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정말 '개념없는' 번역

책을 낸 출판사의 평판을 모르던 바 아니지만, 피에르 부르디외가 지휘한 '리버' 컬렉션으로 출판됐고 부르디외가 직접 한국어판 번역을 적극 추천했다고 해서 읽었다. 후회가 막심하다. 어떤 책인지는 거론하기도 싫지만, 허비한 시간이 아까워서 그냥은 못 넘어가겠다.

 

요즘 세상에 영어를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을 한국어로 다시 번역한 것도 이해하기 어렵지만, 아무리 그래도 정말 너무 한다. 게다가 번역자는 지금도 번역서를 쏟아내고 있다. 쏟아낸다는 표현은 그리 심한 과장이 아니다. 알라딘에서 검색한 결과로 보면 7년동안 10권, 더 정확하게는 5년동안 9권을 냈다. 나도 최근 3년동안 한해에 한권씩 번역한 경험이 있어서 아는데, 한해에 두권을 내는 건 보통 일이 아니다.

 

억울한 마음에 서론이 길어졌지만, 주어를 찾기 어렵거나 해독이 거의 불가능한 다음의 몇구절만 보면 긴 설명이 필요없을 것이다.

 

진단 문제의 해결에 접근하기 위해 위에서 아래로(가정으로부터) 또 아래서 위로(자료로부터)의 과정을 따르는 추론을 완성하는 산술적 총체에 있다. 목표는 새로운 가정과 보충적인 목표를 낳는 법칙을 가로지르는 가정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주어진 언어 사건의 참여자들은 특수 의료 환경의 특수한 멤버들에 부합되는 범주의 무게를 실어주는 동시에 그들의 담론에서 이같은 범주를 사용하느냐 안하느냐 하는, 예를 들어 여기서 사용된 '환자'라는 용어는 적어도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일정 결론의 추론을 요구하는 한 특별한 '여자 환자'에 대해(용어의 기술적인 의미에서) 벌이고 있다.

 

수많은 독자들은 아마 하나의 질문을 지금껏 거두지 못하리라 짐작이 된다. 그것은 어떤 상황을 막론하고 '모두' 말하려는 욕심 많은 관찰자를 위협하는 끝없는 퇴보이다. 이 야망은 물론 비합리적인 것이 어느 누구도 한 상황의 가장 일반적이고 지역적인 양상에 대해 모두 말할 수 있을 것이라 착각을 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 글은 비교적 그 한계가 명확한 속에서 환자의 문제를 재구성하는 방법에 있고, 최초의 의료 면담의 중요성을 지적하려 노력하고 있다. 의사의 목적은 일반의학이나 전문의학적인 진단의 범주에 보내기 위한 부분적인 선언적 형식 속에서 환자의 증세와 증상들을 해석하는 것에 있다.

 

매번 사회적 상호 작용과 관련 있는 연구소의 경험이 지위와 역할의 관계에 대한 관심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에 유추적인 문제가 던져진다. 학자가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주체에게서 해당 실험의 필요를 위해 설정된 함축적이거나 형식적으로 정의된 '상황' 개념의 기능에 따라 이 위상과 역할 관계는 인식이 된다.

 

혹시 내가 번역한 책에도 이와 비슷하게 엉터리 문장들이 가득한 건 아닌지 두렵다.

2005/10/19 19:07 2005/10/19 19:07
3 댓글
  1. 행인 2005/10/19 20:23

    부르디외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중인데, 어떤 책을 말씀하시는 건지 알려주시면 어떨까요? 괜히 시간낭비하고 돈낭비할까봐서요. ^^
    건강하시죠?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2. zorba 2005/10/19 22:49

    특히 부르디외 책들이 더 심한 것 같습니다. 번연하신 탈근대 군주론은 읽기 편하던데요. ^^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3. marishin 2005/10/20 01:25

    행인님. 행인님 블로그에 제가 쓴 덧글을 참고하세요. 저야 건강하시만, 행인님은 요즘 어떠신가요? 마음 고생이 말이 아니실 텐데...

    zorba님, 탈근대 군주론을 편하게 읽으셨다니 더없이 반가운 말씀입니다. 정말 걱정 많이 하고 능력의 한계를 절감하면서 번역한 책입니다. 읽으시다가 이상한 부분 있으면 다른 독자들을 위해서 게시판에 글 남겨주세요. 진짜로 부끄러운 번역이어서 게시판까지 만들었습니다. 2쇄 찍는 건 기대도 할 수 없으니, 차선책으로 온라인에서라도 오역을 수정하자고 만든 게시판입니다.

     수정/삭제 |  댓글에 답장 |  댓글 고유 주소

트랙백0 트랙백
먼 댓글용 주소 :: https://blog.jinbo.net/marishin/trackback/163

앞으로 뒤로

외국 진보 진영의 글을 번역해 공개하는 걸 주 목적으로 하지만 요즘은 잡글이 더 많습니다. maris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