River(1))


  적군이 교두보를 장악하고 있고 또한 강에 의해 엄호되고 있는 경우에는 정면에서 공격하지 말라. 이럴 경우 아군은 분할되고 방향전환시 노출된다. 적이 자신의 측면을 노출시키지 않고 오직 아군의 선두 1개 부대만을 공격할 수 있도록 부대별로 종대대형을 유지하며 강으로 접근하라. 또한 그 사이 아군의 경보병으로 하여금 제방을 점령하게 하라. 그리고 도하 시점이 되었다고 판단될 때, 일제히 달려들어 다리를 가설하라. 적을 기만하기 위해서는 항상 선두 제대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두고 도하 지점을 택해야 한다는 사실을 유의해야 한다.



37. 도하작전(2)(Forcing a River(2))


  아군이 강 건너편 제방을 통제할 수 있는 지역을 점령한 순간부터 도하 작전은 매우 쉬워진다. 특히 그 지역에 포병을 위치시킬 수 있을 만큼 충분한 공간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강폭이 600야드 이상일 경우에는 이러한 이점이 감소된다. 이군 포도탄(한 발이 9개의 작은 탄환으로 이루어진 옛날 포탄)의 사거리가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도하를 저지하는 적 부대가 엄호를 받으면서 제방에 일렬로 늘어서서 방어하기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먼저 도하하여 다리를 확보하도록 임무를 부여받은 척탄병들이 반대편에 도착하자마자 적의 화력에 의해 궤멸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적의 포대는 아군 상륙지점으로부터 400야드 거리에 있기 때문에 상당한 파괴효과를 지니면서도 아군의 포대로부터는 1천 야드 이상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혀 피해를 입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군만이 포병 사용의 이점을 갖게 된다. 또한 만일 아군이 적을 기습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거나, 강 중간에 있는 섬에 의해 엄호받지 못할 경우, 또는 적에게 대응사격을 할 수 있는 강의 굴곡 부분의 이점을 살리지 못할 경우에는 도하가 불가능해진다. 이 경우 강 중간에 있는 섬이나 굴곡지역은 자연적인 교두보 역할을 하게 되며, 공격측에게는 포병 운용상의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강 폭이 120 야드 미만일 경우, 그리고 강 건너편에 아군진지가 있을 경우 도하하는 부대는 아군 포병의 보호를 받게 된다. 또한 강의 굴곡지역이 거의 없다 하더라도 적은 아군의 교량가설을 방해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가장 노련한 적 지휘관이라면 아군측의 도하 계획을 알게 되었을 때 즉시 도하 지점으로 부대를 투입한 후 아군 포병화력으로부터 600-800야드 내외의 거리를 두면서 교두보지역에 반원 형태로 부대를 배치함으로써 아군의 도하를 저지해야 할 것이다.



38. 도하부대 저지(Defending Passage of a River)


  도하장비를 갖춘 적의 도하를 저지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다. 강을 방어하는 부대의 목표가 적의 포위공격을 막는 것이라면, 그리고 적의 도하를 저지하는 것이 역부족이라는 점을 깨달앗다면 지휘관은 자신이 방어해야 할 강과 자신이 통제하고자 하는 지역 사이에 있는 중간 지역에 적보다 먼저 도달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39. 교두보 확보(Têtes de Pont)


  1645년 전역기간에 튀렌은 필립스부르크 전방에서 매우 강력한 적의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이곳에는 라인 강을 건너는 다리가 없었기 때문에 그는 강과 자신의 진지 사이에 잇는 공간의 이점을 이용했다. 이것은 진지뿐만 아니라 교두보까지 구축했다는 점에서 공병장교들에게 교훈이 되고 있다. 아군의 진지에 적이 도달하기 전에 부대가 준비하고 재편할 수 있도록 진지와 강 사이에는 상당한 공간이 남아 있어야 안전하다. 위의 경우 추격부대에게 쫓겨서 마인츠로 철수하면 부대는 반드시 위험에 처하게 되어 있었다. 왜냐하면 다리를 통과하는 데만 하루 이상이 걸리고, 봉쇄당하지 않고 남아 있기에는 카셀의 방어선이 너무나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진지와 라인 강 사이에 400야드의 거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중요한 것은 큰 강 전방에는 모두 교두보가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후퇴하는 부대를 엄호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가 학교에서 배웠듯이 상대적으로 짧은 통로를 지닌 소규모의 강에서만큼은 공격이나 방어시를 막론하고 교두보가 매우 유용하다.



40. 요새의 역할(Fortresses)


  요새는 방어전에서와 마찬가지로 공격전에서도 유용하다. 요새 자체가 적을 포획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은 의기양양하던 군대를 지연시키고 당황케 하며, 약화시키거나 괴롭히는 데 매우 훌륭한 수단임에 틀림없다.



41. 포위작전의 성공 비결(Ensuring Success of Siege)


  포위전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오직 두 가지 방법밖에 없다. 첫째, 공간방어를 위해 투입된 적군을 외곽으로 격퇴하고 나머지 적들도 산맥이나 대규모 강과 같은 자연 장애물 밖으로 몰아내야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포위부대인 아군 참호진지가 완성되어 자리잡을 때까지 감시부대를 자여낭애물 후사면에 배치해야 한다.

  둘째, 구원군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투의 위험 없이 지역을 장악하기를 원한다면 작전기간 동안 소요될 탄약 및 식량 등과 함께 포위작전에 필요한 모든 장비와 보급품들을 처음부터 구비해야 한다. 또한 그 지역의 고지대와 숲, 소택지, 강물 등 자연조건을 이용한 포위 참호선이 필요하다. 더 이상 아군의 병참 보급선 방어에 신경 쓸 필요가 없어졌다면 이제는 오직 구원군의 공격을 막기만 하면 된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감시부대가 배치되어야 하는데, 적이 몰래 침투했을 경우에도 적의 측면과 배후를 공격할 수 있도록 적을 절대로 놓치지 말고 효과적으로 접근을 차단하는 것이 이 부대의 임무이다. 포위 참호선을 적절히 이용함으로써 포위부대의 일부는 접근하는 적을 방어하는 데 투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같은 맥락에서 적군의 면전에서 한 장소를 포위해야 할 경우에도 포위 참호선을 이용하여 엄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만일 포위병력의 숫자가 구원군과 상대하기에 충분하다면(요새 수비대 병력의 4배 이상을 포위병력으로 남겨놓은 후에도) 그곳으로부터 하루 행군 거리 이상을 추격해도 괜찮다. 그러나 포위병력을 제공하고 난 병력이 열세하다면 필요시 급히 돌아오기 위해 또는 자신들이 위기에 빠졌을 때 지원을 받기 위해서라도 멀리까지 추격해서는 안 된다. 또한 만일 포위병력과 감시병력을 모두 합해도 구원군 부대와 유사한 수준일 경우에는 포위 참호선에서 머물며 최대한 공사와 포위 공격작전을 서둘러야 한다.



42. 포위 참호선(Lines of Circumvallation)


  푀키에레(1648-1711)는 포위군이 참호선 안에서 구원군의 공격을 기다려서는 안 되며, 나아가 적을 공격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는 잘못 알고 있는 것이다. 예외없는 전쟁 원칙은 없다. 포위 참호선에서 적을 기다리는 원칙을 무시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43. 야전 축성(Field Fortification)


  요새 주위의 포위 참호선과 공병기술 지원의 필요성을 부정하는 사람들은 결코 해롭지 않으며 거의 항상 유용하고 때로는 필수불가결한 비전투 병과를 스스로 무용지물로 만드는 것이다. 동시에 야전 축성원칙을 좀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축성과학은 중요한 전술의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고대 이후 발전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어떤 면에서는 2천 년 전보다 더 퇴보한 면도 없지 않다. 공병장교들은 이 분야를 완벽하게 발전시키고 다른 분야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44. 기습에 대한 대비(Protection against a Surprise)


  만일 여건상 수비병력이 병원과 군수 보급기지 등을 포함한 요새화된 도시를 방어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적의 기습에 대비하여 요새를 지킬 수 있도록 모든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



45. 요새 방어작전(Defence of a Fortress)


  요새화된 지역만이 수비대를 방호하고 일정 기간 동안 적군을 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방어가 무너지게 되면 수비대는 항복하게 된다. 모든 문명국가들은 이 점에 동의하고 있다. 물론 항복하기 전에 수비대의 사령관이 수행할 의무가 있는 방어 노력의 적절한 수준에 대해서는 그 동안 논란이 있어왔다. 그런데 빌라르와 같은 일부 장군들은 수비대 사령관은 결코 항복해서는 안 되며, 최후의 순간에 요새를 폭파하고 야간을 이용해 적의 포위망을 뚫고 탈출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요새를 폭파시킬 수 있는 곳에서 사령관은 항상 수비대를 철수시켜 생명을 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행동노선을 따른 지휘관들은 통상적으로 자신들이 거느렸던 수비대 병력의 4분의 3을 구해냈다.



46. 명예로운 항복(1)(Honourable Capitulation(1))


  요새전의 핵심은 어쩔 수 없이 패배하게 된 수비대의 철수에 상당한 가치를 부여하는데 있다. 이런 원칙에서 볼 때, 적의 공격에 용감하게 저항했던 수비대에게는 항상 명예로운 조건부 투항 기회를 주는 것이 현명한 태도이다.



47. 병과간 상호 지원 및 협동(Mutual Support of all Arms)


  보병과 기병 그리고 포병은 각각 독립적으로는 아무런 전투력도 발휘할 수 없다. 그러므로 숙영지를 편성할 대에는 기습시 그들이 서로 지원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한다.



48. 보병 전투대형(Infantry Foumation)


  정렬했을 대 보병은 항상 2열 횡대 대형을 유지해야 한다. 왜냐하면 소총의 사정 거리가 이 대형에서만 효력사격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제3열에서의 사격은 불확실할 뿐만 아니라 전열에게 위험을 가져온다. 2열로 보병을 정렬시킬 때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종대열마다 뒤에 예비병력을 1명씩 배치햐야 하며, 예비병력은 각 횡대 대열로부터 25보 뒤에 위치해야 한다.



49. 기병의 보호(Protection of Cavalry)


  소부대에서 보병과 기병을 혼성 편성하는 것은 잘못된 착상으로 많은 문제점을 수반한다. 즉 기병의 행동은 활력을 잃게 되며, 모든 기동에 족쇄가 채워지게 될 뿐만 아니라 그 역동성도 파괴된다. 보병의 경우에도 기병이 최초 기동을 하자마자 무지원 상태로 고립되기 때문에 전투력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기병을 보호하는 최고의 방법은 그 측방을 보호해주는 것이다.



50. 기병의 돌격(Cavalry Charges)


  기병의 돌격은 전투 초기와 중간 그리고 마지막 단계 어느 때나 매우 유용하다. 기병 돌격은 항상 가능하지만 가능하다면 특히 전방에서 전투중인 보병부대의 측면에서 운용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51. 기병의 추격Cavalry Pursuit)


  승리의 여세를 몰아 전과를 확대하고 적의 재편성을 방지하는 것은 기병의 임무이다.



52. 기마 포병(Horse Artillery)


  기병은 자체 방어를 위한 화력이 없고 오직 기병도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기병에게는 보병보다 포병이 더 중요하다. 기병과 포병이 상호 의존하도록 하는 것이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는 방법이다. 그러므로 기병은 공격시, 집결시 또는 진지 배치시를 불문하고 반드시 포병과 연합해야 한다.



53. 포병 탄약 보급(Complement of Ammunition)


  포병의 대부분은 이동중이거나 진지 내에 있거나를 막론하고 보병 또는 기병사단들과 함께 위치해 있어야 하며, 나머지 포병은 예비로 있어야 한다. 모든 포병 화기는 포차에 적재되어 있는 예비량을 제외하고 각 화기당 300발의 포탄이 필요하다. 이것은 2회의 전투를 위해 필요한 양이다.



54. 포병의 위치(Position of Artillery)


  포병은 가장 유리한 지역에 위치해야 하며, 가능한 한 대포의 안전이 위협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병과 보병진지 앞까지 추진되어야 한다. 야전포대는 포상 위치에서 주변 개활지를 관측할 수 있어야 하며 좌우로 사격을 제한받지 않고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사거리를 화보해야 한다.



55. 야전에서의 보급(Supplies on the March)


  야전에서 마초와 식량 및 병사들의 필수품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이 있을 경우 지휘관은 결코 부대를 숙영지 안에 자리하게 해서는 안 된다.



56. 훈련시 애국심 고취(Patriotism an effective Aid to Training)


  훌륭한 지휘관, 잘 조직된 체제, 양호한 교육, 그리고 효율적인 제도에 의한 강한 훈련 등은 싸우고자 하는 명분과 관계 없이 훌륭한 군대를 만드는 요소이다. 동시에 애국심과 열정적인 정신력, 그리고 조국에 대한 명예심 등은 젊은 병사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



57. 군대의 조직(Organization)


  조직과 군사체제를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국가가 군대를 조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58. 군인의 제1 자격요건(First Qualification of a Soldier)


  군인의 첫번째 자격조건은 극심한 피로와 궁핍한 여건에서도 견딜 수 있는 인내심이다. 용기는 그 다음 요소일 뿐이다. 고난과 궁핍 그리고 격핍이야말로 군인들에게는 최고의 학교인 것이다.



59. 군인의 휴대장비(Contents of a Knapsack)


  소총, 탄약, 배낭, 식량(최소한 4일분) 그리고 참호 구축용 공구는 병사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다섯 가지 물건이다. 배낭은 가능하면 가장 작은 크기로 줄여도 좋지만, 단 병사들은 항상 그것을 휴대하고 있어야 한다.



60. 군인의 소속감 고취(Attaching the Soldier to his Colours)


  병사들이 자신의 부대에 애착을 가질 수 있도록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노병에게 깊은 배려와 존경을 보여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마찬가지로 군인의 보수는 복무 기간과 비례하여 책정되어야 한다. 노병에게 신병보다 더 나은 대접을 해주지 않는 것이야말로 불공정의 극치이다.



61. 전장에서의 연설)Speeches of the Battlefield)


  병사들이 용감하게 싸워야 하는 전투 순간에 하는 연설은 주목받지 못한다. 노병들은 거의 듣지 않고 신병들은 첫 총성이 울리는 순간 그 내용을 잊어버리고 만다. 담화나 열변이 효과를 거두는 것은 전역기간 동안, 즉 편견을 시정해주거나 잘못된 보고를 정정해주는 경우, 또는 진지 내의 사기를 유지해주고 야영을 위한 물자 보급과 오락을 제공하는 경우이다. 이런 이유로 인쇄된 형태의 일일명령이 효과적이다.



62. 야영(Bivouacking)


  텐트는 건강에 좋지 않다. 병사들에게는 발 끝에 모닥불을 피워놓고 잘 수 있는 야영이 가장 좋다. 불은 병사들이 누워 있는 땅바닥을 빠르게 말려주고, 약간의 널빤지나 짚은 병사들을 바람으로부터 보호해줄 수 있다.

  필기하고 지도를 보며 토의도 해야 하는 고급장교들에게는 텐트가 유용하다. 그러므로 장교들에게는 텐트가 지급되어야 하나, 그 안에서 자지 않도록 해야 한다. 텐트는 항상 적 참모들의 관측 대상이다. 그들은 아군의 인원과 점령하고 있는 지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한편 2-3개의 줄로 늘어서서 야영하는 부대는 구름과 연기 사이로 겨우 식별할 수 있을 뿐이며, 모닥불의 숫자는 셀 수 없게 된다.



63. 포로로부터의 정보획득(Information from Prisoners)


  포로들에게서 얻은 정보는 신중하게 검토한 후 실제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 병사는 자기가 속한 중대급 이상의 문제는 거의 알지 못하며, 장교 역시 자기 연대가 속한 사단의 위치와 기동에 관한 것 외에는 거의 정보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적 군단의 위치나 적 진지에 관한 포로의 진술이 아군 전위부대의 보고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지휘관은 절대 포로에게서 얻은 정보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



64. 지휘권 통일(Undivided Command)


  통일된 지휘만큼 전쟁에서 중요한 것은 없다. 따라서 단일 적군을 상대로 전쟁을 수행할 경우에는 오직 단일 기지에서만 작전하며 단일 지휘관에 의해서 지휘되고 단일 기지에서만 작전하는 단일 군이 필요하다.



65. 작전회의(Coundils of War)


  일정하게 열리는 긴 토의나 작전회의는 언제나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 즉 전쟁에서 가장 소심한 최악의 수단이나 가장 신중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으로 끝나게 마련이다. 결단력 있는 용기야말로 지휘관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유일한 지혜이다.



66. 지휘관의 판단(Genneral's Judgement)


  전쟁에서 지휘관은 혼자서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자기 자신의 뛰어난 재능과 결단력으로 모든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67. 필사즉생(Death or Victory)


  요새의 수비대에 소속되어 있지 않고 다른 상황에 놓여 있을 때, 특정한 조건을 전제로 장군이나 장교들에게 항복 여부에 관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위험을 초래하는 일이다. 비겁한 자, 나약한 자, 심지어는 잘못된 용기를 가진 자들에게 군의 문호를 개방하는 것은 한 국가 내에서 모든 군사적 기풍을 말살하는 결과를 낳는다. 커다란 위험은 특별한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 부대가 완강하게 저항할수록 성공의 기회는 많아진다. 불가능한 것처럼 보였던 얼마나 많은 일들이 필사즉생의 정신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성취되어 왔는가?



68. 불명예스러운 항복(Dishonourable Capitulation)


  만일 장교들이 어쩔 수 없는 상황 때문이든 적과의 밀약에 의해서든, 또는 단지 군의 이익에 반하기 위해서든간에 야전에서 조건부로 항복하는 것이 허용된다면, 어떤 군주나 국가 또는 장군도 안전할 수가 없다. 혼자서만 위험으로부터 도피하여 전우들을 커다란 위험에 몰아넣는 것은 가장 비겁한 행위이다. 그런 행동을 한 사람은 해외추방은 물론 공민권을 박탈하고 극형에 처해 마땅하다. 자신의 목숨만을 구하기 위해 항복한 모든 장군과 장교들, 그리고 병사들은 모두 처단되어야 한다. 항복 명령을 내리는 자나 따르는 자들은 모두 반역자이므로 중형을 받아 마땅하다.



69. 명예로운 항복(2)(Honourable Capitulation(2))


  전쟁포로가 되어서도 명예를 더럽히지 않을 유일한 방법이 있다. 혼자 포로가 되거나, 완전히 고립되거나, 더 이상 무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이다. 이 경우 명예가 아무것도 줄 수 없기 때문에 아무런 조건도 없으므로 우리는 어쩔 수 없는 불가피성 때문에 지는 것이다.



70. 점령지에서의 지휘관의 행동(conduct of General in Conquered Country)


  점령지에서 지휘관의 행위는 난관으로 가득 차 있다. 만일 모질게 대하면 사람들을 자극하게 되어 적대자들의 숫자가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관대하게 대하면 전쟁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문제점이나 고통도 참을 수 없도록 만들게 된다. 승리한 지휘관은 만일 소요를 진정시키고 사전에 예방하기를 원한다면 엄격함과 공정함 그리고 온화함을 골고루 구사할 줄 알아야 한다.



71. 반역자Traitors)


  자기 나라에서 봉직하면서 얻은 지식을 국경이나 도시에서 외국인에게 넘겨줌으로써 이익을 꾀하는 지휘관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다. 이것은 종교, 도덕 그리고 명예 등의 모든 원칙에서 비난받아 마땅한 범죄행위이다.



72. 복종과 거부(개인적 판단)(Obedience versus Private Judgement)


  지휘관에게는 군주와 관계 장관의 비호를 받아 자신의 실책을 변명할 권리가 없다. 왜냐하면 그들은 모두 작전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실제 상황을 잘 모르거나 거의 무지한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제가 있다고 판단한 계획을 그대로 실행에 옮기는 모든 지휘관은 그에 따른 책임을 져야만 한다. 계획을 수정해야 할 이유들을 보고하고, 잘못된 계획을 그대로 실천에 옮김으로써 군대를 망치는 꼭두각시가 되느니 차라리 사임해버리는 것이 도리일 것이다. 패배할 것을 확신하면서도 상관의 명령이라는 이유만으로 전투에 임하는 지휘관 역시 똑같이 비난받아 마땅하다.

  바로 앞에 언급된 경우에서 지휘관은 복종을 거부해야 한다. 왜냐하면 (허용될 수 있는)무조건적인 복종이란 오직 작전 당시 현장에 있는 상관에 의해 내려진 부대 지휘에 한한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실상을 파악하고 있다면 상관은 자기의 명령을 수행할 사람에게 알고 있는 범위 내에서 필요한 설명을 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만일 지휘관이 군주로부터 적에게 져도 좋으니 나가 싸우라고 하는 단호한 명령을 받았다면 그는 여기에 복종해야 하는가? 아니다. 만일 지휘관이 그러한 명령의 의미나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다면 명령대로 따라야 하겠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그것을 거부해야 한다.



73. 건전한 판단(Sound Judgement)


  지휘관의 첫번째 자격요건은 냉정한 두뇌, 즉 사건과 사물을 있는 그대로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머리이다. 그는 좋은 소식에 우쭐대지 말아야 하며, 나쁜 소식에 의기소침해서도 안된다.

  그날 하루 동안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받은 다양한 인상들은 마음속에서 있어야 할 제 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정확하게 분류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 추리하고 판단하는 작업은 다양한 인상들을 중요성에 따라 비교하고 고찰하는 데 의존해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매사를 판단할 때 고도로 채색된 매개들을 통해, 즉 자기만의 독특한 시각을 통해 사물을 바라볼 정도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특이하게 형성된 경우가 있다. 그들은 모든 사소한 경우에도 일일이 신경을 쓰고 지나치게 관심을 쏟는다. 그러나 그런 사람들이 가진 지식이나 재능, 또는 용기와 기타 장점들이 무엇이든 간에, 이런 특성은 군 지휘나 대규모 군사작전 지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74. 참모장(Chief of the staff)


  지형을 철저회 숙지하고 능숙하게 정찰 활동을 실시할 줄 아는 능력, 신속히 명령 전달 여부를 확인 감독하는 능력, 그리고 가장 복잡한 기동계획을 간단 명료하게 몇 마디 말로 쉽게 입안하는 능력, 이런 것들이 바로 참모장으로 발탁되는 장교의 특징적인 자격요건들이다.



75. 포병 지휘관(Commander of Artillery)


  포병 지휘관은 다른 제 병과의 일반적인 원칙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는 다른 부대에게 무기와 탄약을 지원할 임무를 띠고 있기 때문이다. 전방지역에서 포병 지휘관은 다른 지휘관들과 이러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군의 모든 움직임을 파악하며, 이러한 정보에 의존해서 포병 탄약고의 위치를 선정하고 관리해야 한다.



76. 전초대장의 임무(Duties of Officer in Command of Advanced Posts)


  모든 종류의 계곡통로와 여울목에 대한 철저한 정찰과 믿을 만한 첨병(향도) 배치, 교구 목사와 우체국장에게 자문 구하기, 주민들과의 신속한 우호관계 정립, 첩자 파견, 공문서 및 개인서신 차단과 내용 번역 및 분석, 상급지휘관 전방 방문시 모든 질문에 대한 답변 준비. 훌륭한 전초 부대장은 위와 같은 요건들을 갖추어야 한다.



77. 위대한 장군들의 지휘 원칙(Leading Principles of Famous Generals)


  최고 지휘관은 자신의 경험과 재능에 의해 좌우된다. 공병 또는 포병장교의 전술과 자기발전, 임무 그리고 기타 사항에 관한 지식들은 교범을 통해 학습될 수 있지만, 전략 지식은 오직 자신의 경험과 과거 위대한 장군들의 전역을 연구함으로써만 습득될 수 있는 것이다.

  알렉산더, 한니발 그리고 카이사르와 마찬가지로 구스타부스 아돌프스, 튀렌, 프리드리히 대왕 등은 모두 동일한 원칙 아래 움직였다. 부대의 단결 유지, 취약부분 엄호, 주요 지점에 대한 신속한 장악 등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

  이러한 원칙들이야말로 승리를 이끌어내고, 아군의 위력에 대한 공포심을 자극하여 단번에 충성심을 유지하고 복종심을 확보할 수 있는 제 원칙들이다.



78. 유명 전사 연구(Study of Famous Campaigns)


  알렉산더, 하니발, 카이사르, 구스타부스 아돌프스, 튀렌, 왜젠, 그리고 프리드리히 대왕의 전사를 몇 번이고 음미하며 정독하라. 그리고 그들을 본받으라. 이것만이 위대한 명장이 되는 유일한 길이자, 전쟁술의 비밀을 터득하는 방법이다. 당신 자신의 재능은 이 방법에 의해 더욱 계발되고 연마될 것이며, 나아가 당신은 이처럼 위대한 지휘관들이 제시한 원칙에 위배되는 다른 모든 금언들을 거부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07/25 01:06 2008/07/25 01:06
TAG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soist/trackback/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