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독립영화에 대해서...

독립영화(다큐멘터리)는 독립해야 하는가? 안창현 (영상이론 3) 영화 매체는 그것이 허구의 이야기를 보여주든, 있는 사실을 그대로 드러내려 하든 카메라가 존재하는 한 찍혀진 대상이 있게 마련이다. 어떤 앵글을 선택해서 어떤 사이즈로 보여주는가에 따라, 또한 렌즈나 조명 등 그 밖의 많은 요소들에 의해서, 그 대상의 다양한 측면을 부각시킬 수 있지만, 그 대상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못한다. 이런 영화 매체는, 그래서 다큐멘터리적이다. 빌 니콜스의 말대로, 모든 영화는 얼마간 다큐멘터리라고 할 수 있겠다. 다큐멘터리는 우리 주변의 세상을 객관적으로 관찰한다. 허구의 이야기를 구성하지 않고, 다큐멘터리는 찍는 대상을 그대로 드러내준다고 우리는 흔히 믿게 된다. 영화는 분명 매체 그 자체로 그러한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고, 기록하는 다큐멘터리의 기능을 생각해 보았을 때 사실, 영화만큼 그것에 잘 어울리는 매체는 없을 것이다. 극영화나 실험영화와는 다르게 다큐멘터리에서 유독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쟁점들이나 영화의 진정성이 중요한 문제로 드러나는 것은 바로 영화에서의 카메라가 세상을 객관적으로 드러내줄 수 있다는 생각과 또 그래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다큐멘터리는 감춰진 자리를 비추는 것이라 나는 생각한다. 함께 하는 사회에서 우리가 잘 보지 못했던 자리, 그 속의 사람들을 비추는 것이 다큐멘터리가 아닐까? 아니, 다큐멘터리라는 특정한 장르에만 그러한 기능이 주어진다는 것보다, 이는 카메라 자체의 속성이라고도 말할 수 있겠다. 우리들이 흔히 지나치는 일상 속에서, 일상화된 시선으로 자연스럽게만 바라보는 주변의 것들을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게 하는 것, 이것이 카메라다. 카메라라는 객관적 기계 장치에 의해 찍혀진 것들을 이렇게 다시 돌아보고 그 의미를 새롭게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것은 평소에 우리가 자연스런 일상의 모습으로 무심히 지나쳤던 것이기도 하겠지만, 우리가 미처 보지 못한 것이거나 우리가 보지 않으려 했던 것들일 수도 있다. 우리들을 다시 돌아보고, 우리들 주변에서 우리가 알지 못했거나 소외되고 고통 받는 사회의 이면을 비춰주는 것, 이러한 카메라의 기능은 우리에게 카메라의 윤리적 측면을 생각해 보도록 한다. 이는 논픽션으로서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드러낸다고 믿게 되는 다큐멘터리뿐만 아니라, 극장에서 상영되는 주류의 대중적인 극영화에서도 사실 어느 정도는 그렇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는 원래 무언가를 다시 드러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카메라를 든 사람은 그 안에 찍히는 대상에 대해서 그것이 사물이든, 사람이든, 어떤 윤리가 필요한 것 아닐까? 물론, 카메라로 찍혀진 현실이 그것 자체로 진실을 보증하지는 못한다. 그것이 다큐멘터리라고 해도 그럴 것이다. 영화에서 리얼리즘을 표방한다고 하는 것, 그래서 그 영화가 우리들 현실의 모습을 드러낸다는 것은 정확히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반영이라는 말을 그대로 사용한다고 했을 때, 현실의 이미지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영화의 리얼리즘이 반영하는 것은 현실이 아니라 현실의 이미지이다.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는 다큐멘터리적인 효과, 현실을 강하게 환기시키는 그 현실 효과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고 하겠으나, 그것 자체로 현실을 온전히 반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악의적으로 왜곡의 의도를 가지지 않는다고 해도, 어떤 진정성을 가지고 현실의 진실을 드러내려 한다고 해도, 최소한 그것은 현실의 어떤 측면만을 드러낸다고 말해야 할 것이다. 사실, 영화 속에 표현된 작가의 진정성을 이야기하는 것도 그리 중요한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우리들은 분명 영화를 통해서 작가의 진정성을 느낄 수도 있을테지만, 그 힘겨운 환경 속에서 전력하는 독립 다큐멘터리 작가들의 진정성을 누가 의심할 수 있을까, 그 진정성이 진실을 보증해주는 것은 물론 아니다. 진정성이 거짓과 비극을 불러올 수도 있는 것이다. 유대인 학살의 비극을 자행한 나치에게서 진정성이 없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다큐멘터리가 말하고 있는 진실은 무엇인가? 우리는 다큐멘터리들을 어떤 진실의 모습으로써 받아들여야 하는 것인가? 아니, 도대체 영화는 진실을 말할 수 있는가? 진실이 그것 자체로 중요한 것은 아니라면 어떨까? 아마도 많은 진실들 중에 하나를 다큐멘터리들은 겨우, 간신히 드러내려는지도 모른다. 영화 한 편이 온전히 그 진실 전체를 드러낼 수는 없다. 영화 한 편으로 세상이 바뀌지는 않는다. 정작 중요한 것은 그런 다큐멘터리들을 본 우리들 관객이 아닐까? 혼란스런 현실 속에 어떤 진실을 담으려는 다큐멘터리는 현실 속의 남겨진 진실들을 온전히 관객들의 몫으로 남긴다. 이것은 다큐멘터리의 한계가 아니라, 오히려 다큐멘터리의 가치이고 진짜 힘일 것이다. 진실은 이것이라고 강요하는 세상에 대해 다양한 진실들을 드러내고 환기시키는 힘 말이다. 독립(다큐멘터리)영화는 독립해야 하는가? 우리는 자본으로부터, 권력으로부터 다큐멘터리들이 독립해서는 안된다고 말해야 할지도 모른다. 인간이 자연에 기생하고 있는 그 모습 그대로 독립영화는 자본에, 권력에 당당히 기생해서 자신의 다양한 모습들을 드러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우리들의 도처에 있는 자본과 권력에서 독립영화가 왜 독립해야 하나? 독립영화는 어디에서도 독립하지 않는다고 말해야 할지 모른다. 자본과 권력의 숙주에 기생하면서, 그 거대한 숙주에서 조금씩 조금씩 하지만 당당히 피 빨아먹으며, 독립영화는 그렇게 언제나 우리들과 함께 있다고 말해야 옳을지 모른다. 숙주가 빈혈로 쓰러질 때까지.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