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근대적 시 공간의 탄생

지은이 소개
이진경 - 1963년 서울 출생.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저서로 「사회구성체론과 사회과학방법론」 「한국 사회와 변혁이론 연구」 「상식 속의 철학상식 밖의 철학」 「철학과 굴뚝청소부」 「필로시네마, 혹은 탈주의 철학에 관한 7편의 영화」 「철학의 탈주」(공저) 「탈주의 공간을 위하여」(공저)가 있고, 역서로 「알튀세르: 이론의 우회」가 있다.

책 표지 글
우리의 삶은 시간에 맞추어 진행된다. 시간이 되면 모임도 끝내야 하고, 시간이 되면 노래도, 강의도 끝내야 한다. 따라서 중도에 끝나는 비극을 피하려면 우리는 해야할 말의 분량과 말하는 속도를 시간에 맞추어 조절하고 통제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시간은 우리의 행동과 말, 사고를 제약하고, 그 흐름을 적당한 단위로 절단하여 채취하는 '시간-기계'다. 공간의 경우도 비슷하다. 학교에서 하는 말과 행동은 공장이나 집에서 하는 것과 다르다. 성당이나 절의 경내에 들어서면 믿음의 여부와 무관하게 그 공간은 우리의 행동과 사고를 제약한다. 그런 점에서 집이나, 공장이나, 유치원이나, 성당이나 모두 '기계'다.

우리의 말과 행동, 사고를 제한하고 특정한 형태로 반복하게 하는 '공간-기계'. 사람들의 집합적인 삶의 방식을 규정하고 제약하는 기계. 우리의 삶은 바로 이런 시간-기계와 공간-기계를 통해서 조직되고 진행된다. 우리의 하나하나의 행동은 어떤 식으로든 이 시간-기계와 공간-기계에 결부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사회적, 역사적으로 달라지는 기계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시간-기계'와 '공간-기계'를 다룬다. 근대적인 시간·공간의 개념의 탄생, 나아가 근대인들의 삶을 조직하고 통제하는 조건으로서 근대적인 시간-기계와 공간-기계의 탄생에 대한 연구. 이 점에서 이는 근대적 시간·공간의 '계보학'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연구는 집이나 학교, 공장 등 근대의 사회적 장(場)에서 우리를 일상적으로 '근대인'으로 생산하는 배치에 대한 연구에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차례/내용
차례
1. 시간, 공간과 생활양식

2. 역사적 선험성으로서 시간과 공간
선험성으로서 시간, 공간
시계와 시간
투시법과 공간
역사적 선험성

3. 시간, 공간에 대한 연구방법들

4. 분석의 두 가지 차원

5. 근대 과학의 시간·공간 개념
근대 과학의 이념과 절대시간
근대 과학에서 시간·공간 개념

6. 근대 사회의 시간-기계와 공간-기계
근대적 시간-기계의 형성
근대적 공간-기계의 형성

7. 시간·공간-개념과 시간·공간-기계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