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2004 인터넷 문화 트렌드 '베스트 10'

  • 등록일
    2004/12/18 15:30
  • 수정일
    2004/12/18 15:30
[노컷뉴스] 마이팬 사이트 발표 '미니홈피' '초딩문화' 등 CBS 노컷정보 nocutnews@cbs.co.kr 2004년도는 인터넷 문화에 있어 큰 변화를 가져왔다. 대선 이후 여전히 총선에서도 인터넷을 통한 선거운동이 위력을 떨쳤고 패러디 문화가 깊숙히 번졌다.


또 1인 미디어 시대를 연 미니홈피와 블러그 열풍은 인터넷을 즐기는 젊은이들 차원을 넘어서 정치인들도 개인 홈피를 하나씩 개설 할 정도로 급속하게 번졌다. 인터넷 퍼뮤니케이션을 표방하며 다양한 컨텐츠 작가들을 주축으로 만들어진 사이트인 '마이팬'이 선정한 2004 인터넷 문화 트랜드 BEST 10을 보면 한 눈에 그 변화를 가늠해 볼 수 있다. ▷미니홈피 개인 커뮤니티 활성화로 1인 1미니홈피를 달성할 정도로 미니홈피의 뜨거운 붐이 있었다. 이메일 대신 답방글을 남기며 서로 안부를 전달하고 자신의 생활을 미니홈피로 꾸미는 새로운 문화가 자리잡기 시작했다. ▷블러그 다양한 정보와 컨텐츠들로 개방된 개인 커뮤니티와 정보 창구 역할을 하는 블러그의 붐도 미니홈피 못지 않게 거셌다. 미니홈피보다 더 짜임새있고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면서 누구에게나 정보 접근성이 용이한 블러그는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폐인문화 매니아의 의미를 가진 폐인 문화도 작년에 이어 거세게 이어졌다.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나 드라마 혹은 주제에 관하여 열정적으로 반응하며 게시물을 올리고 하루종일 매달려 산다. ▷초딩문화 '즐' 혹은 '반사' 등의 유행어와 더불어 인터넷의 악동으로 떠오른 초딩문화의 원류는 상대방의 말을 무시하거나 혹은 이론 없이 비평하는 매너없는 행위에 대해 시작했다. 순수함을 잃은 초딩의 비판에서 초딩들의 자유로운 생각과 재치까지 다양한 형태로 인터넷 문화의 한 부분에 자리잡기 시작했다. ▷리플문화 감상한 자료나 기사등에 자신의 의견을 올리며 적극적인 의사 표명을 하는 새로운 문화가 자리 잡기 시작했다.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사건에는 수천건의 리플이 달리며 문희준, 귀여니등의 기사 아래에도 안티와 열성팬간의 수만건의 치열한 리플들이 올라오며 이전의 기록을 갱신하고는 한다. ▷캠문화 젊은이들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디카와 폰카의 확장으로 일상의 모든 것들이 사진으로 담아지기 시작했다. 생활 주변에서 얻어지는 다양하고 특이한 모든 것들을 카메라에 담고 공유하면서 일상의 즐거움이 인터넷 세상을 통하여 알려지는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풍자/합성 사회 풍자에서 정치 그리고 자신들의 일상 생활까지 재치와 아이디어로 재구성하는 풍자/합성이 일반화 되기 시작했다. 단순히 사진만을 올리는 것을 넘어서 사진을 변형시키고 자신의 의견을 넣어 더 강하게 어필하거나 역발상을 통하여 현실을 비판하기도 하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인터넷 문체 기존의 채팅 문화에서 파생된 인터넷문체들은 단어를 줄이거나 외래어를 변형시키고 단어를 줄이면서 다양한 모습으로 유행되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인터넷의 문체가 구어체로까지 퍼지며 “그러셈” “ 좋으삼?”등으로 확산되고 있다. 귀엽고 다정하다는 의견과 한글의 파괴라는 우려 속에서 인터넷 문체들은 계속되는 진화를 진행 중이다. ▷얼짱문화 얼짱이라면 범죄인까지 미화되는 과도한 반응부터 몸짱 열풍 그리고 자신을 망가뜨리며 대세를 타려는 얼꽝에 이르기까지 미에 관련된 다양한 시각들이 인터넷에서 나타났다. 익명성의 사이버 공간에서 무엇인가 새로운 것을 그리고 아름다운 것을 찾아나서는 네티즌들은 자신이 열광하고 싶은 새로운 대상에 목말라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노컷뉴스 홍석재 기자 nocutenter@cbs.co.kr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