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고전문학 7강

향가의 시상전개방식과 위상

-비기능성 : 한시와 구분된 특정기능이 없다

-우리말 노래

- 개인서정시

 

<처용가>

체념의 정서, 축사의 노래(벽사진경)

 

신라(8구체 향가) -(부연, 극적,연행)- -> 고려(속요체 향가, 속요) -> 처용희, 처용무

:                                  -벽사진경의 제액 기능  -                               +연희적 성격 첨가

1-4 역신의 침범                                  서곡                                       

5-8 처용의 관용,체념                         처용의 형용

                                                     처용 제작에 대한 사설

                                                     역신에 대한 위력 서술

                                                     역신을 몰아내는 과정**->대립격화

                                                    

                                                    처용의 모습 상세화

                                                    역신에 대한 분노절실

                                                    연극적 요소

                                                       +화자의 목소리가 처용, 역신, 제주에게 나타남

                                                        ->표현 방식이 극적이기 때문

 

 

>>전승과정에 초점을 두고 지도할 수 있음.

 

 

<원가>

-형식과 내용상의 특징

 

8구체만 남아있으나 10구체 향가임

원망의 내용보다는 체념적 가락과 담담한 음성으로 무정한 세상사를 바라보고 있음

->각박한 인정세태 탄식

 

참고)정과정과 텍스트 상호성

  -정과정은 향가계 여요로 임금에게 작가 자신의 결백과 자기를 다시 사랑해 줄 것을 말함

10구체 향가의 전통을 잇는 작품으로 과도기적 작품으로 본다.

 

<여수장우중문시>

-기,승:  '전'의 전제

  전:  상대를 조롱함 [반전]

  결:  위협

=>반전을 통한 조롱과 위협의 구조

 

참고) 주술요의 위협의 구조

 

<추야우중>

-전형적인 선경후정의 정서

 

 

37:12

동동 -농가월령가

 

 

 

 

<제가야산독서당>

  -구조에 중심두고 볼 것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