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 목록
-
- 새로운 프로그램
- 유마
- 2010
-
- 고사신편에 대하여
- 유마
- 2010
-
- 입장
- 유마
- 2010
-
- 페어 러브
- 유마
- 2010
-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권 1장 발췌
- 유마
- 2010
������朝花夕拾������에서는 루쉰을 오랫동안 감싸고 있던 적막감이 잘 들어나지 않는다. ������납함������에서 루쉰이 보였던 추억에 대한 태도를 생각한다면 의외다. 그 시절 그에게 추억은 ‘마음속의 실 한 가닥으로 쓸쓸하게 시간을 매어두는 것’처럼 보였다. 그런데 ������조화석습������에서 루쉰의 ‘추억’ 혹은 ‘기억’에 대한 태도는 다르다.
물론 ������조화석습������ 역시 기억이나 추억의 허망함에서 시작한다. “나는 전에, 마름시, 누에콩, 줄의 새싹, 참외 등등 어렸을 때 고향에서 먹었던 채소류가 줄곧 생각나서, 그게 얼마나 맛있었던지 입맛을 다실 정도로 심한 망향의 정서에 사로잡힌 일도 있었다. 그런데 오랜만에 정작 그것을 먹어 보니 별게 아니었다. 단지 기억 속에서는 지금도 옛날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다.” 추억의 허망함. 우리에게 추억의 허망하다는 말은 진부하게 된지 오래다. 그러나 동시에 ‘추억이 허망하다’는 말 또한 허망하게 생각된다. 좀 더 분명히 말하자면 ‘허망하다’는 말이 실감나지 않는다. ‘그래 추억은 허망한 거야. 기억․추억이란 우리가 만들어낸 가공에 지나지 않지’라는 말로 끝나지 않는 문제가 남는다. 즉 허망하다는 말과 내가 실감하는 것 사이에 너무나 큰 구멍이 존재한다. 허망하지. 그런데 ‘허망하다’는 말은 도대체 뭐야?
많은 경우 기억이 허망하다는 것은 관용구에 가깝다. 여전히 우리는 기억과 추억의 허망함에 대해 이야기하지만, 허망함을 인정하는 순간, 그것에 대해 어떤 지적, 예술적 노력을 쏟으려고 하지 않는다. 반면 루쉰은 추억의 허망함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 허망한 말을 집요하게 탐구하는 듯하다. 물론 그에게 역시 추억은 허망하다. 본래적인 기억, 변하지 않는 기억, 단단하게 굳어진 기억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점에서. 그러나 어릴 적 기억 속으로 깊게 잠수해 들어가,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까지 자신의 추억을 고스란히 드러내고 있다. 이런 점에서 「조화석습」은 루쉰의 과거가 어떻다는 것을 보여주기 보다는 루쉰이 과거나 추억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즉 그는 허망한 과거에 어떻게 접근하고 있는가?
루쉰은 과거나 추억은 하나의 사건에 불과할 뿐이라고 말하는 듯 하다. 즉 추억은 하나의 사건에 지나지 않는다. 과거의 것이 치유되지 않은 채로 억눌려 있다가 특별한 계기에 폭력적으로 표출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말 그대로 과거는 과거다. 가령 「개․고양이․쥐」에서 루쉰의 고양이에 대한 증오는 얼릴 적 상처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가 고양이를 싫어하는 이유는 루쉰의 일상을 좀 먹기 때문이다. 그가 고양이를 미워하는 것은 ‘正人君子’라고 거드름을 피우는 이들을 증오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이다. 이것은 이들의 타자에 대한 태도라든가, 권력 지향적 욕망이 작용하는 현재적 증오지, 과거의 유산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 혹은 추억의 시간은 종종 삶에 던져진 그물로써 작동한다. 그렇다면 이런 ‘거슬러 올라간 생각(追憶)’의 무게를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루쉰은 관찰을 통해서 문제를 벗어난다. 24효도에서 어린 루쉰은 과거의 것을 일단 그대로 받아들인다. ‘효’ ‘정절’과 같은 말의 무게 속에 갇히는 대신, 그 말이 그대로 받아들여 본다.
“지금도 잊지 못하거니와 부모 앞에 누워 있는 노인과 어미니 팔에 안겨 있는 아이(곽거가 아이를 묻다), 그것이 나에게는 매우 이상스럽게 느껴졌던 것이다.”
추억 혹은 과거에 붙들리는 것은 개인의 정신적이고 육체적 무기력함과 결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무기력함은 관찰력 부족에 유래한다. 실재의 삶이 이루어지는 사소하고 일상적인 것에 대한 무감각, 생각 없음이 일종의 재앙으로 작동한다. 즉 추억과 같은 시간의 무게를 벗어나는 것은 일상 혹은 익숙한 것에 대한 거리두기와 관찰을 통해서이다. 사람들이 추억이나 과거의 무게를 짊어지는 것은 그것에 대해서 무지해서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그 사람들 속에서 특정한 의지가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를 미래로 미루며, 보이지 않는 심판자에게 삶을 의탁한다. 그들은 어떤 순간에도 그리고 어떤 장소에서도 자신의 삶을 살지 않는다. 루쉰은 이런 삶의 방식에 대해 ‘아 구제할 길 없구나’하고 탄식한 바 있다. 기억이나 추억의 굴레에 갇혀 있는 한, 현재의 삶, 지금의 삶은 존재하지 않는다.
루쉰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현재의 삶이다. 가장 가까이 있는 것들이 대부분의 사람들에 의하면 잘못 이해되고 있으며 심지어 관심의 대상조차 되지 못한다. 삶을 둘러싼 것들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추억도 이러한 세심한 관찰의 대상이다. 즉 현재의 상태를 상대화하기 위해 사람들은 ‘자신의 역사‘를 상대화해야한다. 루쉰은 자신의 추억․기억을 관찰하고 분해하며 재조합한다. 이런 점에서 ������조화석습������은 루쉰이 자신에 대해 행한 계보학의 결과물이다. 계보학이 그 기원을 드러내면서 ’말‘의 굴레에서 벗어난 삶의 길을 열어 주는 것처럼, 재조합된 추억은 삶을 위한 무기로 전환되고 있다. 이것이 후지노 선생의 가르침에 대한 기억이 ‘정인군자’들이 싫어하고 미워할 문장을 다시 쓰게 하는 전환할 수 있는 이유일 것이다.
������조화석습������에서 기억․추억되는 대상은 그렇게 비애에 차 있지 않다. 오히려 추억은 살아가는 데 추동력으로 작용한다. 말하자면 루쉰은 추억을 허망한 비애의 대상으로 삼기보다는 삶을 위한 힘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그에게 추억은 삶을 위한 활용되어야 할 기술을 배우고 연마하는 장이다. 아침 꽃을 저녁에 줍는 것, 이 시간의 활용술이 ‘기괴함’과 ‘공막감’에서 벗어나기 위한 루쉰의 ‘시간-전투술’이 아니었을까?
[아침놀] 1부를 읽었다.
니체는 이 책과 만나는 사람들은
'지하에서 작업하고 있는 한 사람'을 보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그리고 그가 '서서히. 신중하게, 부드럽지만 가차없이 전진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자신의 아침, 구원, 아침놀도.
니체는 우리가 당연시하는 것,
우리에게 당위로써 명령되는 것들의 지층 속으로 들어가
지층의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방식으로 쌓여가는지를 세심하게 파헤친다.
그는 이것을 위해 세심하게 말들의 가치를 분류하고 그 의미를 파고들어간다,
그것은 신중한 작업이다. 그 말들은 천천히 읽혀지고, 천천히, 세심하게 해체된다.
당연히 강한 인내심은 필수적이다.
지층을 탐사하고 그것을 뚫고 나오기 위해서
우리는 강한 뚝심과 예리한 안목, 섬세한 손을 가져야 한다.
그러고 나서여 우리의 충혈된 눈은 아침놀을 보게 될 것이다.
그런데 [아침놀] 의 니체는 '지하생활자'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가 설사 지층들을 탐사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나에게 놀라웠던 것은 니체가 탐사과정에서 서 있는 위치였다.
그는 때로는 자연의 시선에서, 때로는 우주적 관점에서
인간들이 만들어온 지층들을 바라다 본다.
인간들은 자신들의 위치를 상대화해서 바라다보지 않는다.
인간은 동물과 다른 특권적 존재이며,
당연히 그들이 지구라는 자연이 만들어낸 최고의 산물이다.
그러나 "어떤 작은 별과 그곳에 살고 있는 작은 종인 인류에게
하나의 예외가 허용되어야 하는가!"
벌레가 자연의 일부이듯 인간 또한 자연의 일부다.
이 최후의 인간들 속으로, 이 먼지 속으로 들어가
그 속에 또아리 트고 있는 세계를 해체해야 한다.
인간들은 수 많은 것들이 마치 인간을 위해 존재하는 것처럼 생각하지만.
아마 인간들이 사물에 부여해 왔던 그 의미들을 해부하게 된다면
그것이 한낯 인간들의 자기 망상에 지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결국 이 사물에 대한 인식은 '인간' 자신에 대한 인식이 될 것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말들 속에 우리 자신이 모습이 들어가 있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이 모습을 때로는 멀리 때로는 아주 가깝게
바라다보고 있다.
만약 니체의 언어에 '선명한' 언어 혹은 과학의 언어라는 말이 허용된다면
그것은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는 것 다름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만들어낸 말의 연계고리를 깨트리는 것.
그렇게 하기 위해 우리 또한 지층으로 잠수해야 한다.
|
댓글 목록
불씨
관리 메뉴
본문
루쉰의 글을 읽어 보겠다고 했다.예전에 루쉰의 일상적 수필과 같은 "아침꽃을 저녁에 줍다"란 책을 가지고 있었다.그런데 그것을 다 보지는 않았었다.한때는 중국 정치사를 광범위하게 생각하고 그것을 알수도 없고 또한 우리의 현실이 그들의 역사의 무관할수 없다면.....
오늘,루쉰의 책을 볼려고 했으나 다른책을 읽고 있다."동양고전서 안내서(읽기)"를 보고 있다.
루쉰의 책을 다시보고 싶은 이유는 특별하지 않고 그의 삶과 이성적 관계의 소통이다.한 인간으로써 그를 보며 지혜를 참고하고 나의 삶을 돌아보는 계기라고 본다.
공감하는 말-"있는 그대로" 평범한 인간루쉰에 대하여.....
부가 정보
불씨
관리 메뉴
본문
"곰숙" 말은 훌륭하다.부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