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2004/08/27

3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4/08/27
    미디어참세상에 트랙백 기능을 추가하자.(1)
    순수
  2. 2004/08/27
    새로운 인용 방법
    순수
  3. 2004/08/27
    텍스트(1)
    순수

미디어참세상에 트랙백 기능을 추가하자.


한줄 답글, 장문의 답글, 트랙백은 각각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줄 답글의 경우 즉흥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이 가식적이지 않고 그대로 사람들의 생각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좋다. 단지, 여기에서 본격적인 논쟁이 붙을 경우 공간과 검색 상의 어려움으로 사실상 파행으로 치닫는 건 수많은 게시판에서 확인했을 꺼라고 믿는다.
두번째, 장문의 답글을 달 수 있는 시스템도 상당히 좋다. 이미 수많은 토론형 게시판이 이 형태를 채택하고 있으며, 여기서 논의되는 이야기들을 보면 상당히 정리되서 표현된다. 인터넷 언론들이 채택하고 있는 방법이 바로 이 두번째 방식이고, 여기에는 약간의 함정이 있다. "장문의 답글"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과 "장문의 답글"이 써지는 것은 다르다. 실제로 짧은 글을 통해 한줄 답글과 큰 차이가 없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최근에는 오히려 회원/비회원을 가르는 폐쇄적인 답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게 자칭 열린 인터넷 언론들의 현실이다. (예전에는 분명히 "누구에게나" 열려있었다.) 왜 최근에 메이저 인터넷 언론의 한계가 보이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여기서 나는 세번째, 트랙백을 제안하고 싶다. 물론 트랙백과 기존의 방식은 엄염히 다른 장/단점이 존재하고, 트랙백만으로 국한하자는 것은 또 다시 블로거/비블로거를 나누게 된다. 그저 기존의 시스템에 트랙백도 가능하게만 하자는 거다. 이미 수많은 블로그가 트랙백과(and) 덧글이라는 양 날개로 균형을 잡아가고 있다. "블로그는 1인 미디어"라는 허황된 슬로건을 내거는 것보다는 우리가 정말로 "네트"로 연결될 수 있도록, "노드"가 가능하도록 하는 조건을 생산하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새로운 인용 방법

짧은 인용을 할 때는 큰따옴표("), 좀 많은 인용을 할 때는 독립 문단으로 기울임을 줬는데요, 이게 상당히 눈이 아프다고 하시는 분들이 계시네요. hof님의 조언에 따라 박스로 처리하는 걸 해보겠습니다. (그러니까 이 포스트는 테스트란 거죠^^)
1099년에 설립된 유럽의 비밀단체, 시온 수도회는 실제로 존재하는 조직이다. 파리 국립 도서관은 1975년에 기밀문서로 알려진 양피지들을 발견했는데, 거기에는 아이작 뉴턴, 보티첼리, 빅토르 위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포함한 수많은 시온 수도회의 회원들 이름이 있었다.
인용 출처는 요새 잘 나가는 모 소설입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텍스트

유물론의 덧글에 대해..
'텍스트는 열려 있고, 거기에서 나올 수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즐길 수 있어야 한다'

해석학에서는 좀 다른 이야기를 꺼냅니다. 우리는 세계-속의-존재이고, 선입견을 가지지 않고는 어떤 것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가장 단순한 것부터 본다면 "언어" 같은 게 있을 수 있죠) 이것을 긍정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선입견에 의해 세계를 인식하는 틀을 "지평"이라고 하는데요, 주목할 부분은 이 "지평"이란 게 변한다는 겁니다. 즉, 조선시대의 글을 지금 읽는다고 합시다. 분명히 그때 사람들이 읽던 것과 우리가 지금 읽는 것은 확연히 다르겠죠?
"작가의 의도는 그게 아니야! 그때의 시대 상황 등을 충실히 이해해야지!"라고 버럭 우길까요? 과연 그게 가능할까요? 아니, 작가가 "분열"되지 않았다고 확언할 수는 있을까요? "분열"로 오면서 많은 부분이 정리가 됩니다. 그래서 이 "분열"을 강조한 라캉이 현대 프랑스 철학에서 (긍정적이든, 비판이든) 계속 다뤄지는 것이지요.
라캉 이야기 전으로 돌아가면, 이걸 미학에서는 "수용미학" 정도로 볼 수 있겠죠? 그래도 아직까지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모델이 작동을 합니다. 어디까지나 텍스트/예술은 "작가"를 떠날 수 없고, 그 틀 안에서 텍스트/예술이 채우지 못한 빈 자리(의도적이든, 어쩔 수 없는 한계이든)를 "수용자"(독자)가 생산한다는 것이지요.
그러다가 68년을 전후로 "작가의 죽음"이 화두로 오르게 돼죠. 작가의 죽음을 직접적으로 이야기하지 않아도 데리다처럼 텍스트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나, 에코처럼 열린 텍스트 등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중요한 건 작가-독자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아니라, 우연히 나오는 다양함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이라는 거죠. (들뢰즈-가타리식으로 본다면 이렇게 탈주선을 그어나가는 거죠. 들뢰즈-가타리의 글을 보면 그래서 재밌는 부분이 많습니다^^)
이걸 "본질" 이야기와 연결한다면, "작가"가 바로 "본질"에 해당하겠죠? 분명히 이 텍스트/예술은 어떤 본질을 가지고 있고, 그것을 우리가 정확히 알아내야 한다는 게 바로 본질주의죠. 그와 다르게 우리가 즐겨야 하는 것은 "최종 어휘"의 권위를 부정하고 끊임없이 사유하는 겁니다.
주의할 점은 이게 도식적으로 "상대주의"로 귀결되는 게 아니라는 겁니다. "이것도 옳고 저것도 옳아"라고 떠드는 게 아니라, 내가 진리를 쥐고 있다는, 현전(現前)을 안다는, 최종 어휘에 도달했다는 오만함을 경계하고 끊임없이 사유하는 것이지요. 이런 걸 리처드 로티식으로 말하면 "아리러니스트"라고 할 수 있겠죠.
두서없이 글만 길어지고 있는데, 참고할 걸 정리를 해본다면, 고전적인 독해에서 벗어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하이데거를 보시면 좋을 듯 하구요. 가다머, 데리다 등도 보신다면 좀 더 현대의 이야기를 즐길 수 있겠죠. 그외에 비트겐슈타인을 읽으면 좋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