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가난'의 정치

"지난 4·11 총선이 끝난 뒤 한 여론조사기관에서 조사한 결과는 재미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월 소득이 100만 원 이하인 계층에서는 보수 여당을 찍은 비율이 76.2%, 101만~200만 원은 49.7%, 201만~300만 원인 계층은 48.6%였다. 500만 원 이상인 계층은 45.1%가 보수 여당을 찍었다. 놀랍게도 소득이 낮을수록 보수정당을 더 지지한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까."
 
 
 
 
 
 
 
한겨레를 안 본지가 1년이 넘었는데...오늘 트윗에서 읽을 만한 기사가 눈에 띄길래 모아놨다. 
한번은 정리해야 할 내용인데...트윗에 올린 글을 다시 옮겨 놓는다.
 
'빈곤'이 '사회적' '정치적'으로 관리되고, 활용되고, 그리고 어떤 세력과 이념에서든 '도구'로 기능하기 시작한 건 자본주의의 태동기부터 아닌가 싶다.
 
영국의 '구빈법'은 그걸 상징적으로 대표하는 것이고, 이후 자본주의하에서 '사회정책'의 쟁점에서 핵심은 '가난' 정치경제학적으로 표현하면 '상대적 과잉인구' '산업예비군'에 대한 관점, 입장, 그리고 정책화가 아닐까?
 
자본주의 이전 시기 '가난'은 개념적으로나, 관념적으로나 언급되었나? 이건 모르겠다.
 
'가난은 나랏님도 구제 못한다'라는 속담의 사회적 맥락, 시대적 배경은 무엇이었을까? 절대적인 물질적 궁핍의 시대?
 
하나 분명한 건 자본주의 이후 급진적 사상과 이념, 실천의 기반은 '가난한 자'에서부터 시작된게 아닌가 싶다. '빵'이란 구호가 그걸 의미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