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나의 모든 시는 산재시다

나의 모든 시는 산재시다

세계 산재노동자 추모의 날을 맞아

                                                                                 송경동

 

산재추방의 날에 읽을

시 한 편 써달라는 얘길 듣고

멍하니 모니터만 보고 앉아 있다

또 뭐라고 써야 하지

무슨 말을 할 수 있지

 

잘린 손가락과 발들을 위로하면 될까

강압으로 목과 허리에서 탈출한 디스크 추간판들을 위로하면 될까

모든 부러진 뼈, 찢어진 눈, 터진 머리, 이완된 근육

닳아진 무릎, 손상된 폐를 위무하면 될까

압사, 추락사, 감전사, 질식사, 쇼크사, 심근경색, 유기용제 중독으로

하루에 여덟 명씩 일수 붓듯 착실하게 죽어간다는

모든 산재 열사들을 추모하면 될까

 

식당 아줌마, 중국집 배달부, 퀵 서비스, 가사 노동

모든 비공식부문 노동자들에게도

180만 특수고용 노동자들에게도

영세농민에 불과한 농업 노동자들에게도

산업폐기물이 된 노령인들에게도

산재보험을 적용해달라고 간구하면 될까

산재 민간감시원을, 산재요양 기간과 적용 범위를 좀 더 늘려달라고

산재 주무기관을 좀 더 민주화시켜달라고 청원하면 될까

 

산재추방의 날에 읽을 시 한 편을 써달라는 얘길 듣고

멍하니 모니터만 보고 앉아 있다

사무직 노동자들은 산재가 없을까

써비스직 노동자들은 산재가 없을까

전문직 종사자들은 산재가 없을까

내 아내에게는 내 아이에게는 산재가 없을까

사랑하는 사이에는 산재가 없을까

신체가 늘어지거나 부러지거나 잘리는 것만이 산재일까

비정규직으로, 실업으로 쫓겨나는 것은 산재 아닐까

쪼들리는 삶으로부터 오는 모든 정신의 훼손과 관계의

파탄은 산재가 아닐까

 

나의 모든 시도 실상은 산재시다

내가 외로움을 이야기할 때 그것은

모든 형태의 산재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이 세계의 대한 항의다

내가 자연을 그리워할 때 그것은

모든 조화로움으로부터 쫓겨난

근본적인 산재에 대한 항변이다

 

보라, 저 거리에 나온 모든 상품들도

불구의 몸으로 산재를 앓고 있다

보라, 저 거리에 선 모든 나무들도

팔다리 잘리며 산재를 앓고 있다

보라, 저 들녘 강물의 모든 실핏줄들도

검은 가래에 막혀 산재를 앓고 있다

보라, 저 하늘 위에서 내리는 모든 눈도 비도

산재에 물들고 있고, 보라

저 하늘의 오존층도 우리의 폐처럼

숭숭 구멍 뚫리고 있다

 

이 모든 산재를 보상하라고

우리는 말해야 한다

이 모든 산재를 지속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라고

우리는 요구해아 한다 누구에게? 저 자본에게

우리의 잘린 손가락과 발가락을 모아

닳아진 무릎 뼈와 폐혈관과 혼미해진 정신을 모아

배부른 저 자본에게 우리는 요구해야 한다

이윤이 중심이 아니라

건강과 안전과 평화와 연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가장 악독한 산재, 이 눈먼 자본주의를 추방해야 한다고

모든 스트레스의 근원인 착취와 소외의 세계화를 막아야 한다고

모든 사랑스런 관계들을 파탄으로 내모는

이 불안정한 세계를 근절해야 한다고

 

산재추방의 날에 읽을 시 한 편 써달라는 얘길 듣고

멍하니 모니터만 바라보고 있다

자본주의를 추방하지 않고

산업재해 없는 세상이 올 수 있을까

생각하면 이렇게 간단한데 그것이 왜 이다지도 어려울까

나와 우리가 진정으로 겪고 있는

가장 엄중한 산재는 이것이 아닐까

더 이상 희망을 말하지 못하는

다른 세계를 꿈꾸지 못하는

이 가난한 마음들, 병든 마음을

 

 가장 엄중한 산재는 더 이상 희망을 말하지 못하고 다른 세계를 꿈꾸지 못하는 가난한 마음이지 않느냐. 이 ‘말’이 나를 부끄럽게 했다. 지금에 내 마음이 병 들어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희망 버스’를 통해 많은 대중들이 너와 내가 함께 미약하지만 ‘운동’을 하고 있구나, 혹은 그래도 아직 희망은 있구나, 등에 말로 설명할 수 없는 연대의 에너지를 ‘희망 버스’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다면 나는 이런 상황에서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조금에 여유 ‘돈’이 있는 편이 낳겠다 싶어서 ‘일’을 시작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뭔가 답답하고 무엇을 위해 ‘일’을 하고 있는지 어떤 벽에 갇혀 있었다. 그런 나에게 송경동 시인은 질문을 던졌다. 너에 마음은 병들어 있다. 아니 지금 우리는 병들어 있다. 우리에 꿈과 희망마저 앗아간 저들에게 산재를 요청하고 막아내야 한다고.

문제는 현실에 벽을 뛰어 넘기가 쉽지 않다. 아니 뛰어넘고 나면 후회하며 살 것 같아서 두렵다. 보통 환자들이 병원에가 가서 의사에게 진찰을 받거나 사진을 찍어보고 병이 확인되면 치료를 시작하지 않는가? 나에겐 송경동 시인이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으로써 내 병을 확인했다. 문제를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데... ‘활동가’로써의 삶은 병을 가장 근본적으로 나게 하는 수술이 될 것이다. 문제는 그 수술에 후유증이 겁이 난다. 그리고 다른 방법은 ‘출판인’으로써 의 삶이다. 그 길은 수술에 대한 후유증도 비용도 부담이 없는 그런 삶이지만 평생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근본적으로 ‘병’을 ‘야만적인 자본’의 시대를 끝낼 수 없다. 한계가 있다는 생각이다. 물론 꼭 이렇게 이분법적으로 사고하는 것은 굉장히 위험하고 잘못된 판단이다. 하지만 뭔가 근원적인 해결책은 아니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시’는 나에게 질문을 던지게 하고 세상을 살아가는 지침이 되고 새로운 상상력이 되어준다. 조지 오웰이 말했듯 어떤 ‘책’이든 정치적이지 않은 것은 없다. 예술이 문학이 정치적이지 않아야 한다는 것 자체로 이미 정치적이지 않은가?

나도 시인이 되고 싶다. 예술가가 되고 싶다. 해방에 상상력을 읽고, 쓰고, 그리고, 말하고 싶다. 

이 시대 모든 노동자, 여성, 장애인, 소수자 들과 함게 해방에 '문화'를 꿈꿈고 싶다 

내 ‘글’ 과 '상상력'이 야만의 시대를 끝내는 데 주춧돌이 되었으면 한다.

할 수 있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