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entary No. 232, May 1, 2008

 

인종, 젠더, 계급과 미국 정치: 새로운 건 무엇일까?

(“Race, Gender, and Class in American Politics: Anything New?”)

 

 

 

 

전 세계적으로 5월 1일은 메이 데이, 그러니까 국제 노동자의 날이란 이름의 경축일이다. 유일한 예외가 있는데, 바로 미국이 그렇다. 아이러니한 사실은 메이 데이가 미국에서 일어난 특정한 사건, 즉 시카고 헤이마켓 폭동에 그 연원을 둔다는 점이다.

 

1886년 5월 1일, 미국의 많은 도시에서는 하루 8시간 노동을 지지하고자 노동자들이 총파업에 참여했다. 시카고에서는 8만 명의 노동자들이 미시건 가를 행진했다. 시위 나흘째, 헤이마켓 광장에서 있은 집회 끝자락에 폭력사태가 일어났다. 당시 폭력이 어디서 비롯했는지는 지금도 논란거리지만, 경찰 일부가 살해됐다. 이에 따라 파업을 이끈 이들은 체포됐고, 그 중 넷이 살인죄라는 이름으로 처형됐다.

 

미국으로 건너온 독일계 이주(노동)자들이었지만, 그들이 사형집행 와중에 불렀던 노래는 미합중국 국가인 ‘별이 빛나는 깃발’이 아니라, 당시 국제적 계급연대를 표상하던 ‘라 마르세예즈’였다. 사정이 이런데도 미국을 주무대로 삼는 정치인들은 늘상 계급 갈등이 미국 정치의 규정 변수로서 지닌 위상을 평가절하하려 애써왔는데, 그 덕에 미국에선 메이 데이를 기념하지 않는다.

 

2008년, 미국에서는 아주 격렬한 논란이 일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참이다. 그 중심에는 민주당 여성 예비후보와 아프리카계 예비후보가 마주서 있다. 공화당 후보로 나선 이는 백인계 남성이다. 처음엔, 이번 선거가 인종이나 젠더를 이슈화하리라는 걸 어느 누구도 인정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어지는 경선이 갈수록 치열해지자, 인종과 젠더라는 주제는 둘 다 전면에 자리를 잡았다. 계급이 이슈라는 데 대해서는 여전히 어느 누구도 받아들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인종과 젠더, 계급 변수가 상호 교차하며 접점을 이룬다는 사실은 근대 세계체제에서 오랜 연륜을 지닌 이야기로, 미국 정치사의 중심 축을 이뤄온 것이기도 하다. 근대 세계 전반에 걸쳐 주요한 정치적 격변의 해라고 할 1848년, 프랑스에선 근대(세계)사상 초유의 의미심장한 사회혁명이 한창 진행중이었고, 후대 역사가들이 이 시기를 “민족/국민의 맹아기”라 명명케 한 민족주의 봉기가 유럽 곳곳에서 들끓었다. 미국에서 이 시기 가장 중요했던 사건으로는 ‘세니카폴스 회의Seneca Falls Convention’의 개최를 들 수 있는데, 미국 페미니즘의 효시로 평가받는다. “독립선언”에 대한 반향으로 1848년 7월 19~20일 간 열렸던 이 회의에서 채택된 <소신선언문Declaration of Sentiments>은 이렇게 운을 떼고 있다: “다음의 자명한 진실, 즉 모든 남성과 여성은 태생적으로 평등하다는 점을 우린 분명히 한다.” 죽 나열된 불만 목록 중에는 시민의 제1권리라 할 피선거권이, “국내외 할것없이 못 배우고 천한 남성들”한테 있는 피선거권이 정작 여성에겐 없다는 사실이 있었다. 나중에 불거질 갈등의 불씨가 잠재해 있었던 셈이다.

 

이 시기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 명성이 높던 프레드릭 더글러스는 세니카폴스 회의에 참여했는데, 여성의 권리라는 대의에 대해 (당시 대부분이 노예 상태였던) 아프라카계 미국인 커뮤니티의 지지를 표명하기 위해서였다. 더글러스는 그후 1872년, 빅토리아 우드헐의 주도 아래 공천으로 평등당의 부통령 후보가 된다. 여성으로서든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서든, 공직에 입후보한 첫 사례였다.

 

그러나 (남북전쟁이란) 내전을 겪은 뒤 미합중국 의회가 아프리카계 남성 시민들의 투표 배제가 위헌임을 골자로 하는 수정조항 14조를 채택했을 때, 여성운동 진영은 자신들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데 대해 침통한 분위기였다. 미국 노예제폐지 운동을 이끈 사람들 중 하나던 웬델 필립스가 1865년 5월 여성운동 진영을 향해 참정권 요구를 공표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한 이야기는 유명한데, 그 이유인즉슨 “지금은 흑인들 차례”여서란 것이었다. 많은 여성 참정권주의자들은 이에 침묵하지 않았다. 이를테면 엘리자베스 스탠턴과 수잔 앤서니의 경우, 널리 알려진 인종주의자였지만 여성 참정권을 지지한 조지 프랜시스 트레인의 대선 유세 지원에 나섰다. 그 결과 페미니스트운동 진영은 첨예하게 양분됐다.

 

19세기 중반을 지나며 여성운동계는 모든 사회-노동 의제에 대해 갈수록 보수화하는 면모를 보이는데, 이는 소수민족-인종 현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이같은 보수적인 전환 속에서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자연권 사상과 절연했다. 이들 페미니스트는 자신들의 투표권 요구가 “외국 태생들이 불러올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해서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1903년 주류 여성운동 진영에선 (주목할 만한 했어도 소수 의견에 그친 샬롯 퍼킨스 길먼의 반대가 있기는 했지만) 참정권 획득에 앞서 “교육적 요구”가 충족돼야 한다는 주장을 공공연히 펼쳤다. 이렇듯 내적 긴장이 팽팽한 가운데, 상당수 참정권주의자들은 정통 인종주의에 기대기까지했다. 예컨대, 세련돼 보이는 백인 여성 옆에 험상궂은 인상의 흑인 짐꾼이 앉아 있는 포스터에 이런 글귀가 적혀 있는 식이었다―“저런 애들도 투표하는데, 나라고 못할 게 뭐지?”

 

이와 같이 불평등(한 체제)의 희생자들 사이에 (인종 대 젠더라는 구도로) 벌어진 온갖 갈등 속에서, 계급이란 변수에 관해선 실질적으로 아무런 얘기가 없었다. 오늘날도 여전히 그렇지만, 아프리카계 미국인들과 여성의 대다수가 노동 계급이었는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렇다 보니, 여러 상층 계급의 이해를 지지하는 투표권 행사로 일생을 보내고 (미국에서는 “중산층”이라고들 하는) 노동 계급들의 이해가 담긴 입법들은 줄곧 반대해온 완고한 보수파 공화당 후보가, 노동 계급으로서 여성 내지 아프리카계 인물을 미합중국 대통령으로 탐탁치 않아 하는 상당수 유권자들의 지지를 바랄 수 있는 게다.

 

여기에 새로운 무언가가 있을까? 글쎄, 있기는 하다. 고작 10년 전만 해도, 민주당 대선 후보에 여성과 아프리카계가 나설 수 있다는 건 그 자체 생각 불가한 일이었을 테니 말이다. 어느 쪽이 됐든 그가 대통령까지 되기란 아직 난망한 것으로 판명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어떻게 될지는 계급적인 이슈들, 고상하게들 “경제” 관련 이슈라고 했던 현안들을 민주당이 얼마만큼 의제화해내느냐에 달려 있다. 그리 되면야 선거는 압도적 승리로 끝을 맺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엔 힘겨운 싸움이 될 것이다.

 

 

 

 

원문보기http://fbc.binghamton.edu/232en.htm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05/05 23:44 2008/05/05 23:44
https://blog.jinbo.net/redivy/trackback/73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