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새만금

새만금 특별법 제정 저지 1인시위 사진과 기사

아...배급팀장, 백만년 만에 글씁니다.

이번 국회에서 새만금 개발에 터보엔진을 달아줄 특별법이 통과될 위기에 놓여 있습니다.
그래서 지난 일요일부터 국회 앞에서 1인시위를 하고 있습니다.
오늘 아침 프레시안에 긴급기고를 해서 메인기사로 실렸네요.
일인시위를 함께 했던 강길감독님 사진도 나왔구요.

 

*이미지 클릭하시면 관련 기사가 뜹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EIDF2007 제4회 EBS국제다큐멘터리페스티벌에서 상영,방영합니다.

EIDF2007 제4회 EBS국제다큐멘터리페스티벌에서 상영,방영합니다.

 

출처 : EIDF2007 http://www.eidf.org/2007_fall/sub03/sub03_01_detail.html?prog_no=326

 

 
살기 위하여-어부로 살고 싶다 To Live - Save Our Saemankum
   
 
감독 :
  이강길 Kang-Gil Lee
제작국가 :
  대한민국
제작년도 :   2006
러닝타임 :
  75'
원작언어 :   한국어
방영일시 :
  2007-08-30 20:20
상영장소 및 시간 :
  - EBS Space 2007-08-31 14:00   
 
 
     
 
새만금 간척사업이 갯벌과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던 사람들의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쫓아간다. 정부와의 힘겹고 지난한 싸움에 지친 계화도 내부에서도 반목이 일어난다. 갯벌을 유지하길 원하는 어민들과 금전적 보상을 원하는 다른 주민들. 정부는 누구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지 않고 오히려 이들의 분열을 조장한다.
 
전라도의 한 평범한 갯벌을 가리키던 ‘새만금’은 더 이상 단순한 지명이 아니다. 개발과 보전, 인간과 환경, 정치와 이념, 그 모든 것들이 만나는 그 곳에, 바로 문제의 땅, 새만금이 있다. 그리고 거기에는, 물길이 흐르던 그곳이 누군가의 바람대로 광활한 육지가 된다 하더라도 여전히 어부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사람들이 있다. 7년이라는 시간 동안 새만금에 머물렀던 카메라는 그 모든 이념들을 뛰어넘어 ‘삶’의 관점에서 ‘사람’들의 모습을 담는다. 삶에 대한 의지는 같았지만, 다양한 이해 관계 속에서 공동의식이 점점 무너져가는 모습은 보는 이의 마음을 참으로 씁쓸하게 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부로 남겠다며 배를 타고 나서고, 또 자신들을 막아서는 해경을 향해 절규하는 어머니들의 모습은, 누군가의 삶에서 자신의 정체성이 갖는 의미가 얼마나 간절한지를 새삼 깨닫게 해준다. 입을 굳게 닫아버린 조개를 보며 몸무게가 반이나 줄었다며, 살이 쪽 말라버렸다며 자식 마냥 걱정하던 한 어머니의 얼굴이 아직도 마음을 짠하게 한다. 갯벌과 함께 호흡하며 살아와 갯벌 없는 삶은 상상할 수 없는 어머니들, 그런 어부(漁婦)들의 이야기가 바로 이 작품이 아닐까 한다. 문득 궁금하다. 다음 세대의 아이들에게 이 새만금의 역사는 어떻게 평가 될까. (황정원)
 
 
 
  프로그램 상영 혹은 방송 시청 후 20자 평을 올려주세요.
주소와 연락처를 모두 입력하신 분에 한하여 추첨을 통해 20명에게 eidf 메인 카탈로그를 선물로 보내드립니다.
■ 행사 기간: 2007년 8월 27일 ~2007년 9월 3일
■ 발표일 : 2007년 9월 5일 오후 5시 EIDF 홈페이지 공지사항




   
★★ ★★★ ★★★★ ★★★★★




이혜영 늘~이런 프로그램으로 도배(?)된 티비를 보고싶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다큐플러스 인 나다] 에서 상영합니다.

[다큐플러스 인 나다] 에서 상영합니다.

 

매주 수요일 저녁, 대학로 하이퍼텍나다 극장에서 [다큐플러스 인 나다]  라는 프로그램으로 좋은 다큐멘터리들이 상영되고 있습니다. 2회차인 내일은 <살기 위하여>가 상영됩니다. 많이들 보러 와주세요.

 

출처 : 한국독립영화협회 홈페이지 http://www.kifv.org 

 

[다큐플러스 인 나다] 살기 위하여_이강길 감독
2007-07-09 13:13:03 조회 : 49, 추천 : 1



○ 일시 : 2007.07.11.Wed. p.m. 08:20
○ 장소 : 하이퍼텍나다 (동숭아트센터)
○ 주최 : 한국독립영화협회, 영화사 진진
○ 후원 : 영화진흥위원회 아트플러스 시네마 네트워크 | ㈜동숭아트센터
○ 장소 : 하이퍼텍나다 (동숭아트센터 내 1층)
○ 예매 및 문의 : 02-766-3390 (내선 293,294)

매주 수요일, 나를  Up시켜주는 더하기 하나  
다큐플러스 인 나다 DOCUplus in NADA



 


다큐멘터리 영화, 좋아하시나요?

다큐멘터리를 방송에서 만나는 일은 어렵지 않지만, 다큐멘터리 ‘영화’를 극장에서 만나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큐멘터리 영화는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렵사리 혹은 우연한 기회에 다큐멘터리 영화를 보신 많은 분들은 이 기회를 통해 그 동안 놓쳐왔던 많은 것들을 느끼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말씀하십니다. 다큐멘터리 영화가 세상의 다른 진실을 보여준다고 힘주어 강조하진 않겠습니다. 다만 우리는 함께 영화를 보며, 이야기와 느낌을 나누고 싶습니다.

다큐멘터리 정기 상영회 ❝다큐플러스 인 나다❞가 시작됩니다. 이 자리에서 다큐멘터리 영화를 사랑하는 많은 분들은 물론 함께 느끼고 대화할 많은 분들을 만나길 기대합니다.




살기 위하여 - 어부로 살고 싶다
감독 이강길, 2006, DV, color, 75min.

시놉시스
"사람들 고문하고, 괴롭히고 그러면 신문이나 방송에도 나오지.. 갯벌에 저 많은 생명을 물이 없어 죽어가는 걸 보면 견딜 수 없어...“

새만금간첩사업 기간 동안 갯벌과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던 사람들에게 카메라는 그들의 삶과 인식에 어떤 변화들을 가져왔는지를 천천히 쫓아간다. 정부와의 힘겹고 지난한  싸움 중에 계화도 사람들 내부에도 서서히 대응방식과 해결에 대한 경계들이 감지되고 또한 반목으로 이어질 조짐들이 나타난다.
살기 위한 인식은 같았지만, 갯벌에서 조개를 캐며 살아가던 어머님들과 배를 가진 선주들의 목적은 대책위를 이루는 사람들과 조금씩 갈라진다. 카메라는 주민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함께했던, 힘을 보태주었다고 생각했던 명망가와 환경단체들에게도 다가간다. 대법원의 팔결 이후, 사회적 비난을 비껴 갈 단체의 변명만을 이야기 한다. 이제는 더 이상 도움이 되지 못하고 모든 몫을 주민에게 돌린다.


연출의도
바로 나 자신과 이 영화를 보는 모든 이들에게 같은 질문들을 던져보고자 한다.
이들의 평화로웠던 공동체가 서서히 파괴되어지는 것, 이렇게 만든 것은 무엇이며,
누구일까? 아무도 갯벌에 관심조차 없을 때, 그곳에서 묵묵히 살았던 어민들의 공동체가 누구를 위한 개발에 파괴당하는 것일까! 이것은 비단 새만금만의 문제가 아닐 것이다.
 
STAFF
시나리오, 제작 : 이강길
프로듀서 : 이헌명
촬영 : 이강길
편집 : 이강길
녹음 : 허훈
음악 : 허훈
 
Filmography
2002 어부로 살고 싶다.-새만금간척 사업을 반대하는 사람들-/제작,연출
     *제 6회 서울인권영화제 상영
2004 어부로 살고 싶다.-새만금 핵폐기장을 낳다-/제작,연출
     *제 5회 광주 비엔날레 전시작 *부안영화제 폐막작
2005 이라크에서 총을 버려라/제작, 연출

Festival & Awards
*인디포럼 2007
*수원 인권 영화제 개막작
*부안영화제 상영
*광주인권영화제 상영

Blog
어부로 살고 싶다 http://blog.jinbo.net/cameraeye/
다큐플러스 인 나다 http://docuplus.tistory.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학생행동연대의 환경현장활동에서 상영회를 합니다.

학생행동연대의 환경현장활동에서 상영회를 합니다.

 

6월 26일 화요일   오후2시 상영/환경현장활동대 무주

6월 30일 토요일   오후1시 상영/환경현장활동대 군산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한겨레]나는 카메라 든 어부 ‘새만금 땀내’가 주연

2007 제5회 대구평화영화제에서 상영됩니다.

2007 제5회 대구평화영화제에서 상영됩니다.

 

일시 : 7월 7일 7시

장소 : 대구교육대학교 제1강의동 1층 미디어실

 

자세한 내용이 아직 공개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공개되는 대로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작년까지의 영화제 내용은 대구평화영화제 까페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한 '흑빛청소년문화센터' 상영회 풍경

고한 '흑빛청소년문화센터' 상영회 풍경

고한 '흑빛청소년문화센터' 전경

꼬마관객들

 

어부로살고싶다 카드 인기폭발

 

사회자 박일헌과 이강길 감독

 

관객질문

 

조촐한 상영회장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상영회 안내

상영회 안내

 

<살기 위하여-어부로 살고 싶다>는 상영회를 통해 관객과 만나고 있습니다.
상영회를 열고 싶은 분들(모임,단체,학교 등)은 상영회를 신청해 주세요.
일정이 허락하는 한 <감독과의 대화> 시간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청은 블로그의 "방명록"에 남겨 주시거나 "프로듀서"에게 하시면 됩니다.
신청하실 때는 상영을 원하는 날짜, 상영지역, 상영장소, 예상인원, 담당자 연락처(이메일,전화번호)를 보내 주세요.
그러면 상영회와 관련된 좀 더 자세한 사항을 알려 드립니다.

 

# 문의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