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살로메와 세례요한

복음서는 세례 요한의 죽음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그때에 헤로데 영주가 예수님의 소문을 듣고시종들에게, “그 사람은 세례자 요한이다. 그가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되살아난 것이다. 그러니 그에게서 그런 기적의 힘이 일어나지.” 하고 말하였다.

헤로데는 자기 동생 필리포스의 아내 헤로디아의 일로, 요한을 붙잡아 묶어 감옥에 가둔 일이 있었다. 요한이 헤로데에게 “그 여자를 차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하고 여러 차례 말하였기 때문이다. 헤로데는 요한을 죽이려고 하였으나 군중이 두려웠다. 그들이 요한을 예언자로 여기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마침 헤로데가 생일을 맞이하자, 헤로디아의 딸이 손님들 앞에서 춤을 추어 그를 즐겁게 해 주었다. 그래서 헤로데는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 청하는 대로 주겠다고 맹세하며 약속하였다.그러자 소녀는 자기 어머니가 부추기는 대로,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 이리 가져다주십시오.” 하고 말하였다. 임금은 괴로웠지만, 맹세까지 하였고 또 손님들 앞이어서 그렇게 해 주라고 명령하고,사람을 보내어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게 하였다. 그리고 그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주게 하자, 소녀는 그것을 자기 어머니에게 가져갔다.

요한의 제자들은 가서 그의 주검을 거두어 장사 지내고, 예수님께 가서 알렸다.

----마태오 복음서, 14장 1절~12절

 

이 헤로데는 사람을 보내어 요한을 붙잡아 감옥에 묶어 둔 일이 있었다. 그의 동생 필리포스의 아내 헤로디아 때문이었는데, 헤로데가 이 여자와 혼인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요한은 헤로데에게, “ 동생의 아내를 차지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하고 여러 차례 말하였다.

헤로디아는 요한에게 앙심을 품고 그를 죽이려고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헤로데가 요한을 의롭고 거룩한 사람으로 알고 그를 두려워하며 보호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말을 들을 때에 몹시 당황해하면서도 기꺼이 듣곤 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좋은 기회가 왔다. 헤로데가 자기 생일에 고관들과 무관들과 갈릴래아의 유지들을 청하여 잔치를 베풀었다. 그 자리에 헤로디아의 딸이 들어가 춤을 추어, 헤로데와 그의 손님들을 즐겁게 하였다. 그래서 임금은 그 소녀에게, “무엇이든 원하는 것을 나에게 청하여라. 너에게 주겠다.” 하고 말할 뿐만 아니라, “네가 청하는 것은 무엇이든, 내 왕국의 절반이라도 너에게 주겠다.” 하고 굳게 맹세까지 하였다.

소녀가 나가서 자기 어머니에게 “무엇을 청할까요?” 하자, 그 여자는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요구하여라.” 하고 일렀다.소녀는 곧 서둘러 임금에게 가서, “당장 세례자 요한의 머리를 쟁반에 담아 저에게 주시기를 바랍니다.” 하고 청하였다. 임금은 몹시 괴로웠지만, 맹세까지 하였고 또 손님들 앞이라 그의 청을 물리치고 싶지 않았다.그래서 임금은 곧 경비병을 보내며, 요한의 머리를 가져오라고 명령하였다. 경비병이 물러가 감옥에서 요한의 목을 베어, 머리를 쟁반에 담아다가 소녀에게 주자, 소녀는 그것을 자기 어머니에게 주었다.

그 뒤에 요한의 제자들이 소문을 듣고 가서, 그의 주검을 거두어 무덤에 모셨다.

---마르코 복음서, 6장 17절~29절(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http://www.cbck.or.kr/)

 

여기서 이름이 나타나지 않는 소녀, 헤로디아의 딸은 이름이 살로메Salome라고, 유대 역사가 요제푸스Flavius Josephus(37-100)는 우리에게 알려준다.

 

살로메의 춤 The Dance of Salome(1461-1462)

패널에 템페라 Tempera on panel,

9 1/4 x 13 1/2 inches (23.8 x 34.3 cm)

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고촐리가 그린 ‘살로메의 춤’은 성서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보여준다. 그림은 시간 경과에 따른 내용을 한 화면에 모아놓았다. 전경에는 제목 그대로 살로메가 춤을 추고 있다. 인물들의 의상은 고촐리가 살던 시대 이탈리아 사람들 의상 그대로이다. 오른쪽에서 그녀의 춤을 구경하는 그녀의 의붓아버지를 비롯한 다른 손님들의 표정은 즐거워하기보다는 난처한 모습인데, 그것은 아마 소녀의 요구를 들은 다음의 표정일 것이다. 연회장 왼쪽의 좁은 방에서는 짐승가죽을 걸친 세례 요한의 참수가 진행중이다. 마지막으로 중앙 후경에는 쟁반에 담긴 요한의 목을 어머니에게 갖다 바치는 살로메가 그려져 있다.

성서 내용과 이 그림으로 보면 살로메는 적개심에 불타는 어머니 헤로디아의 하수인일 뿐인 것 같다. 실제로 16세기 중반에 그려진 루이니의 그림 제목은 살로메가 아니라 헤로디아이다.

 

헤로디아Herodias(1527-31)

패널에 템페라Tempera on panel, 51 x 58 cm

우피치 미술관Galleria degli Uffizi, Firenze

 

입가에 미소가 떠도는 이 아름답고 우아한 여인은 성인의 잘린 목과 대조를 이룬다. 여기 그려진 헤로디아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여인들과 매우 흡사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어 한때 이 그림은 레오나르도의 것으로 생각되기도 했다. 아무튼 그녀는 죄 많은 여인으로 보기에는 너무 아름답다. 오히려 죄의 추악함은 그녀에게 요한의 머리를 가져다 주는 형리의 추한 얼굴에서 드러난다.

이렇게 세례 요한의 죽음을 둘러싼 드라마의 주인공은 원래 헤로디아였으나 그 중심에 살로메가 놓이게된 결정적 계기는 오스카 와일드Oscar Wilde(1854~1900)의 희곡 ‘살로메(1893)’이다. 줄거리의 얼개는 대강 같지만 와일드는 이 작품에서 세례 요한을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이 헤로디아의 복수심 때문이 아니라 살로메의 세례 요한에 대한 사랑 때문인 것으로 해 놓았다. 물론 성인은 그녀의 사랑을 거절하며, 마침내 그녀는 살아서 그녀의 키스를 거절한 요한의 베어진 머리에 키스하기에 이른다. 여기에 의붓아버지 헤로데왕의 아름다운 의붓딸에 대한 욕망의 시선이 겹쳐지면서 이 비극은 사랑과 욕망, 그리고 죽음이 겹쳐진 세기말의 데카당스를 잘 표현하고 있다.

와일드는 다만 춤을 추었다고 되어 있을 뿐인 살로메의 춤을 ‘일곱 베일의 춤’으로 구체화했다. 일종의 스트립 댄스랄 수 있는 이 관능적인 춤으로 의붓아버지에게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어내는 여인이 살로메인 것이다.

 

살로메Salome(1906)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렌바흐하우스Lenbachhaus, Munich

 

이 그림을 보면 살로메의 음산한 웃음소리가 들릴 것 같다. 그녀는 춤을 거의 끝냈으며 자신이 요구한 요한의 머리가 날라져 온 것을 어깨 너머로 보고 있다. 희고 푸르스름한 육체는 어쩐지 섬찟한 느낌을 준다. 여기서도 루이니의 그림에서처럼 살로메의 아름다움과 대비되는 추한 인물이 요한의 머리가 담긴 쟁반을 들고 있다. 그 대비에도 불구하고 이 두 인물은 묘하게 어울린다.

 

살로메Salome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198 x 141 cm

개인소장Private Collection

 

투명한 스커트와 황금 허리띠만을 걸치고 마침내 원하던 것을 얻은 살로메는 오만한 표정으로 성인의 머리에 손을 갖다 대고 있다. 그녀의 발밑에 깔려 있는 호랑이 가죽은 아름답지만 두려운 그녀의 본성을 상징하고 있는 듯 하다.

 

살로메Salome(1908)

 

모사의 이 그림은 더한층 기괴하다. 장미꽃 한가운데서 요한의 머리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살로메는 요한을 참수한 칼에 혀를 대고 피 맛을 보고 있다. 이 그림을 보면 코폴라가 만든 영화 ‘드라큘라’에서 드라큘라 백작이 하커의 피가 묻은 면도날을 탐욕스럽게 핥던 장면이 생각난다. 화가의 상상력 속에서 살로메는 거의 피에 굶주린 흡혈귀처럼 나타나는 것이다. 그녀의 무릎 근처에 떨어져 있는 인형은 성서에 나오는 대로 그녀가 아직 ‘소녀’임을 나타내고 그래서 이 그림은 더욱 무시무시하다.

 

절정 The Climax(1894)

Line-block printing

 

와일드의 ‘살로메’ 삽화 중 하나인 이 그림에서 살로메는 그녀의 춤의 보수로 받은 요한의 머리를 들고 입맞춤하려 한다. 성인의 머리에서 떨어진 피에서는 백합 비슷한 꽃이 피어나고 요한의 머리카락은 마치 메두사 머리의 뱀 같다.

 

환영The Apparition(1876, 부분)

수채Watercolour, 41 1/4 x 28 1/4 inches (105 x 72 cm)

루브르 미술관Musee du Louvre, Paris

 

유명한 모로의 살로메 그림들 중 하나인 이 작품에서 살로메는 수많은 보석들로 화려하게 치장하고 다시 춤을 추다가 피 흘리는 세례 요한의 머리와 맞닥뜨린다. 목에서 떨어진 피는 바닥까지 물들이고 있고 살로메는 이 광경에 두려워 몸을 뒤로 젖히면서도 성인의 머리를 향해 손을 뻗는 모순적인 동작을 하고 있다. 그녀의 기괴한 사랑은 아직도 끝난 것이 아닌 것 같다.

 

이 이야기에서 요한은 살로메의 욕망에 불을 지핀 장본인인데도 조연으로 남아 있다. 이 그림들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는 이미 죽은 사람이 되어, 쟁반에 담긴 머리로 존재한다. 과연 그렇다면 세례 요한은 어떤 인물인가 하는 의문이 든다. 그의 어떤 면이 유대 공주를 그토록이나 사로잡을 수 있었는가?

예수에게 세례를 주었기 때문에, 그리고 복음서 저자 요한과 구별하기 위하여 세례 요한이라고 불리는 이 인물은 마리아의 친척인 엘리자벳이라는 여인과 사제인 자카리아 사이의 아들인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무렵에 마리아는 길을 떠나, 서둘러 유다 산악 지방에 있는 한 고을로 갔다. 그리고 즈카르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인사하였다.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인사말을 들을 때 그의 태 안에서 아기가 뛰놀았다. 엘리사벳은 성령으로 가득 차 큰 소리로 외쳤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보십시오, 당신의 인사말 소리가 제 귀에 들리자 저의 태 안에서 아기가 즐거워 뛰놀았습니다.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그러자 마리아가 말하였다.“내 영혼이 주님을 찬송하고 내 마음이 나의 구원자 하느님 안에서 기뻐 뛰니 그분께서 당신 종의 비천함을 굽어보셨기 때문입니다…(중략).”

마리아는 석 달가량 엘리사벳과 함께 지내다가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엘리사벳은 해산달이 차서 아들을 낳았다. …(중략) “아기야, 너는 지극히 높으신 분의 예언자라 불리고 주님을 앞서 가 그분의 길을 준비하리니 죄를 용서받아 구원됨을 주님의 백성에게 깨우쳐 주려는 것이다. 우리 하느님의 크신 자비로 높은 곳에서 별이 우리를 찾아오시어 어둠과 죽음의 그늘에 앉아 있는 이들을 비추시고 우리 발을 평화의 길로 이끌어 주실 것이다.”

아기는 자라면서 정신도 굳세어졌다. 그리고 그는 이스라엘 백성 앞에 나타날 때까지 광야에서 살았다.

---루카 복음서 1장 39절~70절

 

그 무렵에 세례자 요한이 나타나 유다 광야에서 이렇게 선포하였다. “회개하여라. 하늘 나라가 가까이 왔다.” 요한은 이사야 예언자가 말한 바로 그 사람이다. 이사야는 이렇게 말하였다.“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너희는 주님의 길을 마련하여라. 그분의 길을 곧게 내어라.” 요한은 낙타 털로 된 옷을 입고 허리에 가죽 띠를 둘렀다. 그의 음식은 메뚜기와 들꿀이었다. 그때에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요르단 부근 지방의 모든 사람이 그에게 나아가, 자기 죄를 고백하며 요르단 강에서 그에게 세례를 받았다.

---마태오 복음서 3장 1절~6절

 

여기 묘사된 것처럼 요한은 거친 광야에서 여러 해 동안 수행한 인물로 전통적으로 털가죽을 걸치고 야윈 모습으로 표현된다.

 


왼쪽부터 산드로 보티첼리Sandro Botticelli의 바르디 제단화Bardi Altarpiece(1484)의 세례 요한 부분, 티치아노Tiziano의 세례 요한(1542), 엘 그레코El Greco의 세례 요한(1600).

 

티치아노의 그림은 별로 그렇지 않지만 보티첼리와 엘 그레코의 세례 요한은 수척한 몸을 하고 있고 공통적으로 아무렇게나 자란 머리, 텁수룩한 수염, 털가죽으로 된 옷 등으로 이 성인의 특징을 묘사하고 있다. 세 그림 모두에서 십자가 모양의 지팡이를 지니고 있으며 보티첼리를 제외한 두 그림에서는 양이 등장한다. 어린 양은 세례 요한의 상징 동물이기 때문이다.

 

좀 특이한 취향의 소유자라면 모를까 이런 야인의 모습은 그다지 매력적이지 않다. 하지만 다른 관점에서 이 성인을 묘사한 그림들이 존재한다.

 


카라바조Caravaggio (1571-1610)

세례 요한St.John the Baptist(1603-1604)

캔버스에 유채Oil on canvas, 37 x 51 1/2 inches (94 x 131 cm)

국립 고미술관Galleria Nazionale d'Arte Antica, Roma

 

광야에서 잠들었던 요한은 무언가에 놀라 잠이 깬 것 같다. 카라바조는 특유의 빛과 어둠을 다루는 솜씨로 밤의 어두운 배경 속에서 청년의 흰 육체를 부각시켜 놓았다. 어린 양도, 요한의 특징인 털가죽도 없고 그가 두른 붉은 천만이 요한의 피부색과 대비된다. 제목이 아니라면 이 그림에서 성스러움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얼굴은 잘 보이지 않고, 어둠 속에 갑작스레 떠오른 흰 육체는 와일드의 희곡에 나오는 살로메의 대사를 연상시킨다.

 

요카난, 난 그대의 몸을 갖고 싶어 견딜 수가 없어. 네 몸은 한 번도 손질한 적 없는 들에 핀 흰 백합 같아. 유대의 산 꼭대기에 쌓였다가 골짜기로 흘러내리는 눈과 같아. 아라비아 여왕의 정원에 핀 장미도 네 몸처럼 하얗진 않을 거야. 아라비아 여왕의 정원에 핀 장미도, 아라비아 여왕의 향초 정원도, 나뭇잎에 비쳐드는 새벽빛도, 바다에 안겨드는 달의 가슴도… 네 몸처럼 흰 것은 세상 어디도 없어. 네 몸을 만지고 싶어 죽을 것 같아.

 

안드레아 델 사르토의 세례 요한은 어떤가?

 


안드레아 델 사르토Andrea del Sarto (1486-1530)

세례 요한 St. John the Baptist(1528)

나무에 유채Oil on wood, 37 x 26 3/4 inches (94 x 68 cm)

갈레리아 팔라티나(팔라초 피티)Galleria Palatina (Palazzo Pitti), Firenze

 

요한은 여기서도 젊은 청년으로 등장하는데, 복음서에 묘사된 대로 털가죽을 두르고 있지만 카라바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붉은 천을 함께 두르고 있는 당당한 모습이다. 십자가 모양의 야곱의 지팡이가 세례 요한을 상징하고 있지만 그는 성인이라기보다는 젊은 영웅 같은 모습이다.

 

하지만 역시 가장 매력적이면서도 불가사의한 것은 레오나르도의 세례 요한 그림들이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 (1452-1519)

광야의 세례 요한(바쿠스)St John in the Wilderness(Bacchus) (1510-1515)

Oil on panel transferred to canvas, 177x115 cm

루브르 박물관Musee du Louvre, Paris

 

이 그림은 세례 요한의 상징물이 없고 특유의 이교적 분위기 때문에 종종 바쿠스로도 불린다. 젊은 바쿠스처럼 보이는 게 사실이다. 주인공이 걸치고 있는 옷도 낙타 가죽이 아니라 표범 가죽인 것 같다. 하지만 이 인물은 정체가 확실히 드러난 다음 그림의 인물과 너무 닮았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 (1452-1519)

세례 요한St John the Baptist(1513-1516)

Oil on panel, 27.17 x 22.44 inches [69 x 57 cm]

루브르 박물관Musee du Louvre, Paris

 

역시 표범 가죽처럼 보이는 가죽을 두르고 야곱의 지팡이를 들고 있는 이 인물은 확실히 세례 요한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다. 한 손은 가슴에, 한 손은 레오나르도가 즐겨 쓰는 포즈인 하늘을 가리키는 모양을 하고 입가에는 묘한 미소를 띄고 있는 이 인물은 내가 본 중에 가장 성인의 이미지와 멀리 있는 인물인 것 같다. 모나리자보다는 더 확실하지만 모나리자 만큼이나 뜻을 알 수 없는 미소하며 광야에서 긴 세월 살아 온 사람 같지 않게 풍성하고 완벽한 웨이브 하며, 카라바조나 델 사르토의 요한보다는 나이가 들어 보이는데도 수염 한 올 없는 중성적인 외모까지…

이 인물이 매력적이며 관능적으로까지 보인다는 사실은 우리를 다소 당황스럽게 한다. 와일드 또한 살로메의 입을 통해 세례 요한의 매력을 늘어 놓는다. 그의 희디흰 살결, 칠흑처럼 검은 머리, 꽃잎보다 붉은 입술을 원한다고, 살로메는 고백한다. 이것은 두 사람의 성적 취향과 관계가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와일드는 동성연애로 유죄를 선고받고(그 당시 영국에선 동성연애도 범죄였다!) 복역했었고, 레오나르도 역시 동성애자였을 것이라는 강력한 추측들이 존재한다(그가 실력보다는 외모로 제자들을 뽑았다는 사실은 유명하다).

어쨌든 레오나르도의 세례 요한을 보고 있노라면, 실제로 세례 요한이 이런 미소를 가진 남자였다면 살로메가 그를 사랑하게 된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구스타브 모로Gustave Moreau (1826-1898)
오브리 비어즐리Aubrey Beardsley (1872-1898)
구스타브-아돌프 모사Gustav-Adolf Mossa(1883~1971)
피에르 보노Pierre Bonnaud(1865~1930)
프란츠 폰 슈투크Franz von Stuck(1863~1928)
베르나르디노 루이니 Bernardino Luini(1480~ 1532)
베노초 고촐리Benozzo di Lese di Sandro Gozzoli (1453-1478)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