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맑스 오해하기] 댓글이 길어져 새로 올리는 글.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화두와 거기서 나온 여러 의견을 가지고 변혁을 모색한다는 취지에 동감해요.
진보 담론 포함해서 많은 경우에 어떤 책에 대한 해설을 읽고 그에 대해 다시 해설을 붙이는 경우가 많지요.
그리고 본문 내용 중 눈에 확 띄는 한 구절만 발췌해서 여기에 해설을 붙이고 여기에 다시 해설이 붙는 경우도 많지요.
모든 책을 다 읽을 수 없는 물리적 제한이 있기에 이것도 의미있는 일이지요.
그래서,
계속 보기...
가끔 해설서나 발췌문은 도대체 어떤 맥락에서 씌였나 알아보고 싶을 때가 있지요.
시간의 제한 때문에 물론 이것도 다 가능한 것이 아니지요.
그래도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저 유명한 말은 원전을 살펴보게 만들더군요.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말에는 그 의식이 바람직한 의식인지 바람직 하지 못한 의식인지에 대한 가치판단이 없지요.
그런데 이것을 "모든 노동가는 저항의식을 갖는다" 로 바꾸는 순간에는
"모든 노동가는 억압을 깨려는 바람직한 저항의식을 갖는다" 라는 가치판단이 들어간 가설로 비약하지요.
너부리님, 리우스님, 몇 해 전 홍세화님 같은 분들이 말한 것은 바로 이 가치판단이 들어간 가설에 대한 비판이지요.
당연히 그런 비판과 취지는 타당해요.
그러나 이 가설을 맑스의 테제로 이해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해요.
맑스를 발췌 해설한 사람들의 테제는 될 수 있어도 맑스의 테제는 아니거든요.
이러면 어떻고 저러면 어떠하리 하고 말하면 할 말 없지많요.
맑스의 "존재가 의식을 규정한다" 라는 테제는 "의식이 존재를 규정한다" 라는 관념론 테제에 대한 유물론적 반격이지요.
풀어말하면 "의식, 언어, 생각 등이 먼저 있고 그것들이 사람들의 삶을 만들어 나간다" 라는 관념론 주장에
맑스는 "아니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과정에서 의식, 언어, 생각 등이 생긴다" 라고 말하고 있죠.
맑스의 테제를 비판하려면 유물론의 오류를 지적하고 관념론을 타당성을 논증하거나
아예 폭을 넓혀 서양철학의 관념/물질, 본질/현상, 의식/존재 등에 대한 비판, 혹은
유물론, 관념론 2분법에 대한 비판으로 나아갈 수도 있지요.
맑스의 텍스트를 우리 상황에서 재해석하고 비판하고 변혁의 도구로 써야하지 텍스트를 우상화 하면 안 된다는 논지에는 모두 동감할 거에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것도 중요하지 않을까요?
물론 다 읽을 수는 없지만 적어도 중요한 테제가 나오는 부분만이라도요.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일이 그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신봉하는 일과 같은 건가요?
맑스 해설, 발췌문에 대해 의문을 갖고 문맥을 꼼꼼히 살펴 보는 일이 훈고학적이고 교조적이고 망해가는 방식이고 독선적일까요?
댓글 목록
리우스
관리 메뉴
본문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일이 그 텍스트를 무비판적으로 신봉하는 일과 같은 건가요? 맑스 해설, 발췌문에 대해 의문을 갖고 문맥을 꼼꼼히 살펴 보는 일이 훈고학적이고 교조적이고 망해가는 방식이고 독선적일까요?" => 질문을 참 빼도박도 못허게 허시네... 답: 아니요?... 글타믄 저는 맑스를 심각하게 오해하고 있었다고 실토해야 되겠군요... 실은 사회적 주체들의 존재 자체로부터 저항주체가 될 수 있냐없냐는 소질을 타고난다고 '존재-의식' 테제를 읽었고, 계급 문제설정을 그렇게 하고 있었으니까요. 제가 그렇게 문제설정했던 것은 맑스의 <자본>에 주로 근거한 거에요... <자본>으로 <독/이> 를 의도적으로 오독한 거죠. 저는 <선언>과 <잉설사>의 생산/비생산 노동을 연루시켜 읽을 때도 그런 오독을 했을껄요? 또 <프3부작>허고 <독/이>도 마찬가지고 엥겔스의 <국/사/가기원>과 <독/이> 및 <프3> 그리고 <고강비>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오독했을 거에요... 다시 말씀드리지만, 저는 <독/이>를 <독/이>로 '반듯하게' 해석/정독 허시는 건, 제 일이 아닐 뿐, 얼매든지 허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맑스 사후 뒤틀린 역사과정들 속에서 맑스의 '논지'를 살려낼 좋은 결실을 내기를 바래요. 저는 그런 방식으로 맑스를 살려내거나 죽이거나 그런 일 헐 생각이 아니고, 맑스건 관념론이건 누구에게서건 지금 내 앞에 놓여진 세상을 쪼매라도 바꾸는 일에, 나와 사람들을 함께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일에 도움이 된다면 오해를 골백번 허더라도 모두 내식으로 차용해서 써먹을 이론(수준도 안될지언정)이나 실천을 하려니깐요. 그래서 결국 다시 답: 아니요?=> 아니요.부가 정보
노나매기
관리 메뉴
본문
맑스 텍스트를 꼼꼼히 읽는 목적이 맑스 글의 해석/정독 또는 맑스의 논지를 살려내는 것일까요? 골백번 오해를 하더라도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일에 도움이 될 수 있듯이 골백번 꼼꼼히 읽더라도 역시 도움이 될 수 있거든요.부가 정보
leeus
관리 메뉴
본문
녜.. 저도 언젠가는 노나매기님에 진짜루 말씀허려던 것이 뭐였는지 알 수 있게 되기를 바래요.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