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공공성] 김세훈 외, 아르코북스, 2008

지역미디어센터에 대한 강의를 하나 의뢰받았다.

마침 내 고민과도 맞닿아있기에 그러자고 했다.

하지만, 내가 계획했던 일 만으로도 정신이 없는 이 때 다른 주제의 고민을 정리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도 덕분에 공부를 좀 했다.

 

공공성에 대해서, 이제까지 내가 읽었던 글들 중 가장 명확하고 유용했던 책.

 

-----------------------------------------------------------------------------------------------------------------------------

 

[공공성] 김세훈 외, 아르코북스, 2008

 

 

1. 공공성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김세훈

 

23p

공공성 개념에 대한 <위로부터의 접근 top-down approach>방식은 공공성이 규율이나 질서, 통합과 같은 개념들과 쌍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는 데 비해, <아래로부터의 접근 bottom-up approach> 방식에서는 자율, 비판, 성찰 등과 유사한 의미로 이해되기도 한다. 특히 위로부터의 접근이 주로 국가나 정부에 의한 접근 방식으로 활용되는 데 비해, 아래로부터의 접근은 시민 사회 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하는 접근 방식의 유형을 나타낸다.(Bennett, 1988:194)

 

 

25~26p

<공적인 것>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개념으로서 출발하는 공공성은, 그것이 지시하는 내용이 단순히 공적인 것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공적인 것이 지향하는 <가치>나 그러한 가치를 추구하는 활동이 이루어지는 <영역>, 그리고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M주체>의 측면과도 긴밀히 연관된다. 즉 공공성은 사적인 삶 및 사적인 관심과 구분되는 것으로서의 공적인 삶 및 관심 영역을 지시하고, 상호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사적 관심과는 구된 것으로서의 공공적 가치를 지향하며, 공공성을 구현하는 매개체로서의 공적인 주체를 상정한다는 점에서 그 개념의 특징을 보여준다.

 

 

 

28p~

공공영역 : 이성을 활용하는 공중의 비판적 판단을 불러일으키는영역. 사적인 영역에 머물러 있던 개인이 공공의 영역으로 나오는 매개 공간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편으로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사적 관심의 연속성을 유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개인의 관심을 자연스럽게 공공적 관심으로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공공 영역과 관련한 논의에서 특징적인 것은 공공 영역이 무엇보다 자유롭게 합리적인 의사소통 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상호 간에 의사소통을 지향하는 합리성, 곧 <의사소통 합리성 communicative rationality>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

흥미로운 것은 공공 영역이 공공적 일에 대한 관심을 매개로 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적 영역에 속해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적인 관심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고 공공의 영역으로 그 관심을 확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사적인 관심이 공적인 관심으로 전환하게 된 데에는 문화 예술 영역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

 

이처럼 문학 및 예술 작품을 둘러싼 자유로운 담론은 종종 사적 영역 안에 문화 예술을 매개로 한 비판적 담론 영역이 형성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는데, 이렇게 사적 영역 안에 형성된 <문예적 공공 영역>은 문화 에술뿐만 아니라 정치와 같은 일반 사회 문제 영역들까지 그 관심 영역을 확장하면서 정치적 공공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

공공 영역에 대한 논의를 체계화한 하버마스에 따르면, 공공 영역은 <문예 공공 영역 Public sphere in the world of letters>과 <정치 공공 영역 Public sphere in the political realm>으로 구분된다. 문예 공공 영역은 문학 예술 활동을 중심으로 사사로운 개인들이 공론의 장에 참여하는 공간이다. 문학 예술 분야에 대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통해 개인들은 점차 자신의 주체성을 체험하게 되고 사사로운 영역을 넘어서는 공공의 문제들로까지 관심의 영역을 확장시킨다. 정치 공공 영역은 이렇게 문예 공공 영역에서의 활동을 통해 공공의 문제에 대한 논의 경험을 갖게된 개인들이 더욱 확장된 영역들로까지 논의의 범위를 넓힘으로써 여론과 같은 비판 공공 담론을 형성하는 공간으로 이해된다. (하버마스)

 

 

 

 

36p.

이러한 접근은 공공 영역이 국가 권력에 대하여 단지 비판적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자유주의 통치 체제 아래 국가가 공공 영역에 개입하는 것은, 국가의 직접 통치를 위한 것이 아니라 시민 개개인이 도덕에 기초한 자기 통제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국가가 시민 사회에 대해 직접 통치를 하게 되는 데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

...

이러한 점에서 공공 영역은 비판적 담론의 공간인 동시에 시민적 역량을 육성하는 교육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재규정된다. 곧, 공공 영역의 특성에서 비롯되는 공공성에 대한 주장은 비판적 성찰에 대한 주장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에의 주장으로 이해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