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경인일보 3월 12일] 두 개의 눈이 필요한 한국

 

  2007년 11월이었다. 주안영상미디어센터 상영관에서 아이리쉬 밴드 바드(BARD)의 아일랜드 음악여행을 다룬 <두 개의 눈을 가진 아일랜드>라는 음악 다큐멘터리가 상영되었다. 바드는 이 여행에서 성취한 바를 음반으로 제작하였고 얼마 전에는 이 다큐의 감독 임진평이 1시간 남짓한 영상에서는 미처 다루지 못했던 이야기와 풍경을 실어 동명의 책도 발간하였다. 자신의 예술과 삶이 향하는 방향을 고민하는 이들 젊은이들의 동행은 깊은 감명을 준다. 표제의 ‘두 개의 눈’이란 벨파스트의 유서 깊은 벽면에 씌어있다는 글귀로 과거와 미래를 보는 눈을 말한다.

 

    A Nation that keeps one eye on the past is wise.

    A Nation that keeps two eyes on the past is blind.

   하나의 눈을 과거로 향하는 민족은 지혜롭다.

   두 눈을 모두 과거로 향하는 민족은 아무 것도 보지 못한다.

 

  한쪽 눈을 과거를 보는 데 쓰면 현명하고 두 눈을 모두 과거를 돌아보는 데 쓰면 아무 것도 볼 수 없다니? 우리가 역사를 되새기는 이유는 더 나은 삶, 오로지 더 부유한 삶만이 아니라, 더 인간답고 의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서이다. 즉 과거를 돌아보며 현재를 꾸리고 미래를 구상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두 개의 눈, 과거를 보는 눈과 미래를 보는 눈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일랜드에는 바로 그 두 개의 눈이 있다.

 

  ‘아일랜드’라면 우리는 그저 영국 옆에 있는 먼 나라쯤으로 생각하기 십상이지만 사실 아일랜드가 우리 역사와 문화에 끼친 영향은 상당하였다. 아일랜드는 식민제국이었던 여타의 유럽 여러 나라와는 달리 식민경험을 지닌 나라다. 우리가 이웃나라 일본에게 식민지배를 받았던 것처럼 영국의 식민지였다. 우리가 독립을 선언하고 3.1운동으로 그 의지를 만방에 떨치고 있을 무렵, 그들 또한 영국과 독립전쟁을 치르고 있었고 1921년 부분적이나마 독립을 쟁취하기에 이른다. 당시 이들의 독립운동과 그 문화적 표현이었던 아일랜드 문예부흥운동은 3.1운동을 전후하여 우리나라에도 다각적으로 소개되었고 우리는 이들의 독립운동에 깊은 연대의식을 느꼈으며 여러 가지 시사점과 아이디어를 얻었다. 1920년대 한국의 문학, 연극 등 각종 문예 분야에 아일랜드는 깊은 영향을 미쳤었다.

 

  그리고 90년이 지났다. 아일랜드는 현재 1인당 국민소득이 영국을 능가하고 그보다도 더 중요하게는 국민들 스스로 얼마나 행복한가를 묻는 행복지수가 영국보다도 훨씬 높다. 그리고 그들의 행복의 바탕을 이룬 것이 일상 속에 존재하는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는 두 개의 눈이라는 사실을 몇몇 한국 젊은이의 음악여행에서 다시 확인한다.

 

  우리가 우리의 독립의지와 독립역량을 세계만방에 떨쳤던 3.1절 90주년이 불과 며칠 전이었다. 이번 3.1절에는 근엄한 관료들의 3.1절 기념식보다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준비한 ‘3.1절 퍼포먼스’가 더 눈에 띄는 것을 보니 3.1정신의 진정한 계승이 이제야 시작된 것이 아닌가하는 부끄러운 기쁨마저 생긴다. 한편에서 3.1운동과 그 결과 탄생한 임시정부의 정통성을 부인하고 1948년 단독정부의 수립에서 한국의 역사를 기산하려 한다는 소식이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이쯤 되면 과거만을 보는 두 개의 눈이 문제인 것이 아니라 아예 눈 감고 과거를 보지 않으려는 맹목과 무지가 걱정이다. 게다가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이를 교육하려고 일선 학교에 이를 골자로 하는 팸플릿을 배포했다가 거센 비판에 부딪쳐 부랴부랴 회수했다니 편협한 정권의 권력 남용이 국가의 근간을 뒤흔드는 데 이르고 있음을 우려하지 않을 수가 없다. 

 

  지금 우리는 어떠한가? 더 부자로 잘 살아보겠다고 아등바등 살아오면서 작은 행복이나 즐거움은 늘 미뤄왔지만 형편은 오히려 더 나빠지고 삶은 한층 피폐해지고 있다. 우리 힘으로 나라를 세우고 운영할 힘이 있음을 세계만방에 선언했던 1919년 3월 1일을 기억하면서 그때 지구 반대편에서 같은 목적으로 싸우던 아일랜드를 다시 생각한다. 그리고 그들에게 있는 과거, 현재와 미래를 보는 두 개의 눈이 우리에게도 절실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닫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