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폭력대화'에 해당되는 글 8건

  1. 추천도서 2008/12/06
  2. 일상생활에서 NVC 적용하기 2008/12/06
  3. 감사표현 2008/12/06
  4. 자기공감 2008/12/06
  5. 내가 듣기 힘든 말 2008/12/06
  6. 공감을 방해하는 10가지 장애물 2008/12/06
  7. 관찰, 느낌, 욕구 2008/12/06
  8. NVC 대화방법 2008/12/06

추천도서

1. 사탄의 체제와 예수의 비폭력; 지배체제속의 악령들에 대한 분별과 저항, 월터 윙크/ 한국기독교연구소

2.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토르E.프랑크/고요아침

3. 휴; 쉬고 싶지만 쉬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웨인 멀러/도솔

4. 할아버지의 축복& 할아버지의 기도, 레이첼 나오미 레멘/문예출판사

5. 성배와 칼; 여성의 관점으로 본 인류의 역사, 인류의 미래, 리안 아이슬러/비채

6. 낯선 땅 이방인, 로버트A 하인리인/곤조

7. 너와 나/대한기독교서회

8. 페다고지, 파울로 프레이리/그린비

9. 자유로부터의 도피, 에리히 프롬/홍신

10. 사랑의 기술, 에리히 프롬/문예출판사

11. 아이는 왜 실패하는가, 존홀트 / 아침이슬

12. 마음의 숲을 거닐다, 잭 콘필드/ 한언

13. 존재의 심리학, 아브라함 매슬로 / 문예 출판사

14. 나는 바다가 되리라, R 타고르/세창

15. 사랑에 머무는 비결 / 보이스

16. 왜 나는 내가 누구인지를 당신에게 말하기를 두려워하는가/두림

17. 춤추는 신/대한기독교서회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58 2008/12/06 10:58

일상생활에서 NVC 적용하기

말할 때

 

1. 내면의 자기 강요를 욕구로 바꾸기

2. 모든 대화에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말을 쓴다

3. 비판을 욕구로 바꾸기

4. 비난을 욕구로 바꾸기

5. 강요하는 대신 부탁하기

6. 대화가 유연히 흐르도록 연결 부탁하기

 

 

들을 때

 

1. 해결방법을 찾기 전에 상대방을 공감으로 충분히 들어주기

2. 상대방이 어떤 식으로 말을 하던 자신의 충족되었거나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표현하는 것이지,

그것은 나에 관한 말이 아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54 2008/12/06 10:54

감사표현

칭찬과 감사의 차이

 

* 칭찬, 잘했다 도 '못했다'와 같은 평가. 내면이 드러나지 않고 유대가 형성되지 않는다

 

칭찬받을 때 겸손한 태도

 

* 거짓겸손; 겸손하지 않으면 거만한 걸로 생각해서

* 교환의식; 그냥 주지도 그냥 받지도 못한다

 

* 사람들은 잘못된 2%에 집중하는 습관이 있다. 사람은 감사받는 순간의 민망함보다 감사에 목말라 있다.

 

 * 그 사람은 내 부탁을 거절한 것이 아니라 다른 욕구를 돌보고 있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49 2008/12/06 10:49

자기공감

* 명료함

* 자기연민, 이해 ; 비난, 후회 뒤의 욕구, 그 행동뒤의 욕구

* 다르게 할 수 있는 힘 -> 다른 선택( 두 욕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선택)

 

 

1. 관찰

2. 나를 비난하는 말

3. 충족되지 않은 욕구

   3-1. 찾은 욕구에 머물기

   3-2. 느낌 보기

4. 충족하려고 했던 욕구 -> 자기 용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45 2008/12/06 10:45

내가 듣기 힘든 말

자칼; 자극이 되는 말(상대방의 말)이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1. 자칼 귀 안 ; 변명, 잘보이려 하기

상대의 판단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기자신의 탓한다(자책감, 우울증)

 

2. 자칼 귀 밖; 공격, 복수, 폭력정당화

상대의 말을 반박하고 비난한다(분노)

 

기린; 우리 느낌은 우리의 충족되지 못한 욕구에 있음을 기억한다. 내가 듣기 힘든 말 뒤에 나와 상대방의 욕구에 초점을 둔다

 

3. 기린 귀 안

자신의 느낌과 욕구에 의식의 불을 비춘다

 

4. 기린 귀 밖

상대의 비난을 비난으로 듣는 것이 아니라 상대의 고통을 표현하는 것뿐이라고 받아들이면서 상대의 느낌과 욕구에 초점을 맞춘다

 

* 누구도 타인에게 상처 줄 수 없다. 듣는 사람이 받는 거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43 2008/12/06 10:43

공감을 방해하는 10가지 장애물

1. 충고하기, 수리공의 모자쓰기

2. 분석, 진단, 설명하기

3. 바로잡기

4. 위로하기(상대방을 안심시켜 내가 편해지기)

5. 방향 돌리기; 내 얘기 들려주기, 내 공감이 필요함

6. 감정의 흐름을 차단, 전환하기; 고통, 느낌을 대면하기 힘듦

7. 동정, 애처로워하기 ; 연결을 차단

8. 조사, 심문하기 ; 이해하고 싶은 욕구, 잘잘못을 찾아내는데 초점

9. 평가, 교육하기

10. 한방에 딱 자르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39 2008/12/06 10:39

관찰, 느낌, 욕구

관찰

* 평가는 반격, 변명을 불러온다

* 관찰을 잘하면 문제가 문제가 아닌 경우가 많다

* 관찰은 듣는 상대방도 그대로 동의할 수 있는 것

* 낙인은 진짜 관찰을 못하게 한다

 

느낌

* 내 느낌은 남 탓이 아니고, 남이 책임질 수 없다. 나의 느낌은 나의 욕구 때문이다. 내 느낌의 책임은 내 욕구에 있다.

* 느낌은 욕구를 알리는 신호

 

욕구

* 욕구는 보편적이고, 누구에게나 중요한 것

* 수단, 방법은 사람마다 다른 것

* 의도는 읽힌다. 그대로 전해진다.

* 욕구를 보고 있으면 시야가 넓어진다. 선택의 폭이 다양해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36 2008/12/06 10:36

NVC 대화방법

대화 방법

 

시작 >

관찰 VS 판단, 비판, 비교

 

연결>

느낌 VS 생각

욕구 VS 수단, 방법

 

행동>

부탁 VS 강요

구체적 VS 모호

긍정 VS 부정

의문, 물어보기 VS 명령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12/06 10:31 2008/12/06 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