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격주간 정치신문 사노위 24호>3자통합당이 진보정당? 다함께의 기회주의를 비판한다!

사노위 서울지역위에서 제안한 지난 11월 16일에 진행된 ‘노동자정치세력화 평가와 과제-통합진보당인가 사회주의당인가’ 토론회에 정종남 다함께 운영위원이 참여했다. 토론회에서 정종남 동지가 펼친 주장은 ‘비판은 하지만 그 흐름에 동참하겠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다함께는 국참당과 통합되어도 민노당의 성격이 바뀌지 않기 때문에 ‘개혁주의 정당’으로서의 정체성이 유지되며, 그에 따라 통합진보당에 대한 개입과 지지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국참당이 통합진보당 내부에서 소수일 수는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당명에서 ‘노동’을 빼자고 했던, 신자유주의 세력과 구분이 불가능한 국참당과의 통합을 추진할 정도로 민노당의 성격이 변했다는 것이다. 민노당은 이미 진보나 개혁으로 부르기에도 민망한 수준에 이르렀다. 그리고 소수이기 때문에, 영향력이 없기 때문에 국참당과 함께할 수 있다는 발상은 일정수준의 지분과 의석만 확보할 수 있다면 민주당과 같은 부르주아 정당과도 함께 할 수 있다는 논리로 이어진다.
 

또한 다함께는 ‘통합진보당에 대한 개입 여부가 민주노총의 배타적 지지방침의 유지/철회 여부에 달려 있다’라고 하면서, 민주노총이 배타적 지지방침을 철회해야 한다는 이중적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다함께의 주장은 사실상 통합진보당에 대한 지지와 개입을 열어두고 있다. 철회를 위해 노력해야 하지만, 배타적 지지방침이 철회되지 않는다면 그에 따라 통합진보당에 대해 지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인가에 반대했다면, 그에 따르는 정치적 책임을 지는 것은 당연하다. 입장과 실천이 같아야 한다는 말하기도 부끄러울 정도의 정치적 원칙 앞에서 이미 다함께는 무너지고 있다.
 

개량주의자들과의 연대연합은 가능하며 전술적 판단의 영역이다. 그러나 트로츠키는 ‘전술과 책략을 구분해야 한다.’고 얘기했다. 다함께가 노동자권력과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조직이라면 끝없이 오른쪽으로 끌려가는 대중에게 사회주의를 명확히 선전선동하고 사회주의당 건설을 위한 독자적 행보를 시작해야 한다. 그 역사적 임무를 방기한 채 정치적 야합과 반계급적 강령으로 점철된 통합진보당 내부에서 궁시렁대는 역할만 하겠다는 것은 전술이라는 이름으로 용납될 수 없다! 그것은 책략이다.

 

손상일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