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070123 웹 연구 + ...

분야별로 분담한 연구 영역 중에서 나는 웹, 그 중에서도 공동체 부분을 집필해야 한다.

대략의 줄거리는 잡아놓았었지만,
그걸 토대로 실제로 '언니네'를 샅샅이 보고,
다른 연구 결과들을 보니,
뭔가 간단한 것 같기도 하고 오히려 더 해야 할 것 같기도 하고...

일단, 논리적이고 분석적인 글쓰기 보다는, 언니네 운영진 스타일의 쉽고 솔직한 글쓰기로 나가야겠다는 결심.


 



본격적으로 언니네를 뒤지기 시작하자, 훌륭한 내용들을 많이 찾을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스스로의 고민과 성찰의 과정을 나누고 피드백을 받아가는 태도랄까, 그런 것이 훌륭하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저도 웹진을 몇 년 째 만들고 있기는 하지만, 요즘 여성주의 웹진들을 보면서, 참여, 성찰, 상호 존중, 피드백 등의 개념이 참 새롭게 느껴집니다. 왜 여성주의적 가치를 말할 때는 그런 단어들을 정말 중요하게 사용하면서, 스스로 "여성주의 활동"으로 규정하지 않았던 일에는 별로 그런 긴장감을 가지지 못했었는지, 한심하기도 하구요... (뭐, 한편으론, 자꾸 그런 식으로 자기 이야기를 하는 언니네 웹 편집팀 같은 사람들이 별로 좋아보이지 않았던 점도 있기는 했었지만요. 잘났군... 뻔뻔하군... 하는? 참, 이래저래, 저열한 사고였죠.)

 

각설하고,

언니네 웹진 (현재는 채널넷)을 통해 들여다본 언니네 운영주체들의 고민의 흔적입니다.

대부분 짧고 가볍지만, 현장의 고민과 역사가 보이는 완소칼럼들입니다.

(특히 사업체에서 단체로의 전환기에 나온 29호와 공동체의 규범을 정하는 과정이 드러나는 33호가 좋은데요, 편집진(?)이 이러한 형태로 의제를 제기하면, 덧글을 달거나 각자의 자방을 통해 의견을 모아나가는 참여의 과정이, 언니네의 경우는 정말 적극적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진보넷에서 진보 블로그를 만들고 새로운 기능들을 붙이고, 현재 플로그를 구상하는 과정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을텐데요, 어떻게 같고 어떻게 다른지가 궁금하기도 합니다.)

 

[24호] 사이버 세상에 접속하라!_새로운 가능성을 위해 (2001. 7. 18)

2. 여성 커뮤니티, 희망을 가져본다 (강소현 / , aurachy@hanmail.net)

4. 나에게 있어 사이버 공간의 의미/lesbian &..feminist로서 내 공간을 찾다 (베틀어린 /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모임 회원 , childjin@hanmail.net)

 

[29호]절반의 성공한 꿈, 절반의 보류된 꿈 (2001. 12. 7)

1. 언니네에 관한 특집을 준비하며 (min / 언니네 편집위원 , rainymint@hanmail.net)

2. 여성주의 매체로서의 언니네 (마루 / 언니네 편집장 , waterloo@orgio.net)

3. '여성주의로 먹고살기'에 관한 한 보고서 (zoze / 언니네 대표 혹은 말로만 CEO , chora@freechal.com)

4. 여성주의로 숨쉬는 ‘마을’ - 커뮤니티로서의 언니네. (이다 / 언니네 전 기획팀장 , idafight@orgio.net)

 

[33호]언니네, 오겡끼데스까? (2002. 7. 6)

1. 땐싸의 인터넷 일지 (땐싸 / , indisec@dreamwiz.com)

2. "뻘소리하는 놈들, 다 짤라버릴까?" (zoze / , zozeda@hotmail.com) * 이어지는 글이 없음

6. 언니네 안에서의 약속과 전략 (호빵 / , sidestory@hotmail.com)

 

덧붙여, 다른 웹진들에 관한 몇 가지 내용들

 

[30호]2002 임오(壬午)년 여성주의 Side-Streaming Story  (2002. 1. 24)

4. 여성주의의 지역주의, 월장

5. 줌마네, 아줌마의 힘



언니네에서 나왔던 글들과 이전에 나온 연구 논문 등을 보면서 느낀 건, 대부분 비슷한 고민 속에서 비슷한 지점을 짚어내고 있다는 점인데요, 문제는 어떻게 이걸 잘 보이게 그려내느냐일 것이고, 더 중요한 건, 이렇게 그려낸 것을 어떻게 다른 사람들과 다시 소통할거냐, 특히 우리 보고서의 경우는, 전체 미디어운동 진영 안에서 의미를 만들어 낼 것이냐 하는 지점일 것 같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