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현대시 기출 답안(9/1)

04. 12월

(나) 끝없는 강물이 흐르네

(다) 오매 단풍이 들것네

20.

시어: (나) 함축적 언어,유음과 비음의 사용 (다) 지시적 언어에 가까우며, 사투리 구사(오-매)

화자: (나)는 여성화자의 어조, (다)는 남성화자의 어조이다.

대상표현: (나)는 화자의 독백적 어조로 시적 화자의 내면 세계 표현, (다)는 외부 세계에대한 반응(교감) 표현

 

 

 

 

03.12월

(나)사소단장

바닷가에 가 멎어 버렸다. : 삶의 의미 만족하지 못한 상태

물낯바닥에 얼굴이나 비취는 헤엄도 모르는 아이 : 미지의 세계에 존재함.

문열어라~: 시적화자의 앞은 문이 닫혀있는 상태이며, 문 넘어의 존재의 시원을 구현하려 함

꽃-> 신비로운 미지의 세계를 의미

 

 

10-2 꽃두고를 현대시로 보기 어렵다면 판단할 수 있는 근거 세 가지

  내용: 개인 서정보다 사회의식 강조.

             목적성, 관념성을 강조

  형식: 외형률

  언어구사: 관념적 언어  예 ) 평화 기운, 부귀 기상 등

 

 

10-3 시의 수용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두 학생에 대한 시 읽기 지도 방향을 제시하시오.

[1차적으로 작품 자체로만 읽게함, 외부적 지식 없이 스스로 읽도록 유도한다. 이후  단계적으로 작품이해의 단서를 제공.]

 

  영수) 누가 미리 알려주면 좋겠어요. 그래서 전 해설이 붙어있는 시집이 좋아요.

  순희) 사소가 이 시를 썼다는 걸 모르면 시를 이해했다고 할 수 없는거죠  ->시의 허구성 이해하지 못한 경우 ;  시적화자와 작자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예상답안

   영수는 시의 감상 능력이 부족하여 시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점을 토로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교사는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문학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지도한다.??

 

02.12

(가) 기항지

-겨울, 바다: 죽음의 심상 표현

  <->봄 : 소생의 이미지

 

 c.f)바다: 생명 탄생, 소생의 이미지   김남조 '겨울바다'

    

 - 시적 자아의 내면심리를 외적풍경을 통해서 묘사 <특징>

 

(나) 가난한 사랑노래

-가난이라는 사회적 소외 문제를 한 젊은이의 내면정서를 통해 표현<특징>

 

**근거를 들어 차이를 설명할 것

 

 

9-2

 창작교육을 하려 할 때, 교사가 지도해야 할 시 쓰기의 유의점과 이유 기술하라.

 

1. 감정이입을 통해 주인공의 절박한 심정을 드러낸다.

 

  시적화자의 정서와 관련된 적합한 대상을 찾아야 한다.(객관적 상관물)

 이유: 시적대상의 정서와 관련이 깊어야 공감가능?

 

2. 시적 율동감을 확보

 율동감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하게 한다.

이유: 시적언어는 일상언어와 다르기 때문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