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 참여행위연구

from 콩구르기 2006/04/05 19:41

내 주변 사람들이 참여행동연구라고 불러제끼던 건데 이 책에서는 참여행위연구라고 한다.

행동과 행위는 뭐가 다를꼬. 하여튼 영어는 똑같아서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란다.

 

 

* 참여행위연구의 기본 관점은 삶과 과학적 탐구를 분리하지 않으며, 살아있는 지식, 즉 내가 일하고 나를 위하여 사람들을 가치있게 만드는 지식을 창조하고 삶을 이해하기 위한, 그리고 삶을 위한 진정한 탐구... 참여행위연구에서 지식은 매일의 경험에 뿌리를 둔 살아있는 발전적인 과정... 사람들을 압박하고 있는 문제들과 지역사회의 무성한 이슈들에 대한 실재적 해결을 추구함에 있어 행위와 반성, 이론과 실무, 사람들과 참여를 촉구한다... 직선적/수평적/수직적 과정이 아닌 원형의 과정으로, 관찰하고 생각하고 활동이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과정이다.

 

* '수평적 상호관계'를 추구함... 참가자끼리 서로 존중하고 감사하는, 주체와 객체가 아닌 주체와 주체의 수평적 관계가 됨을 의미... John Heron은 '개인은 경험단계에서는 공동대상자이고, 반성단계에서는 공동연구자이다'라고 하였다...

 

*  Stinger는 연구가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의 삶을 강화하고, 비경쟁적이고 비착취적이기 위해 사회적 개인적 역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추구한다고 믿으며, '연구를 수행하는 것' 뿐만 아니라 '관련된 모든 사람의 안녕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더 찾아보아야 이해할 수 있는 말들

 

* 논리적 실증주의 세계관에 대한 도전

 

* 해방적 재건설(emancipatory reconstruction)

 

* 과학적 파괴(scientific deconstruction)

 

구체 내용을 더 찾아보면 좋을 것 같은 예시들

 

* 콜롬비아의 사회학자/성직자인 Camilo Torres

* 기존도덕을 파괴하고 문답식 모델을 제시한 브라질 교육자 Paulo Freire

* 비폭력저항을 실천한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 (이름말고 내가 아는 게 없구나!)

* 사회 정의와 진보를 위해 'ujamaa'정책을 제시한 탄자니아의 Julius Nyerere

* 사회개혁을 위한 실천투쟁에 앞장선 페루의 Jos'e Carlos maria' tegui

* 콜롬비아의 Ignacio Torre's Giraldo (거 이름 한번...)

* 브라질의 L.A. Costa Pinto/변화에 대한 저항

* 멕시코의 Pablo Gonza'lez Casanova/착취개념

* 아프리카 경제학자 Samir Amin/경험주의 분석

 

웹사이트 몇군데 보다보니 시간이 훌러덩 가버렸다. 에잉. 다시 일 모드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6/04/05 19:41 2006/04/05 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