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번역과 형식규정성 : BlackLivesMatter

파비안 게오르기(Fabian Georgi)의 '이주/난민의 정치경제학'에서도 역시 형식규정성이 넘어야 할 고개다. 마르크스의 자본론에서 사유를 배운 글들에서 다 그러듯이.

형식규정성이란 건 도대체 뭐지?

이렇게 물어오면 뭐라고 설명하지?

이런 생각을 하다가 이곳 꽃개님의 글에서 실마리를 찾았다.

블랙라이브스매터(BlackLivesMatter)란  운동(?) 혹은 슬로건이었다.  

 

나에겐 번역이 인식과 이해의 첫 관문인지라 번역을 시도해 보았다.

어렵다.

Black은 PC(Political Correctness)에 걸리고, matter의 번역은 장황하다.

문장/구호를 이렇게 이리저리 뒤집고 있는 가운데 더 깊이 들여다 보게 되었다. 왜 번역이 어려운지, 정말 그 이유가 되는 원인 3 가지가 보인다.

1.
Black Lives가 마주하는 현실을 참조하지 않으면 이해할 수 없는 문장/구호다. 그 현실은 긴박한, 현재 진행 중인 현실이다.

2. 뼈저리게 아픈 모순이다.  BlackLives가  문장의 외형, 혹은 논리적 형식(logische Form)에 어긋나게 Matter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3. 이 모순은 현재 진행 중인 모순일 뿐만 아니라 오래된/지속되는 모순이다.

 

이런 인식이 동반되지 않으면 아마 '똑똑하게'(smart) AllLivesMatter할 것.


이런 인식의 동반을 두고 형식규정성(Formbestimmtheit)을 말하는 게 아닌가 한다.


사족: Formbestimmtheit가  형태규정성으로 번역되는데, 형식규정성이 더 좋은 것 같다. (참조: 자본론출판 기념회자료집, 26쪽)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주/난민의 정치경제학

[번역]

제목: 이주의 대장정 여름에 나타난 모순들 (Widersprüche im langen Sommer der Migration), 유물론적인 경계레짐분석을 위한 접근(Ansätze einer materialistischen Grenzregimeanalyse)

글쓴이 : Fabian Georgi

출처 : 프로클라 (Prokla) 183호 (2016.5.26)

 

 

1. 서론

 

'이주의 대장정 여름'에 독일 정부가 취했던 행위는 분석하기 힘든 정치적인 수수께끼를 안겨주었다.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이미 유로 위기시 유로의 붕괴와 유럽 단일화(Staatsprojekt Europa) 프로젝트의 당위성의 실추를 무릅쓰고 독일 정부가 취했던 비타협적인 긴축정책 역시 간단하게 설명될 수 없었다 (참조 Georgi/Kannankulam 2015). 이와 비슷하게 2015년 9월 초부터 2016년 3월까지 발칸 루트를 통해 들어오는 난민에게 부분적으로 경계개방을 허용함과 동시에 이를 다시 통제하려는, 즉 [경계개방 이후] 독일로 향하는 걷잡을 수 없는(eigensinnig) 이주민 유입의 폭등(wachsender Umfang)을 망명법을 악화하고 EU 외부 경계를 터키의 도움을 받아 봉쇄하여 다시 통제 아래 두려는 시도 역시 설명이 안되는 구석이 많다.

이런 정책을 놓고 빗어진 첨예한(bitter) 분쟁과 나아가 독일 주민이 이곳저곳에서 점점 더 폭력적인 국수주의로, [난민 유입] 못지 않게 걷잡을 수 없게 (eigensinnig) 반응하고 있는 상황을 두고 볼 때 오늘날 이주와 난민의 경제학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가 매우 시급하다. 더욱 분명한 것은 이주와 이주 정책에 대한 확실한 유물론적인 관점들이 수년 전부터 주변화되었기 때문에 이런 주제에 관한 정치경제학적인 분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주 연구의 주류는 '문제해결의 왜곡'(‘Problemlösungsbias’)이라는 병에 걸려있고 자본주의 경제와 (이주)정책 간의 연관성을 이론적으로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에 좌초하는 반면, 비판적인 경계레짐연구의 맥락(Umfeld)에서 진행된 수많은 작업들은 [이주와 난민을 두고] 어떤 말이 오고 가는지, 어떤 실행/실천이 행해지는지 이를 이론화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경계]레짐들이 [단지] 내재적으로[만] {=자기 지시적으로만} 분석되는 경향이라는 게 이 논문의 핵심 테제다. 이런 식의 연구들은 경계레짐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분쟁구도를 불러일으키고 행위자의 실천을 각인하는 정치-경제학적인 구조에 의한 역동성들을(Strukturdynamiken) 간과한다. 게다가 해방적인 변화들의 조건들은 근본적인 정치-경제학적인 분석 없이  적당하게 이해될 수 없다.

이런 배경 아래 이 논문의 중심에 두 개의 질문을 두었다. 첫째, 어떻게  '이주의 대장정 여름'에 독일연방정부가 취했던 전략(부분적 경계개방, 망명법 개악/개정, 난민 루트 봉쇄)이 사회적 역관계와 정치경제학적인 모순들을 중점에 두는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을까? 둘째, 어떤 이론적이고 개념적인 도구들을 가지고 근본적으로 이주 및 경계레짐들의 형태와 변화를 비판적-유물론적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한 나의 답변은 한편으로는 사회적 분쟁의 맥락, 행위자, 그리고 과정을 경험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해주는 절차와 개념을 제공하는 역사-유물론적인 정치-분석에 기대고 있다. 이 접근의 중심에는 이주 및 경계레짐 내부에서 분쟁적으로 충돌하는, 경향적으로 끝없는 행위자 실천들의 다양성을 역동적인 '헤게모니프로젝트들'과 관련 당파들을 축으로 하여 배치하여 인식을 돕자는 제안이 놓여있다. 이런 헤게모니프로젝트들은  정태적이거나 패쇄적인 집단의 산물이 아닐 뿐만 아니라 레짐 실천들을 모두 담고 있는 것도 아니다. 이것들은 전망하기 어려운 역관계들을 분석적으로 배열하고 이들의 전위(轉位)를 재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념적인 추상 혹은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참조 Buckel et al. 2014). 다른 한편으로는 상대적으로 자율적인(autonom) 이주 운동들(Migrationsbewegungen) 역시 탈출-실천을 주도한 사회적 세력으로서 [인정하고] 이들의 주체성(Eigensinnigkeit = 비타율성)을 감소/환원하지 않는 가운데 앞의 분석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vgl. ebd.: 52f.; Benz/Schwenken 2005).

2015/2016년 독일의 이주정책이 야기한 분쟁의 보다 깊은 맥락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가운데 이 논문은 역사-유물론적인 정치분석의 방법을 비판적 이주 및 경계레짐연구에도 쓸모 있게 구체화하고, 나아가 '유물론적인 경계레짐분석'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다섯 개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서문에 이어서 2장은 비판적인, 특히 민족/인종지적 경계레짐연구의 정치경제학적 관점의 경시가 문제가 된다는 테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걸 배경으로 하여 레짐개념을 조절이론적으로의 진전을 제안할 것이다. 3장은 테제적으로 독일 정부가 '이주의 대장정 여름'에 취했던 전략적인 행위의 바탕이 되었던 역관계의 정치분석을 진행할 것이다. 이어서  제시되는 본론 장은 이주 관련 분쟁을 맥락화한다. 여기서 3가지 정치경제학적인 구조모순들의 역사적인 구체화를 분석한다. 내가 보기에 이런 모순들의 조절이 이른바 2015/2016 난민위기의 핵심에 놓여있다. 이 모순들은 지구 남쪽의 축적과 위기 과정의 결과들을, 노동력 문제를 이주 정책으로 해소하려는 자본(Kapitalfraktion)의 시도를,  그리고 지구 북쪽 주민 대부분의 민족-국수주의를 두루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유물론적인 경계레짐분석의 진전을 목적하는 연구프로그램 스케치로 논문을 마무리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번역] - 하층/기층과의 관계를 상실한 신세대 좌파

기사 원문 : Zeit Online

원제 : Junge Linke haben Bezug zur Unterschicht verloren.

인터뷰

인터뷰이 : 볼프강 메르켈 (베를린 사회연구과학센터 (WZB)민주주의 및 민주화과 소장, 베를린 훔볼트대 정치학 교수)

 

{일러두기 : 많이 의역했다}

 

질 : 설문조사가 매번 보여주듯이 독일 대학생 대다수는 스스로 정치적 좌파라고 자칭한다. 그러나 그들이 [좌파] 정당에, 혹은 현재 진행 중인 프랑스에서 파업에서 볼 수 있듯이 [파업]시위에 대폭 참여하는 건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것 또한 현실이다. 신세대 좌파의 활동 공간은 현재 어디서 찾아 볼 수 있는가?

 

답 : 실제로 신세대 좌파의 정치적 참여/개입의 형식이 뚜렷하게 변했다. 평생 적을 두기 일쑤였던 대형 조직들이 그 의미를 급격하게 상실했다. 젊은 지식인들 사이에서 정당은 이제 정말 시시콜콜한 것이고, 더욱이 장기적인 참여/개입은 극소수만 원하는 일이 되었다. 대신 국제사면위원회, 아탁(Attac - 시민의 이익을 위한 금융거래 과세 도입을 위한 연합) 또는 환경운동 단체와 같은 시민 조직에 단기적이고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경향으로 가고 있다. 나아가 인터넷에 디지털 시민 사회의 형식이라 할 수 있는 동아리들(Formen)도 있는데, 신세대 좌파가 거기에 이따금 참여하기도 한다.                    

 

질 : 내용이 궁금하다.

 

답 : 내용 면에서도 역시 흥미진진한 발전을 관찰할 수 있다. 분배의 정치에서 멀어지는 발전이다. 사회적 부의 정의로운 분배 문제가 예로부터 좌파 정치의 본질 중 그 핵심이었다. 그런데 이게 이젠 신세대 좌파 사이에서는 거의 전부 뒷전으로 밀려나갔다. 그 자리에 문화적인, 정체성의 정치적인 주제들이 들어서 우위를 차지한 상황이고, 이런 것들이 오늘날 신세대 좌파가 자신의 좌파적 존재[감]를 규정하는 [좌표가] 되었다. 그 사이 소수자의 절대적인 평등권이 진보가 추구하는 핵심 사안이 되어버렸다. 인종적, 종교적 혹은 성적 소수자의 평등권이 그런 것들이다.         

이런 발전은 종교로 제한해서 두고 볼 때 아주 이상한 결과를 야기했다. 왜냐하면, 신세대 좌파가 – 계몽과 마르크스주의 종교비판의 전통에 역행하여 종교를 치외법권이 적용되는 성역으로 보호하고, [특히] 이슬람에 대한 비판을 바로 „우파“ 또는 „혐오“로 낙인을 찍는 경향이기 때문이다. 결과 좌파의 종교비판이 망각되고, [좌파의] 비판적인 담론은 아예 행해지지 않고 있다. 이게 큰 문제다.

 

질 : 좌파가 스스로 입을 봉했단 말인가?

 

답 : 그렇게 극단적으로 표현하고 싶지는 않다. 하지만 [비판적인] 담론으로부터 [자유로운] 성역과 같은 지대가 있는 건 확실하다. 3분 가량 나는 우파가 아니고 외국인을 혐오하는 사람이 아니고 나아가 국경 개방을 지지하는 사람이라는 등의 신앙 고백을 먼저 해야 비로서 입장이 허용되는 지대다. 그러고 나서야 비로서 소수자의 입장이 비판의 대상으로 허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 정도의 발언이 어렵게 허용될 수도 있다. 이슬람과 관련해서는 자유로운 담론이 거의 허용되지 않는다는 게 명백하다.  자유로운 담론에 준하는 발언은 바로 비난을 뒤집어쓰게 된다. 토론 금지는 좌파적일 수 없다.

 

질 : 신세대 좌파는 분배 문제에  별로 관심이 없는 대신 문화, 정체성 정치 주제에 개입/참여하고, 좌파의 담론이 제한적이 되었다는 말씀이신데, 그 외의 변동 사항은?

 

답 : 아주 중요한 점은 오늘날의 신세대 좌파가 하나같이 세계시민주의적인 입장을 취한다는 점이다.  이건 정의의 문제를 더 이상 사회 정책, 임금 정책 등  일국의 맥락에서 거론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대신 전지구적인 연관성을 중요시하고, 이에 비해 국가는 낙후하고 지나간 것으로 간주한다. 이것은 또한 연대와 공동체가 아주 구체적이고 이웃과 함께하는 것이었고, 경제정책이 국민경제로 이해되었던 전형적인 좌파, 사민당의 전통과의 단절을 의미한다. 이런 직접적인 삶의 세계와 국가에 초점을 둔 정치관이 전지구적인 초점 전환에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질 : 방금 서술하신 발전을 종합하면 금시 다시 거론되는 이른바 „평범한 사람들“의 정치적 좌파로부터의 소원(疏遠)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단순 노동자(Hilfsarbeiter)가 아마 성차별을 지양하는 언어에 별반 열광하지 않았을 거고, 가속화된 현대화 시대에서 국가가 점점 더 전망하기 어려운 세계에서 최후의 질서를 담보하는 원리로 보이는 건 당연하지 않는가.

 

답 : 언급하신 원래 좌파 핵심 지지자들이 그들의 지난 대표로부터 소원해지는 프로세스는 분명 다층적이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지구화는 승자와 패자를 만들었다. 좌파는 전유럽에서 지구화의 패자를 좌파 당에 결속 시키는 능력이 없었다. 불확실한 취업자, 실업자, 그리고 일반 사무직(kleine Angestellte)도 이제 대다수 우파포퓰리즘 당에 표를 던진다. 권위적인 취향의 노동자들도, 설령 지구화의 패자에 속하지 않는 숙련노동자일지라도 그렇다.       

[기존 정당에 실망하여 우익 정당에 표를 던지는] 유권자의 이런 항의 표심에는 물론 분명 문화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다. 왜냐하면, 분배 정책을  두고 볼 때 [유럽 각국의] 우파포퓰리즘의 입장은 전혀 통일적이지 않다. 각 정당들은 국가마다 다르다. 예컨대 프랑스의  Front National 의 경유 현저한 재분배를 요구하는 반면  스위스의 Volkspartei는 보다 신자유주의 지향적이다. 이들의 공통 분모는 철저한 반유럽노선 및 민족-국수주의 지향에 있다. 이것이 스스로 지난 수십년의 현대화 과정의 패자로 자인하고, 공론장에서 배제되었다고 생각하고 익숙한 구조와 선명하게 정돈된 삶의 세계로 회귀하기를 원하는 유권자의 마음을 끄는 것이다.객관적-주관적으로 주변화된 이 그룹에 중산층의 문화세계에 깊게 뿌리하고 있는 좌파가 지금까지 제공한 게 별로 없다.   

 

질 : 뿐만 아니라 신세대 좌파가 이런 새롭고 심원한 양극화를 무관심, 경멸, 그리고 당황이 혼합된 냉담한 자세로 대한다는 느낌을 이따금 받는다.

 

답: 사실 그렇다. 신세대 지식 좌파는 자국의 하층/기층과의 관계를 거의 다 상실했다. [끈끈한] 연결은 고사하고 [하층/기층]의 심정을 느끼려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기에 시선을 돌리려 하지도 않는다. 좌파는 말 그대로 세계시민이 되었고, 언급했다시피 정치적 중점을 문화적 지형으로 옮겼다. 바로 이 지형에서 최고급 교육인과 그렇지 못한 교육인 간의 차이가 현저하게 되었다. 여기서 계급이란 개념의 사용이 허용된다면 이런 계급 간의 소통 상실이 강력(massiv)하고 사회 정의 실현에 문제가 된다.  

담론에서만 볼 수 있는 차이가 아니다. 생활 스타일, 가치관에서도 „위“와 „아래“ 그리고 도시와 시골 환경 간의 차이를 간과할 수 없다. 이런 차이가 표심에서 나타난다. 비슷한 걸 배후자 선택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계급 구조가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배후자 선택에서 같은 층 소속과 같은 수준의 교육을 받은 자를 찾는다. 이것이 사회적 균열과 분리를 더 심화한다. 증가하는 좌파의 문화적 감성이 드리우는 그림자의 어두운 곳에서 새로운 계급사회가 발생했다. 이 계급사회가 아직 신세대 지식인 담론의 주제가 되지 안았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횡설수설] 독일 녹색당 성공의 비결

자주, 사는 곳 근방에 있는 공원에 산책을 간다. 종종 아직 환한데 벌써 가로등이 켜져 있는 걸 본다. 대낮에 그럴 때도 있다. 그럴 때마다 짝지와 이런 말을 주고 받는다. 슈바벤 (남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의 한 지역명)의 할머니가 저걸 봤다면 아마 구청에 찾아가 청장을 불러내 왜 저렇게 소비해야 하냐고 지팡이로 삿대질을 했을 거라고. 아니다. 척박한 삿대질 대신 담백한 목소리로 차근차근 그렇게 내버려둬서는 안된다고 타일렀을 것이다.

 

 

지난 바덴-베르크주 총선에서 녹색당이 제1 정당이 되고 아성을 내준 기독민주연합(CDU)과 연정 협상에 들어갔다. 지난 사민당을 쥬니어파트너로 한 연정에 이어 CDU를 쥬니어파트로 한 정권 창출에 다시 성공할 전망을 갖게 된 녹색당. 그 비결은?

 

 

근면 검소한 생활에서 다져진 저 할머니의 마음을 정치화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싶다.

 

 

물론 80년대 젊은이들의 헌신적인 반전.반핵.생태계 운동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자유 공화국 벤트란트'(Freie Republik Wendland)를 잊어서는 안되고, 삶을 달리 살자는 이런저런 대안 사업들을 잊어서도 안될 것이다. 하지만 녹색당이 꽃을 피게 된 이유는 저 할머니의 마음 밭에 씨가 떨어졌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여기서 소개한 루이제 하러와 같은 할머니의 마음.

 

 

 

사이드 킥이 충동질한다. 마음 수련이 아직 부족하나 보다. 한국에서 녹색당은 왜 안될까? 음식 문화(?)를 보면 그 답이 나온다. 한국에서 가장 짜증나는 일이다. 상다리가 휘어지게 차려 놓은 음식. 다 먹지 못하고 버리는 음식. '우리'가 그렇게 살아왔나?

 

 

바덴-뷔르템베르크에 가면 '가꾼 것'(Kultur/문화)으로 가득 차 있다. 자연도 그렇다. '가꾼 생활권'(Kulturlandschaft – cultural landscape)이다. 자연이 대상이 아니라, 그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의 생활의 장으로서 내게 익숙한 것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포근하다.

 

 

순천 갈대밭도 참 포근했다. 90년대 초반에 그랬다. 친구의 안내를 받으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들었다. 지금은 왁자지껄 두 번 다시 가보고 싶지 않은 곳이 되었다. 가꾼 생활권이 아니라 관광지가 되어버렸다.

 

 

각설하고.

 

 

 

'슈바벤 할머니의 마음'은 아마 부모라면 다 갖는 마음일 거다. 자식이 잘 살기를 바라는 마음. 자식이 경쟁에서 살아남도록 교육에 투자하는 걸 넘어서 자식이 살 생활 터전이 보존되도록 아끼고 가꾸는 마음. 가치보존주의가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녹색당 성공의 비결이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번역] 실천 변증법을 위하여

일러두기: ( )는 필자가 사용. 사전적인 의미에서 좀 벗어나는 번역일 경우 역자가 원문 삽입으로 사용. { }는 역자가 이해를 돕기 위한 삽입. 필자의 주석은 번역하지 않음. 

 

 

글쓴이: 볼프강 하우크

출처: DAS ARGUMENT 274/2008


 

1. 실천 변증법을 이론 변증법과 구별하여 주제로 삼는 이야기는 아리스토텔레스로 거슬러 올라가 시작할 수 있겠다. 그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형이상학에서 철학을 이론 철학과 실천 철학으로 구분하고, 전자를 제일 철학이란 이름으로 실천 철학 위에 놓았다. 거기서 이론 철학은 움직이지 않는 것, 영원한 것, 즉 원리와 근원을 다루고, 실천 철학은 변화하는 것을 다룬다. “이론 철학의 목적은 진리이고, 실천 철학의 그것은 행위{와 그 결과인 작품}(Werk)이다.” (형이상학 993b, 20) 이에 기대어 우선 이렇다고 해보자. 이론 변증법의 목적은 진리이고, 실천 변증법의 그것은 행위라고. 근데 행위와 진리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2. 마르크스주의 전통에서는 이론 변증법이 우위를 점하고 있다. 반면 실천 변증법은 음지의 삶을 살고, 하찮은 것으로 치부된다. 마르크스가 헤겔의 변증법을 차용할 때, 최소한 그것의 획일적인 차용에 있어서, 그건 “단지 뚜껑과 껍데기의 역할 뿐”(Volksfreunde, AW 1,57)이고, 모순적인 조건 하의 역사적인 행동(Handeln)이야말로 변증법이 입증되어야 하는 그 고유한 영역임을 레닌이 이미 설파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모택동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순 다루기를 그가 이해하는 정치의 중심에 놓았다. 마르크스주의 사상가 중에서는 브레히트와 블로흐가 두드러진다. 실천 변증법에 대한 브레히트의 감각은 총명하다. 그는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레닌의 변증법은 {멀리하고}) 레닌의 “전환”(Wendungen)이란 실천 변증법을 재장전하여(aufgreifen), 이를 <전환의 서> (Me-ti, W 12)에서 선명하게 한다(verdichten). 이론 변증법에서 그의 관심을 끄는 것은 실천 변증법에 쓸모 있는 것이다. 그는 변증법을 “사물들 속에서 프로세스를 인식하고 그걸 이용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고, 이런 변증법은 “행동(Handeln)을 가능케 하는 질문을 가르친다”고 한다. (GW 12, 475) 블로흐는 <세계의 실험>에서 그가 “진정한 미래”라고 호명한 것, 즉 “지금 막{누락된 부분 추가} 일어나는 일들이 {외형적인} 출현 뿐만 아니라 내용상으로도 완전히 전제 조건에 달려있지 않고 규정되지도 않는, 그래서 완전히 예측할 수 없는, 아직 유동적인, 그래서 전환이 가능한 {미래를} 앞에 두고 있음(Vorsich)“에 주목하게 한다.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이 없다는 식의} 모든 것을 무효로 하는 무()란 반동의 제자리걸음(statisch)“이 혁명적인 것의 그림자가 되어 따라 다니고, 혁명과 제자리걸음 간의 결정이 수없이 회자된 나비의 날개 짓과 같은 우연에 회부된 경우, 원칙적인 전략보다 전술적인 유동성에 우선을 두고, “우연을 수단으로 하여 반동적인 전환의 우연”에 맞서라고 불로흐는 조언한다 (142).


 

3. 마르크스가 말한 이론 변증법의 매우 실천적인 법칙, 즉 “생성된 모든 형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그것을 {당시의 생성} 운동의 흐름 안에서, 다시 말해서 {한 형태의 항시적 측면을 파악하는 가운데} 또한 그 필멸의 측면”을 파악해야 한다는(MEW 23, 28) 법칙이 마르크스를 따르는 추종자들에 의해서 필멸의 불필멸적인 형태들(unvergängliche Formen der Vergänglichkeit)이란 교의로 전락되었다. 이렇게 이 법칙은 자가당착에 빠지게 되었다. {영원한 진리의 형태를 추구하는 경직된} 형이상학을 “운동의 흐름” 안으로 용해하자고 나선 저 법칙에 흐름 자체가 얼어붙어 변증법이란 이름 하에 형이상학이 된 것이다. 이렇게 변증법이 사물화되었다. 브레히트를 따르면 “세계상을 확립하는 성격”(Arbeitsjournal, 29.1.40)이 된 것이다. 마르크스는 {이를 예상했든지} 신의 말처럼 아리송한 경고의 말을(orphisch) 남겼다. „운동으로부터의 추상 외에 부동적인 것은 없다. - 불{필}멸의 멸{죽음}(Misère de la philosophie). „부동성”이란 추상은 공허하다(weltleer). 그 내용은 동의미어 반복으로 운동으로부터의 추상으로 환원한다.

 

 

{계속}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의 진리 혹은 배신의 정치 -4

새누리당 공천(公薦)을 두고 사천(私薦), 사당(私黨)화가 회자되었다.


 

()와 사적인 것에 대한 모독이다.


 

근대의 사()는 “합리적인 삶의 관리”(rationale Lebensführung)와 계속되는 훈육의 산물이다. 제멋대로 하지 않는다.


 

사적 영역으로 분류되는 기업 운영도 제멋대로 하지 않는다. 그랬다간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한다. 거기도 규범, 훈육이 있다.


 

새누리당 공천을 두고 '공당이 사당이 됐다'란 식의 언론의 말하기는 근대/현대 사회의 현실을 왜곡하는 말하기다.


 

자유민주주의 체제는 전제주의에 대항하여 결성된 '사당'이 주도한 혁명의 산물이다.


 

문제는 '사당', 정치 결사체가 없다는 데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의 진리 혹은 배신의 정치 -3

배신의 정치는 시간 정치다. 적시(適時) () 장기(長期, durée)의 정치다. 비수를 꽂을 알맞은 때가 있다는 것과 그런 때가 없다는 팽팽한 접전이다.


 

우리 모두 이런 시간 정치의 목격자가 되었다. 새누리당 공천이란 막장극에서. '한구 로봇'(동아일보, 최영훈 수석논설위원)'보이지 않는 손'의 장기전에 '무대'와 유승민은 적시로 대응했다. 둘 다 시간의 지배를 받는 대응 양식이다.


 

인간은 시간의 지배에 대항한다. 자연에서는 사물의 이치를 발견하고 사회에서는 규범을 세운다. 이렇게 시간의 지배에, 시간의 독재에 대항한다. 생각(pensée)를 딛고 일어서는 반항이다 (팡세 347, 브룬슈빅 판)


 

규범의 몰락은 시간의 독재로 회귀한다. 계몽 이전의 뮈투스로 돌아간다. 그리고 시간의 독재를 모방하는 독재를 낳는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의 진리 혹은 배신의 정치 -2

물론 그렇다. 박근혜의 말이 맞다. 유승민의 정치는 '배신의 정치'.

 

“증세없는 복지는 허구”라는 말 자체가 배신이 될 수 없다. 경제 삼척동자도 아는 사실을 말한 게 신뢰를 어기는 배신일 수는 없다.

 

 

문제는 타이밍이다.

 

 

세월호 참사, 메르스 사태 등 박근혜 정권의 국정 능력 상실이 입증된 때였다. 이때 유승민의 발언이 있었고 국회법 개정 등 정치적인 행동이 있었다. '배신'을 해도 '별일이 없을 거'라는 게 '기밀' 누설이다. 이게 유승민 배신의 본질이다.

 

박근혜는 참을 수 없었다. '아니다' 했어야 했고 '별일이 있다' 증명했어야만 했다. 그래서 결국 '찍어냈다'.

 

결과 박근혜 정권의 취약성 혹은 본질, 즉 패권주의와 줄세우기 정치가 전면화되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유승민은 승자의 길로 들어섰다. ..동까지 '보이지 않는 손'의 공천 학살을 멀리하고 있다. 아니 더 나서서 비판하고 있다. 유승민의 '따뜻한 보수, 정의로운 보수'를 지지하고 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박근혜의 진리 혹은 배신의 정치

발언 1)

박근혜: "정치적으로 선거를 수단으로 삼아서 당선된 후에 신뢰를 어기는 배신의 정치는 결국 패권주의와 줄 세우기 정치를 양산하는 것으로 반드시 선거에서 국민들께서 심판해 주셔야 할 것입니다."

 


발언 2)

이한구: "당 정체성과 관련해 심하게 적합하지 않은 행동을 한 사람은 응분의 대가를 지불하게 해야 한다."

 


발언 3)

유승민: "저는 2011년 전당대회 출마선언, 작년 4월 국회 대표연설 다시 읽어봤습니다. 몇 번을 읽어봐도 당의 정강정책에 어긋난 내용은 없었습니다."

 


발언 4)

이한구: "당을 모욕하고 침뱉으며 자기정치를 위해 떠난 것이다."

 

 

 

주석  1)

에피메니데스: "나는 크레타인이다. 모든 크레타인은 거짓말쟁이다."

 

주석 2)

파스칼: "정신이 나간 [규범이 몰락한] 사람들이 정신이 멀쩡한 [규범을 지키는] 사람들을 두고 당신들이야말로 본성에서 뚝 떨어져 나간다고 말하고, 자기들이야말로 본성을 따른다고 믿는다. 이는 마치 배를 탄 사람들이 부두에 있는 사람들을 두고 그들이 뺑소니친다고 믿는 것과 같다." („Ceux qui sont dans le dérèglement disent à ceux qui sont dans l’ordre que ce sont eux qui s’éloignent de la nature, et ils la croient suivre : comme ceux qui sont dans un vaisseau croient que ceux qui sont au bord fuient.“ 팡세 383번, 브룬슈빅 판)

 


박근혜의 말이 참말인지 거짓말인지 모르겠다. 결과는 맞는 것 같은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6/03/19

1. 유럽연합-터키 난민 송환 합의


관련 내용은 여기 참조


이 합의 관련 필자가 주목하고 싶은 점은 그리스와 터키를 선명한 선으로 가를 수 없다는 것.

 

난민의 [독일행] 발칸루트 봉쇄보단 그리스가 유럽연합 외부 경계선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다는 비판이 더 자자했었다. 지도를 보자. 그게 지리적으로 가능한지.

 

 

http://plansetguides.free.fr/guides/grece/greece_map.gif

 

 

이번 합의는 그리스와 터키 간의 경계선 통제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한 것 같다.

 

유럽의 “외재적 정체성”(레미 브라크, 유럽. 외재적 정체성, 1993/Remi Braque, Europa. Eine exzentrische Identität, 1993)의 구성 요소의 하나가 되는 그리스의 문화권은 에게 해를 넘어 소아시아를 포함했었다. 이 문화권은 오스만 제국까지 그 맥을 이어갔다. 그러나 오스만 제국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그리스가 [국수주의] 땅따먹기를 시도함으로써 단절되었다. 근대 국민국가를 건설한 터키의 반격으로 터키에 살고 있었던 그리스인들이 터키 본토에서 다 추방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터키 문화권의 맥이 살아있었을까?  


이번 합의로 유럽연합의 외부 경계선이 터키까지 확장되었다고 할 순 없지만, 한때 동결된 터키의 유럽연합 가입 과정이 재개된 건 사실이다.

 

터키는 유럽연합의 요구에 '열심히 숙제를 다했지만' "선처 받는 동반자 관계"("privilegierte Partnerschaft"-메르켈) 이상이 될 수 없다는 걸 인지하고 다부톨루가 창안한 "전략적 깊이"라는 구상 아래 아랍권의 헤게몬이 되는 길을 선택했다. "전략적 깊이" 구상이 빗나간 현재 다시 유럽연합에 접근하는 쪽으로 방향을 돌린 것 같다.

 


2. 전 독일외무상 베스터벨레 별세 (관련 기사)

 

정치인들은 공론의 일부다. 시대의 흐름을 가르는 혹은 종합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할까? 그들의 죽음이 하나의 사실로 다가올 뿐 별다른 감정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베스터벨레의 별세는 좀 다르다. 사람이라면 다 백혈병과의 투쟁에서 이기라는 응원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런가? 연민의 정인가?

 

항상 시끌벅적 '나'를 내세웠던 베스터벨레가 투병 중 공중에 내보였던 모습은 자기 안으로 들어가 상대를 배려하는 조용한 모습.    

 

남편을 위해서 책을 썼다는 말, 동성애자들의 결혼이 "이등결혼생활"("Ehe zweiter Klasse", 슈피겔 인터뷰)이 아니라는 말, 깊은 내면이 있는 동반의 삶이라는 말 등 삶이 취할 수 있는 모습을 적극적으로, 긍정적으로 살았다는 생각이 들면서 더욱 애도의 마음이 깊어졌는지 모르겠다.

 

단지 '등록된 동반자'란 지위밖에 부여되지 않은 동성애 커플이지만 메르켈 총리는  "[베스터벨레의] 남편과 유가족에게 애도를 표한다" 한다. 거침없이 "남편"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남편'의 삶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준 베스테벨레의 별세를 애도한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