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술 - 2008/08/12 06:20

○ 작전술의 요소(elements of operational art)

- '전쟁, 전략, 군사 입문' (법문사, 2005. 10), pp. 145-148.


작전술의 요소(Elements of Operational Art)는 작전술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을 말한다. 이것은 전쟁의 양상과 국가마다의 상황에 의해서 달라지지만, 대체로 서양에서 전통적으로 발전되어온 사항을 계승 및 변화시켜 적용되고 있다. 


작전술의 요소에 해당되는 사항을 체계적으로 설명한 사람은 조미니로서 그는 ‘작전전구(theater of operation),’ ‘결정적 지점(decisive point),’  ‘작전선(line of operation)’ 등의 개념을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고, 그의 개념이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다. 그리고 클라우제비츠는 ‘중심(center of gravity)’ 개념을 제시하였고, 이것은 현대 군사작전의 계획과 수행에서 가장 핵심적이면서 일반적인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에 들어서 미군들은 작전술의 핵심적인 내용으로 이러한 작전술의 요소를 소개하고 있고, 그 내용을 확대시키고 있다. 미군들은 조미니와 클라우제비츠가 발전시킨 내용과 함께 합동작전 수행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식별된 요소들을 다수 포함시키고 있다. 그리고 한국군의 경우에는 지휘관이 작전술 차원의 부대 운용을 구상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중심, 작전선, 작전한계점, 작전의 단계화, 우발계획 및 장차작전 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전통적으로 계승되어 왔고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주요 작전술 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중심 : 중심이란 전체 전투력을 발휘함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힘이나 균형의 근원이다. 따라서 이것이 파괴되거나 무력화되면 전체적인 힘의 균형을 잃고 조직의 결집력과 효율성이 극도로 저하된다. 전쟁에서 피아는 상대방의 중심은 파괴하면서 자신의 중심은 보호하려고 하고 이러한 행위가 작전의 전반을 통제하는 초점이 된다. 타당한 적의 중심이란 이것을 파괴 및 무력화 시키거나 그 기능을 약화시키게 되면 적이 방책을 변경하거나 목표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것을 말한다. 상황, 임무, 단계에 따라 중심도 변화하기 때문에 유능한 지휘관은 중심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 


▷ 결정적 지점 : 결정적 지점이란 이의 확보 여부가 군사작전의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지리적 장소, 특정한 주요 사건, 주요체계 혹은 기능을 의미한다. 결정적 지점은 중심을 공격하거나 방호하는 데 있어서 지배적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전술 제대들은 결정적 지점을 적절하게 선정하고 효율적으로 공격함으로써 적의 중심을 와해시킬 수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결정적 지점을 목표로 선정하거나 예하제대의 목표로 부여하게 되고, 가용한 능력보다 많은 숫자로 식별되었을 경우에는 우선 순위에 입각하여 그 중에서 일부를 목표로 선정하게 된다. 


▷ 작전선 : 작전선은 적에 대하여 아군 부대가 지향해 나가는 방향으로서, 주로 작전기지로부터 목표에 이르는 지리적인 방향을 의미한다. 현대에는 우리의 노력을 집중하는 개념적이거나 시간적인 방향도 작전선으로 인식한다. 적 상황, 지리적 여건, 가용 전투력, 시간적인 요소 등을 고려하여 단일 작전선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수의 작전선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전자는 집중에는 용이하나 융통성이 제한될 수 있고, 후자는 융통성은 증대되나 집중이 약화된다. 현대에는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하는 방법이 발달되었기 때문에 시간적인 요소를 더욱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쟁의 전과정에 걸쳐서 적의 작전선은 차단 및 위협하고 우리의 작전선은 보호하여야 한다. 


▷ 작전한계점 : 작전한계점(culmination point)은 더 이상 계획된 작전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로서, 수립된 계획의 한계를 식별하기 위한 개념이다. 작전술제대 지휘관은 작전한계점을 사전에 정확하게 판단함으로써 작전의 단계와 속도를 조절시킬 수 있다. 작전한계점은 주로 피아 군사력의 균형이나 작전지속능력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기상의 변화나 국민 및 세계 여론의 지지도 변화 등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판단된 작전한계점에 도달하기 이전에 설정된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면, 작전목표를 수정하거나 단계화하거나 판단된 작전한계점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적의 작전한계점을 단축시키기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8/08/12 06:20 2008/08/12 06:20
TAG

Trackback Address ::

http://blog.jinbo.net/soist/trackback/249
PREV 1 2 3 4 5 6 7 8 ... 23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