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해서 일하다가 우연히 모니터 하단의 시계를 보니. 11시가 넘었다.
'어마, 실감이 나지 않아. 아직 여덟시쯤 일줄알았는데? '

오랜만에 집중이 되었던 터라 왠지 집에 들어가기 싫었는데, 일요일날도 들어가지 않았으므로 가야만한다고 몸을 일으켰다. 가려고 마음먹으니까 왜이리도 여기저기서 나를  불러대는지. 결국 11시 반이 넘어서 차를 탔고 핸드폰도 사무실에 두고 왔다.
지하철에서 내리니 12시가 넘었길래 아파트 현관까지 옆구리가 결리도록 사력을 다해 걸었다. 아파트 현관유리문에 들어서니 저 멀리서 누가 온다."술먹은" 아빠다.-_-;
"몇신데 인제 들어와?" 술탓인지 화난목소리는 아닌데 ,아니 상냥하기 까지 하다. 그것이 더 안좋은 예감...

집에 들어와서 엄마한테 이러저러 이야기를 하더니,
결국 나를 부른다.나를 부른다...
"ㄱㅁㄴ, 이리와서 앉아봐" <--  설교 시작을 알리는 멘트 (모든 '가정'의 공용어 일껄?)

바로 좀전까지 아빠와 결국 대화를 했고.
내용은 언제나와 같이 "가족이니까" 로 시작해서 "가족이니까"로 끝났다.
아빠도 자신의 말이 뭔가 아귀가 맞지 않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왜 꼭 그래야해? 하고 묻는 다면 할말은 없어.그/렇/지/만 가족이니까" 라는 말을 계속 반복한다.

"그래 너가 사회를 위해서 희생하는거, 좋다.
돈 적게 받는거 좋다이거야. 다 인정한다.
사회에 그런 사람도 필요하니까.
하지만 내 자식은 아니었으면 하는게 부모야.

그래도 다 인정한다.
그런데 사회를 위해서 그렇게 희생하는데
가족을 위해서도 희생을 해야 하지 않겠냐?
안그러면 가족이 의미가 없어.
가족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도 하라는거야.
희생을 해야지.

봐도 보기 싫고 반갑지도 않고,
대화도 점점 없고,
벽이 두꺼워 지는거야.

난 뭐 그렇다.
일주일에 한번, 월요일이면 월요일 다같이 밥도 먹고
대화도 하고, 얼굴도 보고  같이 웃고.

너만큼 나이 됐으면 동생이랑 부모한테 색다른것도 먹자고 하고
그래야지.
너때문에 ㅈㅎ이 자식도 맨날 밤패고 다녀. 원래 안그랬어.

일주일에 한번이면 한번 어렵지 않아.
무슨일이 있어도 그날은 가족과 함꼐 보내는거지."

 내가 아빠랑 이야기를 안한지 굉장히 오래된건 사실이긴하다. 아빠가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이고 어쩌고 해도, 좋은 아빠가 되려고 나름 노력한다는것도 잘 알고 있다. 내가 아빠라면, 자식인 내가 자신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안다면, 기분이 어떨까. 음 알고 있다. " 가족도 설득시키지 못하면서 뭘하려고 하냐 이런 얕은 산도 못넘는데 히말라야고 도봉산이고 어떻게 넘냐 "고 아빠는 말하지만, 나는 내내 생각한다

 

' 이러니까 못넘지. 1주일에 한번? 나를 죽여주시오..ㅡㅜ

1주일에 한번 놀지도 못하는데...
지방이 집인 사람들은 몇년에 한번 보는데..
그사람들 가정은 파탄지경인가?
억지로 가족끼리 모여서 웃어야 하는 이유가 대체 뭐야? 가족이니까?
자발적으로 모인것도 아니고 억지로 모여라 하는게 뭐가 좋다는 거지?
아빠 말마따나 희생해서 모여서 거짓웃음을 짓고
가족연극을 하는게 뭐가 그리 즐거워?
너무 홈드라마를 많이 본거 아냐?
어차피 요즘은 드라마에서도 마지막 장면에 가서야 웃는다고. ' 

그래도 희생으로 보건 뭘로보건 내가 하는일을 "인정"하려고 노력하는 엄마 아빠가
고맙지 않은것은 아니다.
고마운데 말이지..


아이고..지겨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5/03/16 02:01 2005/03/16 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