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제안

from 맑글터 2013/11/18 22:02

여전히 이 블로그에 들르는 분들이 있나 의심스럽긴 하지만;; 일단 광고글 하나 올려봅니다.

 

제가 지금부터 1년 정도 박사논문 현장연구를 위해 한국에 머물게 됐습니다. 그 기간 동안 지인 한분과 함께 "상호성과 도덕경제"를 주제로 다음의 텍스트들을 읽어나갈 생각입니다. 세미나 운영방식에 밝혀두었지만, 12월부터 2주에 한 번씩 진행할 예정이고 텍스트의 분량이나 내용은 주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구성원 간의 합의하에 조정가능합니다. 함께 하시는 분이 지방에 계셔서 기본적으로 학기 중에는 주말에, 방학 중에는 주중에 세미나를 진행하는게 좋을 것 같지만, 시간 및 장소도 합의를 통해 조정하겠습니다.

 

영어 텍스트가 많아 부담을 느끼는 분도 있으실 듯 한데, 세미나라기보다는 독서모임에 가까워 따로 자세한 발제는 하지 않고 각자 짧은 단상을 담은 메모를 적어와 토론하는 형식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첫 모임을 잡고, 이후 일정을 결정할 생각이니, 혹시 질문이 있거나 관심있으신 분은 chasm99@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혹시 주변에 이 주제에 관심을 가질만한 사람을 아신다면 추천도 해주시구요. 세미나 취지와 커리 목록은 밑에 첨부합니다.

 

 

Beyond Reciprocity:

Moralized Market and Marketized Morality in the Era of Neoliberalism

 

 

1. 세미나 개요

 

이 세미나는 최근 “윤리적 자본주의”, “박애자본주의”, “호혜경제”, “공유경제” 등의 이름으로 등장하고 있는 도덕경제 담론들과 그 구체적 실천형태들—기부, 자원봉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공정무역, 윤리적 소비, 사회적 투자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사회적 경제” 혹은 느슨하게 정의된 “경제 민주화”란 이름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러한 자본주의의 윤리적 전환에 대한 호소는, 근래 회자되는 자본주의의 위기·파국 담론과 맞물려, 좌·우파를 초월한 호응 속에서 소위 신자유주의의 “시장만능주의”에 맞서는 구체적 대안 혹은 이데올로기로 자리 잡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일련의 담론 및 실천들은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주변화되었던 경제인류학적 지식인 마르셀 모스의 선물-경제 혹은 칼 폴라니의 “사회에 착근된 시장”에서 자신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러한 논의에서 도출되는 상호성(혹은 호혜성reciprocity)의 도덕 원리에 기반해 새로운 형태의 “사회연대”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세미나의 전반부는 모스의 선물-증여와 상호성의 원리를 둘러싼 기존의 인류학적·철학적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상호성과 그것에 기반한 “사회적인 것”의 문제설정을 넘어 비-상호성과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의 영역에 대한 탐구로 나아갔던 일련의 이론적 시도들을 조망해 볼 것이다. 다소 거친 분류이기는 하지만, 선물교환을 둘러싼 논쟁사에서 한편에 선물-교환 속에 내재한 상호성의 원리에 천착하고 이를 발전시켜 온 이론가들―모스, 레비-스트로스, 그리고 최근의 에나프와 그레이버까지―이 존재한다면, 다른 한편에 이 상호성 너머를 고민해 온 흐름들―바따이유, 데리다, 들뢰즈, 클라스트르―이 이와 대립한다. 세미나는 이 두 경향을 절충하기보다는 의도적으로 이 두 흐름을 대립시키고, “사회적인 것” 대 “정치적인 것” 혹은 “상호성” 대 “비상호성”으로 대표될 수 있는 두 흐름 간의 생산적 대화를 시도함으로써, 오늘날 “정치 없는 사회계약” 혹은 “탈정치화된 도덕적 연대”를 추구하는 윤리적 자본주의 담론에 대한 "이론적" 차원의 “문제화”가 어떻게 가능할지 모색해 본다.

 

세미나의 후반부는 도덕·감정의 영역으로서의 “사회”와 이해관계·계산의 영역으로서의 “시장” 간의 중첩에 주목한 다양한 사회과학적 연구들을 통해, 오늘날 “도덕·감정·사회 경제화” 현상이 가진 역사성과 특수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먼저 기존의 고전적 연구들이 시장, 사회, 도덕 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명했는지를 살펴본 후, 최근 변화된 조건 속에서 이러한 관계들이 사회학·이단 경제학·인류학 등에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대표적인 저작들을 통해 살펴본다. 이후 도덕·감정·사회와 시장 간의 중첩을 징후적으로 보여주는 몇몇 키워드들—“모럴 해저드”, “책임”, “감정노동”, “공동체”—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변화에 내재한 모순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가 “신자유주의화”, “금융화”, “문화경제화”로 묘사되는 최근의 자본주의 동학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세미나 운영

1) 2주에 한 번, 대략 1년 조금 넘게 진행하는 것이 목표.

2) 커리는 언제든 합의 하에 변경 가능.

3) 장소-요일 합의 하에 결정. 주말 세미나 유력.

4) 발제 없음. 각자 요약문 작성.

 

 

3. Reading List

 

I. (Non-)Reciprocity, the Social, and the Political

 

Gift-Exchange, Reciprocity, Society

1) Marcel Mauss, The Gift [증여론]

2) Claude Levi-Strauss, The Introduction to the Work of Marcel Mauss

    Marcel Henaff, “The Norms of Reciprocity”

3) Maurice Godelier, The enigma of the Gift [증여의 수수께끼]

 

Beyond Reciprocity: Violence, Excess, Pure Gift

4) Pierre Bourdieu, Outline of a Theory of Practice (부분)

5) Georges Bataille, The Accursed Share Vol. 2/3 (부분)

    Jean-Joseph Goux, “General Economies and Postmodern Capitalism”

6) Jacques Derrida, The Given Time: Counterfeit Money (부분)

    _____, “Structure, Sign, and Play in the Discourse of the Human Sciences”

 

From Gift to Debt

7) Friedrich Nietzsche, The Genealogy of Morality [도덕의 계보학] (부분)

8) Deleuze & Guattari, Anti-Oediphus [앙띠-외디푸스] 2부.

     Pierre Clastres, Society Against the State [국가에 대항하는 사회] (부분)

9) Maurizio Lazzarato, The Making of Indebted Man [부채인간]

 

Neo-Maussian: Return to Gift?

10) David Graeber, Toward Anthropological Theory of Value [가치이론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__________, “On the Moral Grounds of Economic Relations: A Maussian Approach”

11) Alain Caille, The World of the Gift (부분)

       Keith Hart, The Human Economy (부분)

 

 

II. Moralized Market, Marketized Morality

 

Classics: Economy, Society, and Morality

12) Emile Durkheim,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사회분업론] Ch. 1-3.

      Max Weber, “The Economy and Social Norms” in Economy and Society [경제와 사회]

13) Max Weber, Protestantism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프로테스탄티즘과 자본주의 정신]

      Boltanski & Chiapello, “The New Spirit of Capitalism” (축약본)

14) Albert Hirschman, The Passions and the Interests [열정과 이해관계]

      Michel Foucault, The Birth of Biopolitics [생명정치의 탄생] 부분

15) Karl Polanyi, The Great Transformation [거대한 전환]

      Keith Hart & Chris Hann, Market and Society: The Great Transformation Today (부분)

 

Moral Economy: Revisited

16) William Booth, “On the Idea of Moral Economy”

      Andrew Sayer, “Perspectives on Moral Economy”

17) Amitai Etzioni, The Moral Dimension: Toward a New Economics (부분)

      Amartya Sen, On Ethics and Economics [윤리학과 경제학]

18) Browne&Milgram, Economics and Morality: Anthropological Approach

      Karen Sykes, Ethnographies of Moral Reasoning (부분)

19) Gibson-Graham, A Post-Capitalist Politics (부분)

 

“Moral Hazard”& “Responsibility”    

20) Tom Baker, “On the Genealogy of Moral Hazard”

      _________, “Insuring Morality”

      Jacquline Best, “Moralizing Finance: The New Financial Architecture as Ethical Discourse”

21) Ronen Shamir, “The Age of Responsibilization: on Market-embedded Morality”

      Stephen Lessenich, “Constructing the Socialized Self: Mobility and Control in the Active Society”

     Frieder Vogelmann, “Neosocial Market Economy”

 

Moral Sentiments and Affective Turn

22) Adam Smith, The Moral Sentiments [도덕감정론] (부분)

      Emma Rothschild, Economic Sentiments (부분)

23) Bowles & Gintis, Moral Sentiments and Material Interests (부분)

      Lauren Berlant, Compassion: The Culture and Politics of an Emotion (부분)

24) Thomas Haskell, “Capitalism and the origins of the Humanitarian Sensibility”

      Didier Fassin, “Compassion and Repression: The Moral Economy of Immigration Policy in France”

25) Greg & Seigworth, The Affective Theory Reader (부분)

      Sara Ahmed,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s (부분)

      Patricia Clough, The Affective Turn (부분)

26) Eva Illouz, Cold Intimacies [감정 자본주의] (부분)

      Andrea Muehlebach, The Moral Neoliberal (부분)

      Lauren Berlant, “Nearly Utopian, Nearly Normal: Post-Fordist Affect in La Promesse and Rosetta”

27) Christian Marrazi, Capital and Affect

      Bifo Berardi, After the Future [미래 이후] (부분)

      Miyazaki Hirokazu, “Economy of Dreams: Hope in Global Capitalism and Its Critiques”

 

Community & Neoliberalism

28) Han-Jurgen Bieling, “Neo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Mary Coffey, “From Nation to Community: Musuems and the Reconfiguration of Mexican Society under Neoliberalism”

      Peters & Fitzsimons, “Neoliberalism and Social Capital: Re-inventing community”

29) Nikolas Rose, “The Death of the Social? Re-Figuring the Territory of Government”

      __________, “Community, Citizenship, and the Third Way”

30) Joseph Miranda, Against the Romance of Community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
2013/11/18 22:02 2013/11/18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