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당 의제 토론 - 강령의 해석을 시도하며 2 -상품물신성의 의미

 

2. 물신성과 소외의 문제

오늘은 물신주의 혹은 물신성에 대한 부분을 본격적으로 검토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쓰는 '물신주의'라는 표현은 맑스가 [자본]에서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 발생하는 인간소외의 본질을 파헤치기 위해 상품과 화폐분석을 통해 이끌어낸 개념입니다. 그래서 물신주의라는 표현은 자본주의 상품생산 체제의 핵심이 담겨있는 말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먼저 다음 두 글을 인용하면서 시작하도록 하지요. 한국에는 『소비의 사회』와 『시뮬라시옹』이라는 책으로 잘 알려진 장 보드리야르라는 프랑스 사회학자와 시몬느 베이유라는 여성 철학자의 글입니다.

"소비과정은 기호를 흡수하고 기호에 의해 흡수되는 과정이다. 기호의 발신과 수신만이 있을 뿐이며 개인으로서의 존재는 기호의 조작과 계산속에서 소멸한다. 소비시대의 인간은 자기 노동의 생산물뿐만 아니라 자기 욕구조차도 직시하는 일이 없으며 자신의 모습과 마주 대하는 일도 없다. 그는 자신이 늘어놓은 기호들 속에 내재할 뿐이다."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

"오늘날 생산물만이 중시되고 그것을 만들어 낸 노동이 등한시된다는 것은 단지 상점이나 시장, 무역의 경우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근대적인 공장 안에서도 노동자의 경우에는 사정이 전적으로 동일하다. 작업상의 협력이나 이해, 상호평가란 그야말로 고위층의 권한에 속할 뿐이다. 노동자 계층에 있어서 여러 부서와 여러 직무 사이에 형성된 관계란 다만 사물간의 관계일 뿐 인간 상호간의 관계는 아니다. 부품은 명칭과 형태, 원료가 기입된 쪽지가 붙여져 유통된다. 이 부품이야말로 바로 인간이며, 노동자는 다만 교환 가능한 부품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부품은 제조 명세서를 갖는다. 또 몇 개의 큰 공장의 경우처럼 노동자가 출근시에 죄수같이 가슴에 번호를 단 사진이 붙어있는 신분증을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될 경우, 그 신분 확인 절차는 가슴을 찌르며 고통을 주는 하나의 상징이 되는 것이다. 사물이 인간의 역할을 하고 인간이 사물의 역할을 하는 것이야말로 악의 근원이다." (시몬느 베이유, 『시몬느 베이유 노동일기』)

인용을 좀 길게 했습니다만, 장 보드리야르와 시몬느 베이유의 이 글들은 맑스가 [자본]에서 분석한 인간소외와 물신주의의 문제를 잘 묘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보드리야르의 핵심은 현대자본주의 사회에서 상품은 맑스가 [자본]에서 분석한 것처럼 사용가치가 우위에 있지 않다는 겁니다. 보드리야르는 상품은 하나의 기호이며, 기호가치를 가진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소비과정은 기호를 흡수하고 기호에 흡수되는 과정이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더는 어떤 상품이 가지고 있는 쓸모있음, 즉 유용성을 잣대로 상품을 구매하지 않는다는 거지요. 사실 자동차는 이동수단일 뿐인데 많은 사람들은 더 크고 더 비싼 자동차를 선호하지 않습니까? 자동차는 보드리야르의 표현으로 보자면 '탈것', '이동수단'으로서 사용가치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부의 상징이라는 '기호가치'를 가지는 겁니다.

궁극적으로 보드리야르가 이 글에서 제시하는 것은 현대소비사회에서 인간의 '욕망'의 문제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정식화하면 이런 명제가 되겠지요.

"욕망은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이다."

욕망은 우리가 생존을 위해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과정에서 표현되는 개인의 특정한 의지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말하자면 배가 고프면 된장찌개를 먹든 라면을 끓여 먹으면 되는데 굳이 포크와 나이프를 사용해서 돈까스를 먹고 싶다고 욕망하는 거지요. 어떤 것에 대한 욕망은 개인적 의지의 표현인데 그 욕망이 실현되는 과정이 사회적이라는 측면에서 욕망은 사적 존재로서 개인과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이라는 이중적 측면을 드러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욕망이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것'이라는 말은 결국 개인의 의지를 사회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라고 읽을 수도 있겠지요. 욕망은 사회적 차원에서 실현되지 않으면 안 됩니다.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욕망은 타자의 시선을 의식하고 타자에게 이런 말을 듣고자 하는 겁니다. "난 당신이 너무 부럽다. 나도 당신처럼 되고 싶다." 이런 거지요. 아파트 광고에서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이 누구인지를 말해줍니다.', 그리고 친구가 어떻게 지내느냐는 물음에 '그랜저로 답했다'는 광고가 바로 이 명제를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라는 존재가 나 자신이 아닌 다른 물체/대상을 통해서만 드러난다는 점에서 물신주의는 언제나 매개를 통해서 작동합니다. 시몬느 베이유의 글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물이 인간의 역할을 하고 인간이 사물의 역할을 하는 것이야말로 악의 근원이다."는 말이 그렇습니다. 시몬느 베이유의 [노동일기]는 교사직을 그만둔 그녀가 1934에서 1935년 공장에서 노동을 하며 경험한 것들을 기록한 일기입니다. 보드리야르가 눈부신 현대소비사회를 살았다면 시몬느 베이유는 대공황의 시대 공장에서 노동자로서 인간소외의 현실을 경험하고 목도한 거지요.

시몬느 베이유가 말하는 핵심은 인간이 존엄성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공장의 부품과 같은 존재라는 거지요. 욕망하는 존재가 아니라 언제든지 필요에 따라 교체가능한 대상으로 전락했다는 겁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마찬가지지요. 공장에서 신체노동을 하는 노동자든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는 화이트칼라 노동자든 일터에서는 언제나 한 개인으로서 개성이나 인품이 아니라 그 사람이 발휘할 수 있는 노동능력으로 평가받습니다.

그래서 총무과 김과장이라 불리든 김대리라 불리든 그 사람은 그저 김대리이거나 김과장일 뿐이지요. 시몬느 베이유가 말하고 있는 것처럼 그는 구체적인 인격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단지 언제든지 교체가능한 부품과 같은 존재입니다. "사물이 인간의 역할을 하고 인간이 사물의 역할을 하는 것이야말로 악의 근원"이라는 말의 의미가 이런 거지요. 회사가 비용절감을 이유로 가장 쉽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대상이 바로 노동자가 아닙니까? 기업의 구조조정이란 바로 비용에 불과한 인간을 비용이 더 낮거나 비용이 들지 않는 다른 대상으로 교체하는 걸 일컫는 말이구요.

앞서의 보드리야르나 시몬느 베이유의 글은 동일한 하나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습니다. 한 사람이 그 사람 자신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으로, 또는 다른 어떤 것을 통해서만 드러난다는 겁니다. 그것이 욕망의 대상인 상품이든 노동력이라는 상품이든 자본주의 경제체제에서는 상품으로, 상품을 통해서만 존재가 표현된다는 겁니다.

맑스는 이런 현상을 상품물신성이라고 말했습니다.
음... 역시 길군요. 곧 이어서 연결하겠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5/29 12:17 2012/05/29 12:17
http://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251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