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저녁엔 도시락으로 저녁식사를 했다. 이를 계기로 도시락과 뷔페식에 대해서 말해본다. 명동에서 내가 가는 뷔페식당은 홍빠와 회사 가까운 꾸시 두 곳이다.
P에게서 "뷔페식의 진실에 관해서 방송을 하니 어서 보라."고 전화를 받은 것은 그 며칠 전이었다. MBN인지 어딘지,,,, "재밌는 프로도 많은데 뷔페식이 뭐 어떻기에 그걸 보라는 것일까? 봐 말어?" 잠시 망설였지만 약간 내키지 않는 마음으로 채널을 맞췄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그 방송 프로를 잘 본 것 같다. 한 번도 생각하지 않았던 뷔페식에 대한 숨겨진 이면을 조금은 알게 됐으니 말이다.
이런 종류의 프로를 좀 더 일찍 봤더라면 뷔페식에 관한 나의 막연한 선입견이 어떻게 달라졌을지 모르겠지만, 그 방송을 보고난 후의 제일 큰 변화는 다음 미팅은 뷔페식당에서 해야겠다는 계획을 슬그머니 접게 된 점이다. 아마도 괜찮은 식당을 알아뒀다가 이용하는 쪽에 더 방점을 둬야 할 것 같다. 개인적인 점심식사는 가톨릭회관에서 하는 것으로 정하는 것이 제일 무난할 것 같고.
홍빠는 각종 육류가 구비돼 있어서 고기를 직접 구어 먹을 수 있는 특장점이 좋았었다. 각종 소스와 야채와 쌈이 갖춰져 있고 밥 종류로는 김밥, 볶은 밥, 초밥, 국수와 샐러드 떡볶이가 있었다.
반면에 꾸시는 김밥 종류가 훨씬 더 여러 가지다. 이에 못지않게 초밥종류도 상당히 많다. 그런데 생선초밥 위에 얹어진 생선이 신선하리라는 보장에 확신은 없다. 생선이 흔한 항구도시에서 나고 자란 덕분에 생선반찬을 많이 먹어본 경험과 미감(未感)은 초밥을 바라보는 눈높이에 까다로울 수밖에 없다.
생선초밥이란 간단히 말해서 작은 생선포를 밥 위에 얹어 먹는 것이기 때문에 신선한 생선과 즉석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점이 전제되지 않으면 신선도를 장담할 수 없다. 전부터 초밥을 그리 신용하고 있지 않은 이유다. 더구나 초밥은 우리나라의 주된 식사 형식도 아니고, 싸구려 뷔페식당에서 대량으로 제공되는 생선초밥을 마냥 좋아할 순 없다.
아무튼 꾸시에는 튀김종류가 갖춰 있고 후식으로 과자종류와 와플을 즉석에서 구어 먹을 수있다. 근데 꾸시에 김밥 종류가 많은 것은 좋은데 하나같이 마요네즈와 비슷한 소스가 얹어있었다. 남들은 어떤지 모르지만, 김밥에 하나 같이 맛내기 소스가 얹어 있는 것을 보자니 "저건 아니다." 싶었다. 종류는 너절하나 맛에 차별성이 없다는 것을 간파한 점이다. 왜 맛을 다 똑같게 해버렸지?
뷔페에 갔을 때 S는 무조건 좋아했고, M은 모시고 간 김에 엉겁결에 이것저것 잘 드셨고, V는 뷔페식에 별 메리트를 느끼지 못한다면서 좋은 평을 내리지 않았다. 이것은 뷔페식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 상태에서 몇 번 가본 느낌을 말한 것이고, 방송에서 알게 된 뷔페에 대해서 이제부터 기억나는 것을 말해본다.
뷔페에서 나오는 연어는 진짜 연어가 아니다. 달걀도 오래된 것을 쓰는 것은 보통이다. 파손된 채 유통되는 달rif을 쓰는 것쯤은 보통이라 한다. 소시지 종류도 유통기한이 지난 것은 말할 것도 없고, 고기야말로 등급 왜 고기를 쓰는 것이 보통이다. 젖소 중에서도 젓을 더 이상 못 짜는 폐 사육 소는 두당 불과 삼사십 만 원 짜리라고 한다. 육질이 질기고 영양가도 좋지 않다. 단가 싸게 팔리는 소를 결국 이런 곳에서 사용한다.
채소도 역시 마찬가지다. 음식도 리필해서 다시 요리한 것처럼 한다. 운영비를 줄이기 위해서 인건비를 줄여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요리는 조리사가 직접 만들 수 없다. 상당부분 대량으로 포장된 것을 사다가 봉투만 뜯으면 가능한 즉석요리로 충당된다.
이런 얘기들이 깜빡 잊고 기억 속에 잠복해 있었다. 엊저녁에 먹게 된 도시락 때문에 생각나서 비로소 수면위로 떠올려 봤다. TV에서 본 뷔페식과 내가 먹은 뷔페식이 떠올랐고, 부실한 도시락을 본 김에 '도시락의 진실'에 대해서도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 이제 도시락 얘기다. 한 단체에서 도시락을 먹게 됐다. 저녁을 먹게 된 시간은 8시 20분 쯤, 어떤 사람은 속도 모르고 "단가가 높은 도시락을 주문하면 양질일 것이다"라고 생각하겠지만 그것은 아니다. 도시락의 일반적인 특징은 어느 메이커, 어느 가격대이든지 돈가스나 생선가스 같은 기름에 튀겨낸 반찬이 주를 이룬다는 점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왜 그럴까? 그리고 오뎅조림도 빠지지 않고 들어있다. 오뎅도 결국은 생선에 밀가루와 조미료 잔뜩 넣어서 기름에 튀겨낸 싸구려 반찬이다.
장소에 모인 사람을 대충 보니 약 200~250쯤 될 것 같았다.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도시락 반찬이 예상치를 벗어나지 않았다. 우리나라 도시락 업체의 대표적인 메이커가 한솥 도시락일 거다. 내 경우 무용단을 이끌고 지방공연을 갈 때 몇 번이나 도시락 신세를 진 일이 있었다. 늘 30~40개 정도는 주문했는데 그때마다 김치와 야채를 여분으로 챙겨 갔었다.
왜 나는 도시락 문제에 관심을 보이는가? 사람은 배고플 때마다 먹어야할 상황에 처하고, 음식이라는 것이 너무 조악하면 비참한 생각이 든다. 저녁으로 먹은 도시락은, 김치가 새끼손가락 보다 더 가는 것이 딱 두 조각 들어있었다. 김치란 색깔이 빨갛고 물기가 있어서 도시락에 담기엔 좀 적당치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도시락밥을 먹을 때는 “김치 좀 더 있었으면‘’하는 아쉬움이 간절하다. 받아든 도시락에는 튀김반찬과 조림반찬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역시나 오뎅에 양배추 몇 가닥이기에 채소반찬이 절실했다.
이래저래 현대인은 자칫 잘못하면 질 나쁜 육식을 과도하게 먹는다는 사실이다. 왜 그럴까? 돈가스 같은 기름으로 튀겨내는 음식은 대량으로 만들 수 있고 쉽게 변질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반면에 채소반찬은 쉽게 변질되고 모양도 쉽게 망가진다. 그래서 도시락이나 프랜차이즈 음식점에서는 절대로 정성과 손이 많이 가는 요리사의 즉석요리와 신선한 채소반찬의 비중을 높이기란 쉽지 않다.
사정이 이러니 자본의 이익에 맞춰 형성된 패스트푸드를 주는 대로 먹어야 하나? 그러면 영양의 불균형이 심하다. 음식이란 고기와 야채를 적당한 비율로 섞어 먹어야 하는데 현실적인 이유와 경제적인 이유가 배치되는 상황다. 공임이 많이 드는 즉석요리로는 이윤을 맞추기 쉽지 않다. 양심적으로 신선 요리로 짜인 식단이 귀한 이유도 여기 있다.
여기서 대안 제시를 하고 싶은 거다. 이런 언밸런스를 개인적으로 보충하는 방법이 나로서는 김치로 충당한다. 김치는 채소가 주원료이면서도 쉽게 변질되지 않는 천연요구르트 즉 유산균 음식이다. 그러니 돈가스 종류의 패스트푸드 음식이 주조를 이루는 도시락을 먹을 때, 육식의 독소를 상쇄시킬 수 있는 것이 그래도 김치라고 생각해서다. 반찬 가지 수가 적다고 하지 않을 테니 오뎅 같은 조림반찬 하나 줄이더라도 김치나 좀 많이 줬으면 싶다.
청소년들도 비만으로 가는 지름길을 피하고 야채와 알맞게 섞어서 식사를 하는 습관을 길렀으면 좋겠다. 패스트푸드에서 제공하는 튀김음식을 무조건 먹지 말고, 조화된 식단을 제공하는 식당을 알아뒀다가 가려서 드나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먹는 것 하나라도 상술에서 계량화된 패스트푸드 위주로 따라가다가는 비만은 물론 각종 질병에 걸려서 삶을 건강하게 지탱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