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오래전 알라딘 블로그에 올렸던 글인데 블로그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잃어버렸다. 그런데 얼마전 그 글을 찾았다. 여기저기 뒹굴고 있는 글을 정리해야겠다. 아주 약간 수정을 했다.

유한한 존재의 유한성이라는 문제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우리가 한 번밖에 살 수 없다면 우리에게 삶이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뭐 이런건데, 한 번의 삶은 사실 우리의 선택과 무관하게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란 점에서 일종의 선물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모든 선물이 다 받을 만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때로 선물은 곤혹스러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선물을 거부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곤혹스러운 선물은 세 가지 측면에서 우리에게 강요된 선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먼저 우리는 이 선물을 받을 시점을 선택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어느 곳에서 받을 지도 알 수 없으며, 선물을 주는 당사자가 누구인지도 알 수 없다. 사실 잘 알다시피, 아직까지 인간 문명의 발달 정도를 고려해봤을 때 어느 시점에, 어느 곳에서 누구에게 받느냐에 따라 이 선물은 굉장히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

유한성과 무한성이라는 주제는 서양철학의 중심 주제이기도 하다. 플라톤에서 헤겔까지 서양 철학은 이러한 모티브를 상이한 관점에서 반복하는 것에 불과하다. 헤겔은 관념론의 요체가 유한한 존재를 참된 존재자로 인정하지 않는 데 있다고 서슴없이 주장했다. 참된 존재자는, 헤겔식으로 말하자면 정신이나 신이다. 맑스는 이런 점에서 헤겔 철학이 보편자가 개별자를 통해서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보편자가 개별자에 우선한다고 주장하는 오류에 빠졌다고 지적한다. 맑스에 의하면 관념적인 것은 인간의 머리 속에서 전화되고 번역된 물질적인 것 이상의 아무 것도 아니다. 말하자면 보편자는 개별자의 사유 속에 반영된 결과일 뿐이다. 맑스 비판의 요지는 헤겔이 실재의 과정을 사유의 과정으로 대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기독교의 논리와 동일하다. 유한한 인간은 무한한 존재인 신의 표현에 불과하다. 인간은 신의 전능함을 나타낼 뿐이다. 뭐 이런 정도. 말하자면 유한한 존재는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지 못한다. 언제나 무한자를 저 편에 설정함으로써만 의미를 가지는 것이다. 인간이 유한한 존재라는 점에서 종교는 시대를 초월한다. 종교적 근본주의의 비극은 바로 여기에 있다. 근본주의자들에게 있어서 유한한 존재의 유한성은 단지 무한성을 실현하는 수단에 불과하다. 기독교든 이슬람이든 마찬가지다.

내가 유한성과 무한성이라는 테마에 관심을 가지게 된 최초의 계기는 아마도 유년시절 TV에서 본 시리즈 애니메이션인 <은하철도 999>를 성인이 되어 다시 보았을 때라고 기억한다. 물론 내가 아직 초등학생이었던 시절 이 TV만화는 단지 재미있는 만화영화였을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유한한 존재의 유한성이라는 문제가 나에게 중요한 관심거리였고 우연히 <은하철도 999>를 다시 보았을 때 불현듯 내 머리 속에 떠올랐던 것이다. 이 애니메이션의 내용은 대략 이렇다.

데츠로(철이)는 어머니를 죽인 기계 백작에게 복수하기 위해, 그리고 영원한 생명을 얻어 어머니의 몫까지 살기 위해 신비로운 여인 메텔과 은하철도 999를 타고 기계별로 향한다. 이 만화 영화는 일종의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다. 데츠로와 메텔은 기계별로 가는 여정에서 많은 기착지를 거치게 되고 이들은 기착지에서 특수한 상황과 특별한 사연을 가진 인물들과 마주친다. 데츠로는 이들과의 마주침을 통해 끊임없이 ‘인간이 산다는 것의 의미’를 고민하게 된다.

이 과정의 주요한 모티브는 대립과 화해다. 첫 째는 기계인간과 인간의 대립인데, 기계인간은 무자비하게 인간을 살해하고 탐욕적인 존재로 제시된다. 두 번째는 기계인간이 무한한 생명을 얻었지만 오히려 붉은 피를 가진 인간의 신체를 그리워 한다는 거다. 그리고 어떤 경우건 기계인간은 쓸쓸하게 죽는다. 기계 또한 인간처럼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고 파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완벽하게 영원성을 누리는 건 아닌 셈이다. 이렇게 기착지를 거쳐 갈 때마다 데츠로는 정신적으로 성숙해간다. 작가인 마쓰모토 레이지의 말대로 우리들이 이미 겪었으며 누구나 겪는 소년 시절에 대한 일종의 우화인 셈이다.

여하튼 이 애니의 모티브는 삶과 죽음, 유한성과 무한성, 즉 영원한 생명이다. 그런데 이 애니메이션에서 이와 같은 모티브는 도덕적인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대개의 경우 악당은 기계몸을 가진 기계인간이고 그들은 무자비하고 난폭하며, 잔인하다. 한마디로 도덕적인 존재가 아니다. 이 말은 비도덕적이라는 의미와 다른데, 기계인간은 도덕성과 무관하다. 그들은 양심의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고 따라서 도덕적 갈등에서 자유롭다. 한참 대단한 인기를 누렸던 X-files에서 “왜 외계인이 인간을 납치해서 생체실험을 하겠는가?” 라고 반문하는 스컬리에게 멀더는 이렇게 되 묻는다. 인간이 아프리카의 개미를 잡아다 실험하거나 개구리를 해부할 때 도덕적 가책을 느끼는가? 도덕성은 존재의 차원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는 말이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유한성이 문제가 된다면 유한한 존재에게 윤리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은하철도 999> 시리즈 이후에 나온 마쓰모토 레이지의 애니메이션 <메텔 레전드>에는 다음과 같은 의미심장한 대사가 나온다.

"기계몸이 된다는 것은 인간 이상의 힘을 얻게 된다는 것
그 힘에 마음을 빼앗기게 되지 않으면 좋겠지만
기계몸은 무한한 힘과 영원한 생명
분명히 인간의 마음을 계속해서 잡아 두는 건 무리일지 모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6/27 15:04 2012/06/27 15:04
https://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260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