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학생들

 

이번 학기에 가르치는 과목중

한 과목을 내일 시험을 치르기로 하였다.

이때껏 배운 과목들과는 수학적 추상의 정도가 제법 다르기에

원래는 모든 연습문제를 다 풀어야하겠건만

그 채점을 도와줄 조교도 없고

학생들이 베껴서 제출한 리포트를 가리는데

더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지라

중간, 기말 시험 사이에 작은 시험을

한번씩 더 보게 된것이다.

 

어제 동기중에서 학점이 제일 좋을 학생 둘이 찾아와서

모르는걸 물어보고 갔다.

오늘도 또 온다고 우격다짐을 받고는 돌아갔는데...

사실 속으로 마음이 좀 상했다.

연습문제를 다 풀어야 좀 감이 잡힐거란 말을

도통 들으려 하지도 않고

어려운데 왜 문제들을 안풀어주는거냐고 해서 그렇다.

그리고 물어본 것들을 다시 풀어서 설명을 해주어도

너무 당연한걸 어떻게 쓰라는 것이냐

고도 화를 내는데,

이봐, 이봐, 학생들! 그건 미세한 논리들을 못 따라 가고 있기에

뭉뚱그려 보이는 거라고.

당연하다면 한 줄로 쓸수 있어야하는거라고.

그리고, 왜 가르치는 사람이 연습문제를 풀어주어야

마땅하다고 여기는 거야요.

진부한 말이지만 여긴 학원이 아니라고,

내가 과외선생님도 아니고.

 

그리고 이 학생들이 특히 힘들어 하는건

시험, 시험 점수 때문이다.

다 맞춰서 좋은 학점 받으려고 생각하지 말고

하나라도 차근 차근 생각하면 나머지도

줄줄이 이해가 될것을.

(있잖아, 시험 보는건 가르치는 사람도 귀찮은 거라고....)

 

그러나 학생들의 불만중에도

일리가 있는 부분이 있었다.

교재에 예제가 많이 없다는것.

보통의 책이라면 예제가 죽 있고 예제마다 풀이가 있어서

이거라도 다 이해하면, 혹은 다 외우면

시험을 잘 보겠거니 할텐데

지금 사용하는건  ZL 이 만들어놓은 강의 노트이다.

이론의 전개와 설명하는 방식은

보통 쓰는  프랄**책보다 탁월하다.

그러나 예제들에 답이 없다.

물론 내가 풀어주고는 있지만

학생들은 손에 쥐는게 없으니 불안, 불안 한가 보다.

이런 식에 동조하는건 아닌데

확실히 추상적인 개념과 정의를 이해하는데에

수많은 예제들을 직접 손으로 써보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니까 교재를 좀 보완해야겠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