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격주간 정치신문-사노위 : 16호> 학생운동, 학습서클인가 노동자당인가

[사회주의노동자정당을 함께 만듭시다!]

학생운동, 학습서클인가 노동자당인가

 
 

노학연대

 
많은 학생좌파들이 ‘학교에 갇히지 않는 학생운동’ 즉 노학연대, 민중연대를 말한다. 옳다. 4~8년을 몸담을 학생사회만을 위해 인생을 걸고 운동할 이는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노동자민중과 “어떻게” 연대할 것인가이다.
 
이제 노학연대는 대중투쟁과 대중투쟁의 만남이어야 한다. 변혁이론을 익힌 대학생 개개인이 노동자 대중투쟁을 촉발하겠다던 시대는 지났다. 반면 대학생 대중투쟁은 노동자 대중투쟁을 촉발할 수 있다. 고양된 정세에서 양자가 상호상승하는 사례가 국제적으로 적지 않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학생 대중투쟁이 만들어지는가? 대중의 현존하는 분노지점에서 시작하자. 대중의 삶의 외부에서 주입된 변혁이론에 의해서는 우리는 학습서클을 건설할 수는 있으나 대중투쟁을 건설하지 못한다. 등록금, 사학재단 적립금, 청년실업… 분노지점은 이미 많다.
 
그렇다면 “어떻게” 대학생 대중투쟁은 전진하는가? 만약 학생들이 ‘학생들의’ 문제만을 가지고 투쟁을 시작하더라도, 이들이 부딪히는 벽은 ‘전사회적’ 권력이다. 문제의 원인이자 수혜자가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대학생들의 힘만으로는 이길 수 없다! 대중이 이를 자각했을 때 “국회의원들에게 기대자!”고 이끄는 지도부인가, “노동자 대중투쟁과 만나자!”고 이끄는 지도부인가, 어떤 지도력이 영향력을 전취하느냐가 문제인 것이지 대학생들의 문제로 시작된 투쟁은 당연히 “대학생 이기주의(?)”로 빠진다는 법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대안을 발견하자

 
“대학생은 이제 단일한 이해관계를 가진 주체가 아니”라고들 한다. 옳다. 그러나 ‘대다수의’ 대학생들에게는 고통이 전가되고 있다. 대안은 체제가 대중에게 가하고 있는 고통, 그 속에 놓인 대중의 삶의 조건, 그리고 이에 맞선 대중의 분노와 투쟁의 기억 그 자체에 있다. 대안은 지식인이 상상해내어 발명하는 것이 아니라 대중의 기억에서 발견하는 것이다.
 
혁명적 사회주의 당의 강령 역시 마찬가지다. 대중의 분노와 투쟁의 기억으로부터 (혁명에 이르기까지의) 다음 투쟁의 승리를 향한 프로그램을 발견해내고 정리하여 체계화한 것, 그것이 혁명강령이다. 그래서 러시아 혁명가 트로츠키는 “당은 계급의 기억이다”라고 했다. 그렇다. 진정한 변혁정당은 지식인의 의식도, 관료의 선거캠프도 아닌 계급대중의 기억이다.
 

대안은 시작됐다

 
‘대학생들만의 문제’로 여론화를 진행하고, 그 여론을 토대로 “승부는 국회에서 내자”는 자본주의적 노동자당 운동이 있다. 동시에 이들을 “대중의 투쟁을 투표용지에 가두는 일”이라며 비판하지만 이를 대체할 대안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학습서클 운동이 있다.
 
하지만 경제위기의 시대, 더욱 첨예해질 계급갈등의 정세는 단 한 뼘의 정치적 애매함도 설 자리를 없앨 것이다. 자본가정당 민주당과 명확히 단절할 것인가 아닌가? 단절한다면 우리의 대안은 무엇인가? 그 대안은 지난 진보정당운동의 변질을 되풀이하지 않을 기제를 가지고 있는가? 그 이전에 등록금 문제를 비롯한 학생대중의 현존하는 분노지점에 어떤 입장을 가지고 개입할 것인가?
 
이 모든 사안에 대해 명확히 답할 수 있는 정치적 명확함이 필요하다. 현안에 대한 답변을 미루고 얼버무리는 애매함으로는 정세가 요구하는, 그리고 대중이 던지는 질문에 답할 수 없다. 혁명적 노동자계급정당 운동의 일부가 되는 것! 그것만큼 확실한 ‘학교에 갇히지 않는, 전민중적 관점의 노학연대’가 또 있는가? 대중의 분노에 기반하여 체제에의 도전과 구체적인 전략전술, 승리의 전망을 제시하는 혁명강령! 그것만큼 확실한 ‘총체적인 사회변혁’ 프로그램이 또 있는가?
 
우리 이제 “어떤 사회”에 대한 꿈을 넘어 그 사회를 “어떻게 건설할 것인가”를 답하는 운동으로 전진하자. 노동자대중, 그리고 예비노동자대중의 분노를 체제 내로 포섭하고 가둬두고 있는 자본주의적 노동자당의 영향력을 넘어, 그리고 그 영향력에 실제로 도전할 수 있는 대안지도력에 대한 전망이 부재한 학습서클의 한계를 넘어, 사회주의노동자당과 혁명강령 건설 운동의 일부로 전진하자. 이것이 위기의 시대 학생운동의 과제이다.
 
오준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