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연설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14/11/11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연설 비판(1)
    ou_topia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연설 비판

한참 지난 연설이다. 시간이 허와 실을 밝혀 준다. 내구성이 없는 그날의 요구는 허섭스레기처럼 조용히 이는 바람에 날려 사라진다. 태풍이 필요없다. 정신이 깃들어 있는 그날의 요구는 정신이 이끌어 주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오늘의 요구로 다가온다.
 

박근혜 대통령의 드레스덴 연설이 과연 “기대감을 갖[을]”(염돈재) 만한 연설이었는가?  

 

아니다.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그렇다.  

 


1.

세상 흐름의 갈림길에서 결정적이었던 연설들은 수취인(adressee)이 분명했다. Address – 특정 대상을 향하여 하는 말인 연설이 갖춰야 할 기본 조건이다. 실재하는 잠재력이 수취인이 된다.

 

근데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은 청중은 있지만 수취인은 없다. 애매모호한 국제사회에 호소하고 있다.

 

예를 들어 1963년 6월 26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있었던 케네디의 연설은 이와 얼마나 대조적인가?
수취인이 뚜렷하다. 비스마르크 총리의 재밋는 말(bon mot)을 빌려 자유대 학생들을 자신의 커리어를 위해서, 더 큰 밥그릇을 차지하기 위해서 죽도록 공부하는 학생, 먹고노는 학생, 그리고 차기 지도자가 될 학생으로 3등분 하고, 이 마지막 분류에 호소한다. 이들에게 너희들이야말로 세계 시민으로 교육되어 진보세력이 감당해야 할 어렵고 예민한 인류의 과제를 수행할 사람들이라고 어필한다.    

 

여기에, 특히 혈기왕성한 젊은이들을 사로잡는 힘이 있다.

 

반면,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은 분명한 수취인이 없는, ‘연설’이라 할 수 없는 잡다한 것을 나열하는, 대기업 홍보이사의 발표와 다름 없는 對고객 광고에 불과하다. 좋은 것을 망라하는 겉치장에 불과하다. 정신이 없다.

 


2.

힘이 있는 연설은 수취인을 분명하게 한 다음 반성과 자아비판을 촉구한다. 빠질 수 없는 요소다. 그리고 반성과 자아비판의 척도와 장은 외부에서 가져오지 않고 수취인이 추구하겠다고 스스로 작정한 가치들을 기반으로 한다. 베를린 자유대에서의 케네디의 연설은 진리, 정의, 그리고 자유라는 베를린 자유대의 기풍(genius loci)을 반성과 자아비판의 장으로 삼는다. (자세한 내용은 http://blog.jinbo.net/ou_topia/649 댓글 참조)

 

반면,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에 저런 반성과 자아비판의 계기가 있는가? 전혀 없다. 여기에 염돈재가 끼어 들어 동방정책을 비판하는 형식으로 자아비판이 아닌 타자비판을 일삼는다. 그래서 자아비판을 거쳐서 타자를 아우르는 전체로 나아가는 계기가 없다. 삿대질 이상이 될 수 없다.

 

드레스덴 공대의 기풍도 고작 “명문”이다. 밥그룻 문제를 잘 해결해 주는 것에 불과하다. 진실, 정의, 그리고 자유라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비해 협소하기 짝이 없는 어필이다.
 
 
3.

세상을 바꾸는 힘을 부여하는 연설은 현상태(status quo)에 안위하지 않는다. 현상태를 타파하는 보다 큰 지평을 연다. (“So this is our goal, and it is a goal which may be attainable most readily in the context of the reconstitution of the larger Europe on both sides of the harsh line which now divides it. - 케네디 베를린 자유대 연설)

 

반면,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은 국제사회 기구들을 나열하는데 그친다. 새로운 지평을 여는 계기가 없다. 염돈재가 자청해서 우물안 개구리 모습을 취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마디로,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은, 앞에서 언급했다시피, 기업 총수에게는 어울릴지 몰라도, 한반도의 분단을 극복하는 정치 지도자 격에는 한참 부족한 연설이다.


“국제사회야, 나 좀 봐줘. 나 정답 알고 있지, 그지?” 정답 답습에 급급한 한국 교육이 만들어 낸 협소한 정신에서 나온 연설이 아닌가 한다. 염돈재의 말이 정답일 수도 있다. 근데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정신이 빠져있는 정답.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센스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