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자주가는 "녹천탕"에는 탕 주변에 코팅된 주간지 기사가 여기저기 놓여있다.아마 손님이 탕에서 몸을 푸는 동안 읽으라고 내 놓은 일종의 주인의 배려인 셈이다. 주로 [주간경향]과 [시사인], [시사저널], 어떨 때는 [한겨레21]도 있다. 그리고 아주 가끔이지만 [주간조선]도 보인다. 종업원의 식견인지 주인의 식견이지는 모르지만 어느 정도 일관성을 가지고 주간지를 선정하는 모양이다.

나는 대체로 한국식 TV 코메디는 전혀 안 보는 사람인데, 최근 여러가지 사연으로 "애정남"이라는 코너가 아주 재미있으니 한 번 보라는 말도 듣게 되었다. 사실 나는 "애정남"이 말 그대로 느끼한 남자의 애정섞인 그렇고 그런 코메디 코너라고만 생각했지 이 말이 "애매한 것을 정해주는 남자"의 줄임말인 줄은 모르고 있었다. 내가 아래 글을 읽게 된 것도 첫 문장이 TV 코메디의 내용을 인용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읽으면서 드는 생각이 많았다.


타인의 생각을 읽는 능력은 언제 생겨나나

전우영│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북쪽에 오랑캐가 쳐들어와 북한산성, 남한산성이 함락되고 마지막 남은 감!수!성! 감수성에 있는 장군들은 감수성이 풍부했으니…”로 시작하는 ‘감수성(城)’은 KBS2 텔레비전 <개그콘서트>의 인기 코너 가운데 하나이다. 감수성이 병적일 정도로 풍부한 장군들이, 왕이 자신에게 무슨 말이나 행동을 하면 그것을 아주 심한 것으로 받아들여서 갑자기 삐치는 상황을 코믹하게 만들었다.

왕이 역모를 꾸민 군사들을 소탕하기 위해서 그들이 숨어 있는 산을 당장 불태우라고 장군에게 명령하면, 장군이 갑자기 “그 산 우리 집안 선산이에요”라고 말하면서 삐치는 식이다. 왕은 곧바로 분위기를 파악하고 “미안하다. 몰랐어”라고 사과한다. 하지만 한번 삐친 장군은 왕이 얼마나 말을 심하게 한 것인지를 계속 물고 늘어진다. “그 산 우리 증조할아버지부터 아버지까지 묻힌 곳인데….” 왕이 또 미안하다고 해도, “좋겠네요. 돌아가신 아버님께 보일러 놔드리겠네요”라고 끝까지 왕이 말을 함부로 해서 자신들이 상처를 받았다는 식으로 몰아간다. ‘감수성’은 심지어 사약을 받아야 할 포로로 붙잡힌 오랑캐까지도 자기 마음에 조금이라도 상처를 받으면 “나 빈정 상해서 사약 안 먹을 거야”라고 말하고 가버리는 것이 통하는 세상이다.

감수왕, 문제를 신하들의 관점에서 바라봐

‘감수성’에서 웃음을 자아내는 캐릭터는 감수성이 풍부해서 마음의 상처를 쉽게 입고 잘 삐치는 장군, 내시, 오랑캐이지만, 더 주목할 만한 캐릭터는 개그맨 김준호씨가 연기하는 감수성의 왕인 ‘감수왕’이다. 감수왕은 왕으로서 자신이 충분히 해도 되는 이야기나 행동을 했음에도, 신하가 마음에 상처를 입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바로 그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사과와 위로의 말을 건넨다. 감수왕은 타인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왕인 것이다.

감수왕의 공감 능력은 감수왕이 문제를 자신의 관점이 아니라 신하들의 관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자신의 관점에서 울고 있는 상대방이 울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아니고, 울고 있는 상대의 입장이 되어서 상황을 보는 것이다. 그 덕분에 시청자들조차 공감하기 힘든 신하들의 슬픔에도 감수왕은 공감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상대방에 대해 안쓰럽고 미안한 마음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타인의 관점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능력은 언제쯤 생기는 것일까?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관점과 다른 사람의 관점을 구분하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 즉, 어린이들은 세상 모든 사람이 자신과 동일한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린이 인지 발달 연구의 아버지 격인 장 피아제(Jean Piaget)는 어린이들은 약 7세까지는 타인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그는 인헬더(Inhelder)와 함께 수행한 실험에서 입체적인 모형 산을 만들었다. 이 산은 어디에서 보느냐에 따라 모양이 달라 보였다. 먼저 어린이에게 이 산 전체의 모습을 3백60℃ 돌아가면서 보도록 했다. 그 후에 어린이를 산의 한쪽 편에 앉게 하고, 어린이의 맞은편에는 곰 인형을 하나 놓아두었다. 그러고 난 다음에 어린이가 앉아 있는 쪽에서 산을 찍은 사진과 곰 인형이 앉아있는 쪽에서 산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고, 두 개의 사진 중에서 어떤 것이 곰 인형이 지금 보고 있는 산의 모습인지 고르게 했다. 결과에 따르면, 어린이들은 자신의 현재 위치에서 보이는 산의 사진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들은 자신의 맞은편에서 산을 보고 있는 곰도 자신이 보고 있는 것과 동일한 산의 모습을 보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8세 전후에 자아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 고려

피아제는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지 못하는 이러한 어린이들의 사고를 자아 중심적 사고라고 명명했다. 여기서 자아 중심적이라는 것은 어린이가 이기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타인들도 자신과 동일한 조망으로 세상을 보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는 점에서 자아 중심적이라는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고 자신에게 필요한 것들을 다른 사람도 좋아하고 필요로 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만약 5세 전후의 어린이들에게 이른바 명품이라고 불리는 아주 비싼 가방과 뽀로로가 그려진 가방 중에서 엄마에게 줄 선물을 고르라고 하면, 어린이들은 자신들이 좋아하는 뽀로로 가방을 엄마에게 줄 선물로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것은 어린이들이 엄마도 자기와 같은 관점으로 세상을 볼 것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엄마도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대상인 엄마에게 줄 선물로, 엄마가 원하는 비싼 가방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뽀로로 가방을 선택하는 것이다.

피아제의 연구에 따르면, 대다수 어린이는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능력을 약 8세 전후에 획득하게 된다.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관점을 고려할 수 있는 기본 능력을 생각보다는 어린 나이에 획득하는 것이다. 초등학교에 들어가고 나면, 어린이들은 자아 중심적 사고로부터 탈피하게 된다. 엄마가 뽀로로 가방보다는 비싼 가방을 원한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다.

안타까운 것은 자아 중심적 사고로부터 탈출한 지 수십 년이 지난 성인들 중에서도 많은 사람이 타인의 관점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이다. 특히,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집단의 이득의 관점에서만 세상을 바라보고, 자신의 판단과 의사 결정이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믿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의 존재는 과연 피아제가 이야기한 것처럼 사람들이 8세 전후에 자아 중심적 사고로부터 탈피하게 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만든다.

흥미로운 것은 우리 사회에서는 타인의 관점에서 세상을 보지 못하고, 자신의 관점에 매몰되어 있는 사람들이 힘을 소유하고 있을 때, 이들의 자아 중심적 사고를 카리스마, 추진력, 선명성, 단호함 등의 단어로 포장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힘을 가진 사람들이 자신들이 원하고 좋아하는 것을 힘을 가지고 있지 못한 사람들도 원하고 좋아할 것이라고 믿고 설득하는 것은, 다섯 살짜리 어린이가 엄마에게 뽀로로 가방이 더 좋다고 설득하는 것보다 더 설득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특히, 리더십을 발휘하는 위치에 있거나 또는 그런 위치에 있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자아 중심적 사고는, 리더의 결정에 삶이 좌지우지되는 사람들에게는 심각한 폭력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크다.

감수왕은 자신의 신하들에게도 쩔쩔매는 우스운 왕이지만, 그에게는 타인의 관점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어쩌면 그 공감 능력으로 자신과 신하 그리고 백성들 간에 발생했던 오해와 갈등을 조기에 봉합할 수 있었기 때문에, 아직도 감수성을 지켜내면서 끝까지 오랑캐들과 싸울 수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1/11/03 20:53 2011/11/03 20:53
https://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70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