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근대성과 식민성

종종 중국(또는 가끔 대만)에서 느끼게 되는 '사람이 사람을 먹는' 징후적 '봉건성'(또는 전근대성)은 이것이 한국에서 거의 느껴지지 않는 것과 대조된다. 시대에 따라 표현되는 방식과 내용은 다르지만 중국의 당대 역사를 보면 일정하게 중국적 야만성과 봉건성을 드러내는 사건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해 왔다. 그리고 그 배후에는 일정하게 종교적인 것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민중의 해방이라는 정치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은 식민과 수동적 미완의 독립 그리고 분단과 내전이라는 역사적 단절 과정들을 통해 식민적이면서 민주적인 강요된 주체성을 갖게 된 것 같다. 물론 이 강요된 주체성 안에서 민중적 시각을 확보하면서 성과를 얻으며 일정하게 내적 주체화의 과정을 겪기도 했다. 특히 80년대는 이런 측면에서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 민주적 주체성이 강요된 식민적 주체성이라는 역사적 결정은 여전히 남아 있다. 상대적으로 중국은 단절과 연속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것 같다. 부분적 식민을 거쳤지만 종국적으로 민족적 독립과 자주를 얻어내면서 일정하게  봉건적이고 전통적인 주체성을 무의식으로 갖고 있는 것 같다. 중국의 당국가체제는 현대 정치적 외피를 가지면서 봉건성을 일정하게 무의식적으로 존속시키는 정치 형식인 듯 하다. 이러한 봉건성은 신자유주의적 세계경제질서의 내부화와 맞물리면서 더욱 심각한 폭력을 낳고 있다.

 

박현채의 '민족민중론'의 입장에서 보면, 노신이 '민간'의 '전통'에 주목한 것은 민중적인 내적 주체성과 현대성에 식민화되지 않는 민족적 전통 양자를 결합하고자 한 시도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조금 난폭하게 정리되지만, 중국이 '민중' 없는 '민족'의 역사를 겪었다면, 한국은 '민족' 없는 '민중'의 역사를 겪었다고 할 수 있겠다. 정치성의 측면에서 보면 모두 다 불구적인 역사였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은 지속적으로 민족 내부의 민주를 형성하는데 실패하고 있고, 한국은 민중적인 민족을 재구성하는데 실패하고 있다. 민주주의라는 정치성은 민족적 인식 없이 내부적으로 구체적으로 전개될 수 없으며, 민중적 주체화 없이  당파적이고 진보적인 역량을 형성할 수 없다.

 

그렇다면 일본은 무엇이었을까? 한국은 일정하게 일본을 매개로 한 중국에 대한 부정이다. 같은 논리로 보면, 일본은 서양을 매개로 한 아시아에 대한 부정이다. 매우 가설적이지만, 현대 정치의 전개 속에서 민족의 결여 또는 민중의 결여를 특징으로 하는 한국 및 중국과 달리 일본은 양자 모두가 결여된 아시아에 대한 추상적 일본으로부터 출발했다는 특징을 갖는 것 같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댓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