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종이 향기

좋은글 2011/11/03 20:39

작년까지만 해도, 그러니까 아이팟을 가지고 놀기 전까지만 해도 경향신문을 읽기 위해 하루에 1시간 정도 시간을 냈다. 경향신문은 기획기사에서 오피니언까지 참으로 읽을 거리가 많은 신문이다. 경향신문이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축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요즘은 그렇게 시간을 내서 읽지 못/안 한다. 아이팟과 아이패드로 글을 읽다 보니 어느새 신문종이에 인쇄된 문자를 읽기가 영 이상해졌다. 이상해졌다는 표현은 물론 정확한 표현이 아니다. 다른 표현을 찾기가 힘들다. 이건 궁색한 말이 아니다. 분명 책을 읽기는 하지만 책을 읽는 건 주로 공부고 마음 편하게 책을 읽는 경우는 소설이 아니면 힘들기 때문에 책에 인쇄된 문자와 신문에 인쇄된 문자는 대하는 마음에서 어느 정도 차이가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아이팟이나 아이패드에 익숙하다 보니 느긋하게 마음을 편히 먹고 글을 읽는 여유가 사라져 버린 것이다. 그렇다. 아이팟과 아이패드를 멀리해야 한다. 종이 향기 맡으며 읽는 글이라야 진짜 글이다. 그러나 미래를 위한 기록은 디지털로 남기기로 한다.

[녹색세상]군식구와 상상력

이문재 시인·경희사이버대 교수 slownslow@naver.com

은행잎 구르고, 어깨가 움츠러들 때면 생각난다. 봄이면 바람처럼 나갔다가, 가을이 깊어지면 또 바람처럼 깃들이던 노총각. 서른이 훨씬 넘은 나이였는데 집도 절도 없었다. 10촌형님이었다. 우리는 ‘열춘성’이라고 불렀다. 두 눈이 움푹 들어간 데다 얼굴이 길었다. 말수가 없었고, 키는 컸지만 등이 구부정했다. 결정적인 흠은 게으른 데다 밥을 많이 먹는다는 것이었다. 방 안에 있을 때 열춘성은 가구 같았다. 하지만 부모님은 군식구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간섭을 하지 않았다.

김장철이면 또 다른 식구가 생겼다. 덕적도에서 굴장수 아주머니가 다녀가면, 며칠 뒤 김천에서 꿀장수 할머니가 왔다. 두 분은 이고 온 굴과 꿀을 다 팔 때까지 너댓새 우리집에서 묵었다. 19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우리 동네에는 숙박시설이 없었다. 마을 초입에 있는 우리집이 ‘민박집’이었다. 숙박비는 따로 없었다. 굴 두어 사발, 꿀 한 대접이면 그만이었다. 늦가을 손님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한겨울 밤에도 헛기침을 하며, 하룻밤 재워달라는 나그네가 있었다. 그때마다 아버지는 군말없이 낯선 사람을 방으로 들였고, 어머니는 서둘러 밥상을 차렸다.

내가 어릴 때만 해도 ‘환대의 문화’가 살아 있었다. 환대하는 문화가 없었다면 나그네, 장사꾼, 순례자, 탁발승은 없었을 것이다. 낯선 사람을 아무 조건 없이 받아들이는 문화는 보편적이고 유구한 전통이었다. 언어와 지역, 종교와 신분을 가리지 않았다. 초기 기독교 가정에서는 ‘세 가지 보물’을 상비하고 있었다. 양초, 마른 빵, 담요. 늦은 밤, 낯선 여행자가 문을 두드리면 양초를 켜 문지방을 넘게 하고, 빵으로 허기를 달래준 다음, 담요를 덮고 잠자리에 들게 한 것이다.

이슬람 문명에도 환대가 엄연했다. 13세기 페르시아 신비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루미의 시에는 여행자가 “집안을 쑥대밭으로” 만든다고 할지라도 “문밖까지 나가 웃으며 맞이하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방인이 “앞길을 밝혀주기 위해 미래에서 온 안내자”일지도 모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지금도 근대문명의 세례를 받지 않은 토착사회에서는 낯선 여행자를 반갑게 맞이하는 문화가 고스란히 유지되고 있다. 저 환대의 문화를 추방한 것은 근대였고, 자본주의였다.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방인을 적대시하게 만들었다. 멀리 갈 것도 없다. 참외 서리가 절도로 규정되고, 무전여행이 무전취식으로 지탄받으면서 환대의 문화는 소멸됐다. 집 앞을 어슬렁거리는 낯선 사람은 ‘무단 침입’ 가능성이 있는 예비 범죄자가 되고 말았다. 환대는 죽었다.

세계 인구가 70억명을 넘어섰다. 이주와 디아스포라(離散)가 지구적 현상으로 확대되고 있다. 우리나라만 해도 체류 외국인이 114만명을 넘어섰다. 낯선 사람들이 도처에 있다. 우리도 누군가에게는 이방인이다. 하지만 ‘차이의 공동체’는 요원하다. 피부색이 검다는 이유만으로 대중목욕탕에 들어가지 못한다. 내국인과 외국인은 물론, 정규직과 비정규직, 노인과 젊은이, 장애인과 비장애인, 강북과 강남 등 국경 안에서도 수많은 차이가 수시로 부딪친다. 하지만 차이는 여전히 차별의 근거다. 환대를 초대해야 한다. 환대가 차이를 다양성의 원천으로 끌어올리기 때문이다.

첫서리 내리면 ‘열춘성’의 희멀건 웃음이 떠오른다. 법 없이도 살 사람은 서울 변두리에서 홀로 눈을 감았다. 아무도 그의 마지막을 지켜주지 못했다. 고향집도 사라진 지 오래다. 겨울이면 고향집으로 돌아가 한철을 나야 할 비정규직, 이주노동자들이 원룸과 고시원, 옥탑방, 반지하방, 지하도에서 웅크리고 있다. 추방당한 삶들이 생존의 극지로 몰려 가 있다. 환대의 문화를 현재화하는 첫 걸음은, 도정일 교수가 말한 대로 문학적 상상력을 복원하는 것이다.

문학적 상상력이란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감정이입을 통해 나그네와 이방인을 맞아들이지 못한다면, 의인화를 통해 물과 나무, 땅과 별을 반기지 못한다면, 미래는 우리를 비켜갈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03 20:39 2011/11/03 20:39
https://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69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