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문화행동

610 디지털 낙서(레이저 태그)

아, 넷!님의 [610에 디지털 낙서 해요! 레이저태그 활용 방법] 에 관련된 글.

보통 자정이 넘으면 도심의 전광판들이 꺼지나요?
한 9시 넘어서부터 우리의 낙서판이 될 만한 광화문 네거리 일대의 건물들을 좇아다니며 아무리 레이저를 쏴대봐도 먹지를 않더니, 자정이 넘어 특히 휘황찬란하게 광고를 돌려대던 동아일보 전광판 등이 꺼지고 나서 어둡고 안정된 상태가 된 후에야 결국, 거의 100만에 육박하는 촛불의 몇 분들과 함께 마치 터져라 외치는 것과 비슷하게 큼직막한 우리의 말, 우리의 미디어 - 낙서들을 휘갈겼습니다.

재밌었던 것들 중에,
- 경찰의 카메라 채증을 방해하느라 레이저 포인터를 가져나오신 분들이 계셨는데, 우리의 낙서판에 동시에 어디인지 모를 곳에서, 우리가 가운데 쓰도록 비워두고 양 옆에 세로로 (홍보성 멘트 같지만서도) '승리의' / '아고라'를 쓰신 분이 계셨어요... (아래 사진에 있습니다.)
- 무엇보다도, 장비 구비와 소프트웨어 사용이 쉽지는 않지만 누구나 이와 같은 또 하나의 직접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들을 활용해보는 경험에 큰 의미가 있었는데, (비록 나이트클럽이나 파티기획할 때 사용해보겠다고 들러붙다시피 문의하신 분들도 계셨지만) 많은 분들이 원리가 뭐냐, 어떻게 하는거냐 물어보시고, 직접 낙서들 많이 해보시고...

그리고, 고맙습니다.
- 프로젝터 빌려주시고 현장에서 함께 뛰어주신 이주노동자의 방송, MWTV
- 발전기 빌려주신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6월 6일에는 노들야학에서 빌린 문화연대에!)
- 리어카 빌려주신 새시대예술연합

미디어문화행동의 서울번역모임(seoulidarity)이 함께 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610에 디지털 낙서 해요! 레이저태그 활용 방법

makker님의 [Laser Tag in Seoul] 에 관련된 글.
무나님의 [레이저로 낙서하기] 에 관련된 글.

위의 관련 글들 보시면, 지난 6월 6일(금) 야밤에 광화문 - 촛불집회 현장에서 있었던 또 하나의 낙서를 보실 수 있습니다.
"레이저 태그"(laser tag)라고 하는 디지털 낙서입니다!
닭장차에 수놓아지거나 휘갈겨진 손 낙서들, 인쇄된 낙서들도 그렇지만, 누군가의 사적 소유물인 저 빌딩들 - 그러나 우리의 도시 생활의 환경이자 공공 공간을 이용한 또 하나의 공공 커뮤니케이션 방식일 것입니다.
이것들이 우리의 거리, 우리의 공공 공간이라는 생각, 그리고 거기에서의 "거리 미디어" 혹은 "즉석 미디어"라는 직접 소통 방식!





촛불 대행진(?), 610에도 한 번 더 해보면 좋겠습니다.
다소 부담되기는 하지만 몇 가지 장비들을 갖추면 누구나 해볼 수 있는 작업입니다. (미디어문화행동도 대부분의 장비를 빌려서 하고 있습니다. 빌려주신 분들께 감사를~)

"레이저 태그"(laser tag)를 위한 소프트웨어 - 자유소프트웨어입니다!!! - 를 만들고, 배포한 "낙서연구실험실(Graffiti Research Lab project: http://graffitiresearchlab.com)의 웹페이지에 있는 사용 방법을 번역해보았습니다. 사실, 기술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면 직접 해보아야 이해되는 부분도 있는데요, 한 번 보시고 610에 함께 해보아요!
(광화문 일대에서 대략 9시 전후로 낙서를 시작할 것 같습니다. 준비할 때부터 참여하실 분은 - 4-5시 정도부터 미디액트의 화장실 앞의 공간에 모여 할 텐데, 미디액트로 오시면 됩니다. 미디액트에 감사드리고요...)


[ 사용 방법 ]
(의역을 했고, 저의 첨가 내용은 [ ] 안에 넣었습니다. 사진은 애초의 사이트에 있는 것을 했는데, 그 쪽 서버에 미안한 일이라... 이후에 우리가 작업한 것으로 교체하도록 하구요...)

  • 필요한 장비
    • 노트북 (PC 혹은 Mac): 외부 모니터[프로젝터] 연결이 가능해야 하고, 전용 그래픽카드가 있는 노트북이면 더욱 좋습니다. 그래서 Macbook Pro 추천합니다.
    • 비디오 카메라: 노트북에 연결될 수 있어야 하고[보통 1394로 연결], 수동 조절이 가능한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레이저의 궤적을 잘 인식할 수 있습니다.
    • 프로젝터: 2000  lm(루멘) 이상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 레이저 포인터: 5mW와 80mW 사이가 되는 것이면 좋습니다. [ 빨간색보다는 녹색이 더 강력하여 좋은데, 생명체의 눈에 비춘다면 실명의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프로젝터 설정
    • PC 노트북과 NVIDIA 그래픽 카드을 가지고 있다면, 그 디스플레이어를 수평 스팬 모드(horizontal span mode) 혹은 확장된 데스크탑(extended desktop)으로 설정하고 전체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2048 by 768로 맞추면 됩니다. [그러면 노트북이 1024X768이 되고, 프로젝션되는 것도 1024X768으로 됩니다.]
    • 수평 스팬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모든 그래픽 카드에서 작동하는 실시간 소프트의 울트라몬(Realtime Soft's Ultramon)을 찾아봐야 합니다.
    • 맥(Mac) 노트북의 경우: 프로젝터는 데스크탑의 오른쪽(?)에 있어야 하고(projector to be to the right of their Desktop), 그 다음에 레이터 태그(LT2.0) 소프트웨어를 작동시키고, "Command-',' 입력하고, "확장된 데스크탑"('use extended desktop')이라고 되어 있는 박스를 체크합니다. 그 후에 소프트웨어를 끝내기 하면, 설정이 저장됩니다. 노트북의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 모두를 1024x768로 설정하면 됩니다.
High Res Guide

  • 카메라 설정
    • 효율적으로 레이저의 궤적을  [카메라가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자동 화이트 밸런스, 자동 노출, 백라이트(Backlight Compensation) 기능을 꺼야 합니다. [수동으로 설정해놓고]
    • LT2.0 소프트웨어 상에서 자판의 C를 누르면, 카메라 설정 창이 나타나고, 최대한 수동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 프로젝터 정렬(alignment)
    • 카메라와 프로젝터를 정렬해주어야 합니다.
    • LT2.0 소프트웨어 상에서 자판의 F를 누르면, 전체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이 때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투사하는 영역의 경계선들이 나타납니다.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 네 꼭지점을 이동시켜서 낙서를 할 영역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설정이 다 되면, 자판의 S를 눌러 설정을 저장합니다.



  • 카메라 정렬(alignment)
    • 위에서 맞춘 프로젝터의 사각형에 따라 카메라가 포착하는 비디오 패널 - 노란색 사각형을 맞추면 됩니다.
    • 설정이 다 되면, 자판의 S를 눌러 설정을 저장합니다.



  • 레이저의 궤적[을 최적]화하기(Tracking the laser) [적절한 번역어가 뭐 없을까요...] - [이 부분이 가장 중요!]
    • LT2.0 소프트웨어에 보면, '궤적 설정'(Tracking settings)이 있고, 이는 채도 0에서부터 시작됩니다.
    • 상단의 3가지 모니터 패널 중, 가운데 패널을 보면서 조정하면 됩니다.
    • 우선, 밝기 (값) 경계값("value threshold")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레이저를 [배경으로부터] 구별해낼  수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value threshold"는 레이터 포인터로 감지되도록 하는데 필요한 최소 밝기(값)입니다. 즉, 채도 경계값("Sat Threshold")을 0으로 놓은 상태에서 명암으로만 조정해보는 것입니다. 이 때, 카메라 설정에서 레이저만 보이게 카메라의 밝기를 낮추면 이 단계의 조정이 훨씬 쉬워집니다.
    • 그런데 궤적 패널(세 개 중 가운데 패널)에 여전히 흰색 잡음들이 많이 나타나면, 그 다음으로 채도 경계값("Sat Threshold")를 0보다 크게 하면서 이제 색채(hue)를 이용하여 궤적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색채값(Hue point)은 레이저의 색깔을 말합니다. 그 아래에 있는 색채 경계값 폭(Hue Thresh Width)라는 것은, 문제없다고 생각되는 색채값(hue point) 전후의 폭을 어느 정도 잡아줄 것인지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둘 다, "Sat Threshold"이 0보다 클 때만 작동합니다.
    • Min blob size: 레이저의 최소 크기입니다. 때로 잡음을 없애기 위해서 2로 설정합니다.
    • Advanced quad: 프레임율(framerate)에 대한 가장 큰 효과를 위한 것입니다(?). 이것 없이 궤적화할 수 있다면, 사용하지 않습니다. 프레임율(framerate) 향상을 위해서도 사용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해보면, 이것을 사용 - 즉, 1로 맞출 때, 더 잘 될 때가 많습니다.]
    • Activity thresh: 새로운 선을 긋기 위해 레이저를 인식할 필요해야 하는데 그 직전까지의 프레임의 양(amount of frames without seeing laser to trigger a new stroke). [번역 맞는지 모르겠음.]
    • Jump dist: 새로운 선을 긋기 전에 하나의 프레임 안에서 레이저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
    • 이렇게 설정이 되면 자판의 S를 눌러 저장합니다.
    • 참고로, 이 단계에서의 카메라 설정은, 이미지를 가능한 한 어둡게, 그러나 레이저는 여전히 밝게 조정함으로써 궤적[의 최적]화를 상당히 쉽게 할 수 있게 됩니다.
    • 그래서 아래의 그림에서처럼, 레이저가 투사된 이미지와 구별되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설정을 테스트해보기
    • 위의 모든 것이 제대로 되었다면, 이 소프트웨어를 가지고 이제 태그를 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 지우기
    • 자판의 D를 누르면, 지금까지 태그된 것[낙서한 것]을 지울 수 있습니다.
    • "지우기 영역 설정(clear zone settings)'을 사용하면, 훨씬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 포인터를 그 영역에 가져가면 자동으로 지워집니다.]
  • 그리기 설정
    • 붓 방식(Brush mode) 설정을 통해 현재는 4가지 붓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pngBrush: 이용자가 png파일을 만들어서 그걸 가지고 그릴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폴더 안에 있는 data/brushes/ 폴더 안에 직접 만든 png파일을 넣으면 됩니다.
    • graffLetters brush
    • vector brush: 이 역시 다양한 스타일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gesture brush
    • "brush image/style"를 통해 (현재는 pngBrush와 vectorBrush가 있는데) 사용되는 이미지를 변환할 수 있고,
    • "Brush color"를 통해 그리기 색깔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data/settings/colors.xml 파일을 편집하여, 새로운 색깔을 손수 포함시킬 수도 있습니다.
    • 선 해상도(Line resolution): pngBrush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붓이 선을 그리는 횟수를 정합니다.
    • 투사의 밝기(Proj Brightness): 프로젝터가 너무 밝으면, 이 설정을 통해 이미지를 어슴푸레하게 할 수 있습니다.
  • 흘러내리기 방식(Drip mode)
    • 쓴/그린 것이 흘러내리게 하는 기능입니다.
    • 얼마나 많이, 어느 정도 빠르게 흘러내리게 할 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 지우기 영역 설정(clear zone settings)
    • [생략합니다. 쉬운 과정이라...]
  • 네트워크 설정: 낙서 이미지의 전송
    • Enable network: 1이면 활성화
    • send data: 연결을 끊지 않고 데이터를 보내거나 안 보니거나를 선택하는 설정
    • UDP: 보낼 IP주소와 포트(port)가 필요합니다. 이것은 하나의 단일한 연결만을 지원하지만, TCP보다는 훨씬 빠릅니다.
    • TCP: 이것은 하나의 서버가 되는 것으로, 다수의 접속자들이 전송받을 수 있습니다(Flash 등으로). 포트는 접속자들이 연결하여 들어올 수 있는 포트를 말합니다.
    • 모든 데이터는 가로와 세로가 0.0에서 1.0 사이의 값으로 보내집니다. 이를 통해서 그것들의 스케일을 투사와 스크린 크기에 맞출 수 있습니다.
  • 카메라 설정
    • use camera: 비디오 카메라를 쓸 것인지 혹은 data/videos/ 폴더의 테스트 비디오를 쓸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 camera #: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다면, 여기서 캡취 장치 /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0은 처음으로 발견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그 장치를 대신하는 걸 사용하기 위해 다른 숫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camera width / camera height: 캡취하는 가로와 세로 - 320x240을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좋은 컴퓨터를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640x480은 (advanced quad가 꺼져 있을 때 특히) 그런대로 작동하는 정도입니다.
    • 여기의 모든 설정은 저장된 후에 이 소프트웨어 자체를 다시 시작해야 영향을 받습니다.
  • 알림
    • 조만간 Lausanne이 사용법에 대한 비디오를 만들어 올릴 예정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코비 천막극장 1회: 필승 연영석

미디어문화행동 웹사이트에서 퍼왔습니다.

11월 29일(목), 저녁 7시! 여의도 코스콤비정규노조, 미디어문화행동, 문화연대가 함께 준비한 "끝까지 상영회 - 코비 천막극장" 첫번째 상영회가 있었습니다! 상영작은 "필승 연영석"

일단, 사진 먼저 올립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코스콤비정규직노동자투쟁 문화공간 만들기 시작

미디어문화행동의 웹사이트에 있는 거 퍼왔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미지행동] 비정규직철폐! 거대 점묘이미지 포스터 만들기

말이 어렵습니다...
이미지를 점으로 분해해서 해상도를 적절히 낮추어 만드는 이미지 보신 적 있으실 텐데요...
이미지를 업로드 하거나 어딘가 올려진 것을 가리켜 주면,
그런 점묘이미지 혹은 저 사이트의 명칭대로 점방식이미지(raster)를 만들어주는 웹사이트가 있습니다...(이 역시 영어로 된 거라 참 거시기 하지만서도)
A4나 A3 등의 인쇄종이 크기를 정하고, 그 종이를 이어보면 최대 20m가 되도록 큰 포스터 이미지(pdf로 출력)가 되도록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http://homokaasu.org/rasterbator/

서버가 좀 안 좋은지, 느려터지는 문제가 있기는 한데, 결과물은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뉴코아-이랜드 비정규직 철폐투쟁 선전기획단 "카트라이더"에서 준비 중인 이미지를 가지고 그렇게 하나 만들어 보았습니다. 일단, 테스트라 종이는 A4 8장에 인쇄하여 이어붙이도록 한 것인데...

1. 업로드한 이미지


2. A4 크기 8장으로 뽑아 본 거





(칼라도 되는데, 흑백 프린터밖에 없어서... 글고, 위의 사진 찍을 때, 초점이 잘 안 맞더라는...)


이미지가 좋기만 하다면, 대형 이미지 포스터를 만들어 1인 시위도 그렇고 다양한 직접 문화행동에서도 효과적으로 활용해볼 수있을 듯 합니다.

그냥 이것만 해봤지만 이 사이트의 여러 코너들이 흥미로운데, ...
점묘이미지 포스터가 pdf로 다운로드되게 나오는 페이지에 이르면, "맘에 드시냐? 그러면 후원을 좀 해주라~"하는데, 이거 만든 곳은 형편이 좀 넉넉한 곳인지, 후원할 다른 곳들을 링크를 걸어두었네요; 전자개척재단이나 인디미디어센터 등...
자기가 형편이 괜찮으면, 그렇지 않은 곳으로 후원을 부탁하는 센스도 돋보이는 곳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UCC/문화행동] 공정한 먹거리/농업을 지키기 위한 법안!

미국에서 이런 법안이 발의된 모양입니다: (fair) farm bill

미트릭스1,2,3이나 스토어워즈를 보신 분들 계실 텐데요...
계속해서, (다국적) 기업농의 폐해를 고발하면서 유기농을 대안으로 제시하는 미디어 작업(애니메이션 제작)을 해온 프리레인지튜디오에서 이 법안을 홍보하는, 이번에도 재밌는 비디오를 만들었네요... 이번에는 실사! 그러나 애니메이션 느낌의...

(유튜브에 올려진 거라 거시기 하지만...영어로 뭐라뭐라하는데, 그림과 소리만 보고 들어도 재미나다는...)





출처는 "먹거리전쟁"이라는 사이트입니다: http://www.foodbattle.org

FTA반대 인권선언도 그렇고,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도 그렇고, 재미나게 문화행동, 미디어행동 해보면 좋겠습니다~


아,
프리레인지스튜디오에 대해서는: "
진보운동의 새로운 대중소통 전략 - 프리레인지 스튜디오 인터뷰" 진보적 미디어 운동 저널 ACT! 제 43 호
Free Range Studios

http://www.freerangegraphics.co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미지행동: "락생원 강제철거 반대" 사례 등

"엡튀반대 百人百色 인권선언"이라는 행동 기획 내용을 보고 떠오른 사례로서...
(이 "...인권선언"에 대해서는 아직 제안 단계라 아직 논의 중인 듯 하여, 나중에 기획이 어느 정도 확정이 되면 다시 이야기 해보기로 하고...)

몇 개월 전에, (지금도 계속 투쟁하고 있을 듯 한데) 대만의 락생원이라는 나병환자 시설을 강제철거하는 정부에 맞서는 대만 학생운동에서 벌인 국제연대 지지 요청 작업...
"락생원 강제철거 반대" 등의 구호나 설명이 적힌 문서를 다운받아 인쇄하고, 그걸 들고 사진을 찍어 다시 보내주는 것이다. 여기서 세계 각국에서 보내온 사진들을 볼 수 있다: http://www.pcschool.idv.tw/loshengunity/photos/indexview.htm
(저 제일 아래에도 옮겨본다).
미디어문화행동과 문화연대 활동가들도 그렇게 해서 사진을 보내기도 했다: http://gomediaction.net/drupal/?q=node/280




이 작업에서 중요한 것은, 참여의 방법이 단순하고 쉽다는 것과, "상징"행동이니만큼 다양한 현장과 사람들이 주장하고 외치면서도, (그 이미지 안에) 공통되는 하나의 요소가 있다는 것...

이런 차원에서 최근에 본 것 중에, 얄밉게도 잘도 기획했구나 싶은 게, 구글의 쥐메일(gmail)에 대한 "온라인 비디오 제작 참여 작업"일 듯: 이는 여기에 간단하게 포스트:  [구글의: 쥐메일에 대한 협력적 온라인 비디오]

그래서,
"...인권선언" 등의 작업에서 온라인 도구나 공간(웹사이트)를 활용할 때, 당연히 독립적인 형태를 갖추면서(최대한 자유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사이트 운영 전반과 함께 콘텐츠의 편집이나 편성 등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 그리고 독립적인 인터넷 서비스 등) 별도의 사이트가 만들어질 때,
살짝 이러한 온라인 미디어 작업(업로드, 다운로드, 퍼나르기 등), 공동 편집 작업 등이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이용하게 쉽게 설계되면 좋겠다 싶다...


이미지 수가 많고 용량들이 커서, 뿌려지는데 살짝 시간이 걸리네요~


1-33 34-
1 singapore - bob 2 singapore Marcus 3 Singapore Louise

4 Singapore Louise's bro

5 Malaysia 6 Malaysia 7 China 北京 Chang Chao-wei 8 HK Agatha Wong
9 Japan 10 北京 11 Malaysia - Farhana 12 Malaysia KL - Emily LAI
13 Singapore Vanessa Victoria 14 Japn Dobek 15 Japan Tmmy 16 HK 噪音合作社 老B
17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18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19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0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1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2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3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4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5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6 Korea seoul Media Culture Action and Cultural Action 27 Japan 28 Japan
29 Japan 30 Japan 31.32 HK 33 廣州 - 來來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