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분류 전체보기

네탄야후,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최초 조건부 인정

Affiche représentant

REUTERS/BAZ RATNER / Placardées par l'extrême droite, des affiches représentant "Hussein Obama l'antisémite" coiffé d'un keffieh palestinien sont visibles à Jérusalem. Lors de sa campagne électorale, M. Netanyahu avait assuré qu'il était le mieux placé pour maintenir l'alliance stratégique avec les Etats-Unis.

Benyamin Nétanyahou prêt à tenir tête à Barack Obama
LEMONDE.FR avec AFP | 14.06.09 | 10h22  •  Mis à jour le 14.06.09 | 11h40  
Le premier ministre israélien Benyamin Nétanyahou ne devrait pas accepter la création d'un Etat palestinien et un gel de la colonisation, selon les médias, lors de son discours de dimanche, présenté comme crucial. Il doit répondre au discours de réconciliation avec le monde musulman prononcé le 4 juin au Caire par le président américain Barack Obama, qui a pressé l'Etat hébreu d'endosser le principe de "deux Etats pour deux peuples" et appelé à un gel total de la construction dans les colonies de Cisjordanie, où vivent déjà prés de 290 000 Israéliens. Le premier ministre va s'exprimer à 20 h 10 locales (19 h 10 à Paris GMT) de l'université Bar-Ilan à Ramat Gan, dans la banlieue de Tel Aviv.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4/benyamin-netanyahou-pret-a-tenir-tete-a-barack-obama_1206730_3218.html#ens_id=1106055]

 

이스라엘 수상인 벤야민 네탄야후가 최초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조건부 인정하는 발언을 어제(6/14일) 저녁에 있은 한 대학 강연에서 했다고 한다. 이란 강경파가 대통령 재선에 성공한 덕택인지, 오바마의 지난 이집트 연설(6/4일)과 지속적인 국제적 압력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을 위한 조건의 수용 가능성 여부를 떠나서 획기적인 방향 전환으로 보인다. 불과 이날 아침까지만해도(10:22분 기사), 위의 사진에서 보듯이, 절대로 오바마의 '두 국가 상호 인정 프로그램'에 동의해서는 안되고 "오바마에게 대들어야 한다"(tenir tête à Barack Obama)는 분위기가 우세했던 모양인데, 갑자기 저녁(20:13분 기사) 연설에서는 전향적인 발언이 나왔다고 긴급 속보가 뜬다. 네탄야후가 내 건 조건은, '팔레스타인의 비 무장화', '유태 민족국가로서의 이스라엘을 인정', '팔레스타인이 이란과 헤즈볼라와의 연대의 단절' 등이다. 팔레스타인 측에서는 [속은 게 얼만데 뭘 믿고 무장해제를 하느냐는 듯이] 제안을 즉각 거부했다고 함. 뭐 더 세부적인 것까지는 모르겠고 더 지켜봐야겠지만, 일단은 이란 대선 결과 덕분에 이스라엘이 찌그러지는 형태로 분위기가 엮여가는 듯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아무리 돈 많은 족속(juif)들이 지들 맘대로 전쟁으로 장난을 치며 무고한 국가와 생명을 농락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역시 평화를 지키고 일궈내는 핵심은 핵억제력(핵의 전쟁 억제력)에 있었다는 말인가! 슬퍼고 위험한 현실이지만, 그래서 그렇게 더욱 북한을 이해할 수도 있겠다. 당분간은, 자본주의/자본의 제국주의가 그 명을 다하는 그 날 까지는...]

 

Nétanyahou pose ses conditions à l'existence d'un Etat palestinien
LEMONDE.FR avec AFP | 14.06.09 | 20h13  •  Mis à jour le 14.06.09 | 21h57

Des Palestiniennes passent devant un téléviseur qui diffuse le discours de Benyamin Nétanyahou, le 14 juin, à Ramallah.

Le premier ministre israélien, Benyamin Nétanyahou a appelé, dimanche 14 juin, "les dirigeants palestiniens à reprendre immédiatement des discussions de paix sans conditions préalables", dans son premier discours de politique étrangère depuis les élections de février, prononcé à l'université Bar Ilan, près de Tel-Aviv. "Je dis aux Palestiniens ce soir : nous voulons vivre à vos côtés en relations de bon voisinage", a-t-il ajouté.

Il a toutefois posé plusieurs "conditions préalables" à l'existence d'un Etat palestinien. Avant tout, il devra s'agir d'un Etat démilitarisé. Ensuite, "le problème des réfugiés doit être résolu hors des frontières d'Israël", a expliqué M. Nétanyahou, parce que "leur retour va à l'encontre du maintien d'Israël comme Etat juif". A ce propos, il a exigé "que les Palestiniens reconnaissent de façon sincère et publique qu'Israël est le pays du peuple juif". "Le coeur du conflit a toujours été le refus des Arabes d'accepter l'existence d'un Etat juif", a-t-il ajouté, assurant que "les retraits qu'Israël a opérés dans le passé n'ont pas changé cette réalité".

"À CHACUN SON DRAPEAU, À CHACUN SON HYMNE"

Sur la question de la colonisation, si M. Nétanyahou a exclu un gel des constructions dans les colonies existantes au nom de la "croissance naturelle", il "ne souhaite pas faire construire de nouvelles colonies ou confisquer des terres à cette fin".

Comme attendu, le premier ministre a réagi à la réélection du président iranien, Mahmoud Ahmadinejad. "La plus grande menace pour Israël, le Proche-Orient et le monde entier, c'est la rencontre entre l'arme nucléaire et l'islam radical", a-t-il déclaré, appelant "à une coalition internationale contre l'armement nucléaire de l'Iran".

"Si nous recevons ces garanties sur la démilitarisation et si les Palestiniens reconnaissent Israël comme l'Etat du peuple juif, alors nous parviendrons à une solution fondée sur un Etat palestinien démilitarisé au côté d'Israël", a-t-il poursuivi avant de conclure : "A chacun son drapeau, à chacun son hymne (...) Le territoire alloué aux Palestiniens sera sans armée, sans contrôle de l'espace aérien, sans entrée d'armes, sans la possibilité de nouer des alliances avec l'Iran ou le Hezbollah".

L'AUTORITÉ PALESTINIENNE ÉVOQUE "UN PROTECTORAT ISRAÉLIEN"

L'Autorité palestinienne a réagi, par la voix du porte-parole du président, Mahmoud Abbas, en accusant le chef du gouvernement israélien de "torpiller toutes les initiatives de paix dans la région". "Il entrave les efforts visant à sauver les processus de paix dans un clair défi à l'administration américaine", ajoute la présidence palestinienne. Un proche collaborateur de M. Abbas, Yasser Abed Rabbo, ajoute qu'"il a employé les mots 'Etat palestinien' mais en fait, il veut un protectorat israélien". A Gaza, le Hamas dénonce l'idéologie "raciste et extrémiste" de M. Nétanyahou.

Le président américain, Barack Obama, a salué, par la voix de son porte-parole, Robert Gibbs "l'important pas en avant" constitué selon lui par le discours de M. Nétanyahou, qui a accepté pour la première fois le principe d'un Etat palestinien. "Le président s'est engagé en faveur de deux Etats, un Etat juif d'Israël et une Palestine indépendante dans le berceau historique de chacun des deux peuples. Il pense que cette solution peut et doit garantir la sécurité d'Israël et l'accomplissement des aspirations légitimes des Palestiniens à un Etat viable, a-t-il expliqué.

Le site Internet anglophone du quotidien israélien Haaretz avait confié à l'un de ses journalistes, Benjamin Hartman, le soin de suivre et commenter le discours du premier ministre. Pour lui, "M. Nétanyahou a clairement affirmé qu'il suivra la ligne de sa coalition et ne fera aucun vraie concession", mais le journaliste note que le chef du gouvernement a mentionné à plusieurs reprises l'idée de deux Etats. "Donc, les Palestiniens doivent reconnaître Israël comme un Etat juif, renoncer à leurs réfugiés, et de désarmer leur Etat encore, le tout dans un territoire non encore défini, et Jérusalem ne sera pas divisée", ironise M. Hartman.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이란 대선, 아마디네자드 재선 성공

Mahmoud Ahmadinejad, à la sortie du bureau de vote, le 12 juin 2009.

محمود احمدی نژاد Mahmoud Ahmadinejad (1956년10월생, 52세)

 

아무리 이란에서는 대통령에게 국가정책이나 군사적 결정권이 거의 없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미국이나 서구에서는 재선에 도전하는 보수-강건파인 아마디네자드(M. Ahmadinejad, 52세) 보다는 개혁-온건파인 무사비(H. Moussavi, 67세)가 당선되길 몹시도 기다리고 부추기는 듯 하더니만, 아마디네자드가 2차전까지 갈 것도 없이 1차에서 바로 과반을 얻어 당선될 모양이다. 투표 열기가 엄청나서 마감시간인 18시에도 투표를 기다리는 줄이 줄어들지 않아 20시까지 연기, 다시 22시까지 투표를 했다고 함 (사진의 재선 도전자도 자기 지역 투표구에서 주민들과 함께 45분 동안이나 줄을 서서 기다렸다고). 투표율은 4600만 유권자의 7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 개표상황에 따른 두 사람의 득표율을 비교하면:

- 19% 개표된 상황에서 두 사람의 득표율(MA:HM) = 69% : 28,42% (註1)

- 87% 개표상황(02:22 GMT) = 64,88% : 32,6% (註2)

- 당선자 확정 공식발표 = 62, 6% : 33,75% (註3)

최종 득표율에서 선두 두 사람이 96% 이상을 가져가고 나머지 3, 4위 둘은 각각 2% 미만을 얻다니, 이건 공산당보다 더 심한 결속력이 아닌가... 놀랍다. 최종 투표율은 85% 이상이라고 함. 어쨌거나 방송에서는 치열한 접전을 예상 하더니만, 역시 믿을 게 못 되는 것이 방송이고 여론조사인지, 아니면 우리 신문의 분석처럼 유세기간 막판에 무사비가 너무 치고올라와서 역으로 보수파들의 결속을 가져왔는지, 그도 아니면 부정선거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란은 결국 보수-강경파를 선택했다. 선거 결과가 당초의 예상 분위기와 많이 다르게 나온 탓에 무사비 측에서는 부정선거(예컨데, 무사비 우세지역에서 나중에는 투표용지가 부족해서 투표를 못 한 사람들이 있다는 둥) 의혹을 제기하고, 그 지지자들은 테헤란의 거리로 몰려나와 항의하고, 서구 언론도 의혹을 부추기는 양상이다. 오바마를 비롯한 거의 모든 서구 국가들이 무사비가 되길 바랬으니, 대놓고 남의 나라 일에 뭐라 할 수는 없으니 반응을 상당히 자제하는 분위기이고, 유일하게 베네주엘라의 차베스만 아마디네자드의 당선을 축하했다 함.

[참고] 이란 대충보기: 인구 7000만, 1인당 국민소득 8400달러, 세계 4위 석유 생산국 - 세계 2위 석유 수출국(OPEC 회원국중), 세계 2위 천연가스 매장국 - 세계 6위 천연가스 생산국 [Le pays a une superficie de 1 648 195 km² et une population de plus de 70 millions d’habitants. Avec un produit national brut de 570 milliards de dollars en 2005, il constitue la deuxième économie de la région. Son produit intérieur brut par habitant s’élève à 8 400 dollars. L'Iran est le 4e producteur de pétrole au monde et le 2e exportateur de l'Organisation des pays exportateurs de pétrole (OPEP). Il dispose aussi de la 2e plus grande réserve en gaz naturel, après la Russie, et en est le 6e producteur. (wiki)]

여하튼 상황과 사건은 대충 그렇고, 이 시점에서 아마디네자드의 재선을 과연 어떻게 평가해야 할는지가 좀 애매해진다. 서구적-비판적-진보적 관점에 선다면 당연히 민주주의 원리에 더 충실해 보이는 무사비를 지지하고, 보수-강건 후보의 재선에 분노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비판적 시각을 갖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특히 남녀 평등/분리 등의 문제를 고려할 때). 그래서 아마도 대부분의 서구 언론이나 지식인들은 부정선거 의혹과 무사비 지지자들의 테헤란 시위장면을 가능한한 많이 부각시키려 애쓰고 있으며, 예컨데, 한 이란 출신 스위스 대학 교수는 단도직입적으로 부정선거의 만연상을 이렇게 폭로하기도 한다: 20%나 되는 문맹율로 인해 대리투표의 당연시; 이란에는 선거인 명부라는 것도 없어서 신분증만 있으면 한 사람이 몇 번이라도 투표할 수 있다는 등(리베랑씨옹에 이런 인터뷰 기사가 있으나, 나는 그의 말에는 뭔가모를 반민족적-서구추종적 입장이 녹아 있으리라는 판단에서 링크는 생략함). 물론 종교의 힘이 지배하는 국가이다보니 서구적 민주주의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는 않을테니, 이 대학교수의 말이 어느정도는 진실이고(한 사람이 몇 번씩 투표하느라 그렇게도 줄이 길었는지도..), 위의 개표상황별 득표율 변화 추이만 봐도 뭔가 조작적인 냄새가 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문제가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미국-이스라엘과 대결하고 있는 이란의 민족적-주권적(자주적) 입장에서는 어쩌면 무사비는 버마의 구 아웅산 정권이나 우리의 친일-친미 정권이 걸은 길로 나아갈 가능성이 있을 수가 있다면(물론 그런 가능성은 종교세력에 의해 별로 용납이 안되겠지만), 이것이 과연 바람직한지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도 없다. 아무리 좌파-진보가 민주주의를 옹호하고 민족주의를 거부한다손 치더라도, 나는 민주주의라는 허울 쓴 제국주의에 민족주의를 팔아먹어서는 안된다고 믿는 '덜 진보'(!)를 선호한다. 그런 측면에서 차베스처럼 나도 아마디네자드 재선이 더 반가운 것이 안타깝지만 슬픈 사실이다(여기에는 북한의 고립을 염려하는 작은 계기도 작용). 더구나 아마디네자드의 이념적 경향이 어떻든 그의 도덕성이나 검소한 생활은 충분히 존중받을 가치가 있을 것이며, 이런 요인들도 그의 재선에 중요한 작용을 했을 것이다. 아무리 부정선거가 있었다손 치더라도 근 두 배나 되는 아마디네자드의 득표율은 재선의 정당성으로 어느 정도는 충분하지 않을까도 싶다.

[한겨레 분석] 현 대통령 예상밖 압승 왜? / 급진개혁 거부 보수파 결집 - 분배정책에 서민층 지지 
12일 치러진 이란 대선에서는 투표 전날까지도 안팎에서 ‘양강 박빙’ 또는 ‘무사비 우세’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다소 뜻밖이었다. 현직 프리미엄과 부정선거 시비를 고려하더라도, 마무드 아마디네자드가 미르 호세인 무사비를 2배 가까운 표 차이로 따돌리며 여유 있는 승리를 거머쥘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무사비는 테헤란 등 도시 지역 젊은층과 여성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그들은 무사비의 당선을 통해 경제적 기회와 정치·사회적 자유의 확대를 기대했다. 그러나 이란은 신정일치 체제이며, 보수-개혁의 대립도 그 틀 안으로 한정된다. 유달승 한국외대 이란어과 교수는 “무사비 후보를 통해 분출된 요구들은 그 수준을 넘어선 것이었으며, 보수파는 급격한 변화에 대한 위기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나친 녹색 물결이 보수파의 경계심리를 자극해 표를 결집시켰다는 이야기다.
아마디네자드는 ‘포퓰리즘’ 딱지까지 붙을 만큼 철저한 분배 중심의 경제정책으로 농촌 지역과 서민층에 탄탄한 지지 기반을 쌓아왔다. 이런 경제정책은 인플레와 산업투자 부족 등의 역효과를 낳기도 했으나 서민들은 나빠진 거시경제 지표보다 당장의 경제적 수혜에 관심이 컸다. 그는 한 나라의 대통령이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검소한 생활로도 유명하다. 2005년 대통령 당선 당시 재산은 작은 집 한 채와 낡아빠진 승용차 한 대 정도였다. 당선 뒤에도 단돈 5달러짜리 면점퍼를 즐겨 입었고, 국제무대에서도 노타이 차림의 양복 한 벌이 트레이드마크였다. 이런 ‘서민 대통령’의 면모는 그가 2005년 대선에서 이란혁명 이후 비성직자 출신으로는 최초로 대통령에 당선된 데 이어 이번에 재선에 성공한 힘이기도 하다. (조일준 기자, 기사등록 : 2009-06-14 오후 07:07:24  기사수정 : 2009-06-15 오전 12:53:20  ⓒ 한겨레)

우리 코가 석 자나 빠져있는 상황에서 별로 가깝지도 않은 남의 나라 일에 무슨 관심이 그리도 많냐고 할지도 모르겠지만, 금방 말한대로 이란의 사례는 '서구-자유-민주주의와 보수-전통주의',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등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작은 계기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특히, 자유라는 말만 붙으면 다 훌륭한 줄 알고, 남녀평등 주장은 무조건 정당한 것이고, 보수와 전통은 마냥 타파의 대상이고, 민족주의를 반대하면 저절로 진보가 되는 줄로 생각하는, 그런 좌파들에게는 더 더욱. 마지막으로, '덜 민주주의적이고 시대에 뒤처져 보이는 아마디네자드'의 서민우대 정책(이념이고 주의를 떠나서)을 통한 재선 성공이, 우리의 '민주와 법치를 존중하는 MB정권'에 적으나마 교훈으로 작용하길 희망해 본다. 원가가 어쩌고 합리성이 저쩌고 하면서 못 사는 사람들의 전기세까지 올리려고 하는 그런 좀스런 행태 말고... [MB의 전기세 인상에 대한 홍헌호의 비판을 버리기 아까워 링크(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612132606§ion=01) 건다. 비판 요지 3: - 녹색성장론 주장하는 자들이 에너지 과소비 부추기나; - 전기요금 낮아 에너지 과소비? 근거없는 억측일 뿐; - 전기요금체계 개편, 비수도권 주민들에 직격탄]

 


 

(註3) Election en Iran : Mahmoud Ahmadinejad réélu (LE MONDE | 13.06.09 | 08h46  •  Mis à jour le 13.06.09 | 15h43)
Le président iranien sortant, Mahmoud Ahmadinejad, a été déclaré officiellement vainqueur, samedi 13 juin, de l'élection présidentielle qui s'est tenue la veille, avec une passion, une hargne et une participation (plus de 85 %) rarement égalées. Samedi après-midi,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a officiellement annoncé son élection dès le premier tour avec 62,6 % des voix. Celui qui, au long de la campagne, était devenu son plus sérieux rival, l'ex-premier ministre Mir Hossein Moussavi, soutenu par ce qui semblait être une "vague verte" (symbole de la campagne) réformatrice, qui avait rassemblé de nombreux jeunes et des femmes, n'obtient que 33,75 % des voix selon le ministre de l'intérieur. Les deux autres candidats, le réformateur Mehdi Karoubi, ex-président du Parlement, et le conservateur modéré Mohsen Rezai, ex-chef historique des Gardiens de la révolution, feraient juste de la figuration avec moins de 2 % chacun.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3/mahmoud-ahmadinejad-en-route-vers-la-victoire_1206422_3218.html#ens_id=1190750)

 

(註2) A 02H22 GMT, sur 87% des urnes ouvertes, soit l'équivalent de 28,909,689 bulletins, M. Ahmadinejad était crédité de 64,88% (...) Son principal rival, le conservateur modéré Mir Hossein Moussavi, qui avait clamé sa victoire à la clôture du scrutin, obtenait 32,6%. (http://www.lemonde.fr/web/depeches/0,14-0,39-39575837@7-37,0.html)

 

(註1) Iran : les premiers résultats partiels donnent Ahmadinejad en tête
LEMONDE.FR avec AFP et Reuters | 12.06.09 | 20h53  •  Mis à jour le 12.06.09 | 22h53  

Vendredi soir, les premiers résultats partiels donnaient le président sortant en tête avec 69 % des suffrages (sur 19 % des bulletins dépouillés), contre 28,42 % à Mir Hossein Moussavi. L'agence officielle Irna a d'ailleurs d'ores et déjà annoncé qu'Ahmadinejad l'avait emporté. Selon un proche du pouvoir, Agha Mohammadi, ancien porte-parole du conseil suprême de la sécurité nationale, le président sortant devrait être réélu dès le premier tour avec un peu plus de 50 % des voix. (...) Seule certitude, les Iraniens se sont rendus massivement aux urnes. Face à l'affluence devant les bureaux de vote,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a décidé de prolonger le scrutin de deux heures, jusqu'à 20 heures (17 h 30, heure de Paris). Il a ensuite annoncé que les opérations de vote dureraient jusqu'à 22 heures (19 h 30). Le scrutin a alors été proclamé officiellement clos, mais les électeurs qui faisaient encore la queue devant les bureaux de vote ont été autorisés à voter après les délais.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a prédit un taux de participation dépassant 70 % des 46 millions d'électeurs inscrits.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2/iran-le-camp-de-moussavi-revendique-la-victoire-des-le-premier-tour_1206416_3218.html#ens_id=1190750

 

(부록) 전문가가 진단하는 네 후보의 차이와 한계
Iran : "Les quatre candidats sont nationalistes jusqu'au bout des ongles"
LEMONDE.FR | 12.06.09 | 13h35  •  Mis à jour le 12.06.09 | 14h44  

Le Conseil iranien des Gardiens de la Constitution a approuvé les candidatures du président Mahmoud Ahmadinejad, de Mir Hossein Moussavi, Mehdi Karoubi et Mohsen Rezaï pour l'élection présidentielle du 12 juin.

AFP/- Le Conseil iranien des Gardiens de la Constitution a approuvé les candidatures du président Mahmoud Ahmadinejad, de Mir Hossein Moussavi, Mehdi Karoubi et Mohsen Rezaï pour l'élection présidentielle du 12 juin.

Dans un chat au Monde.fr, vendredi, Marie-Claude Decamps, chef du service international au "Monde" et spécialiste de l'Iran, souligne que le prochain président iranien, quel qu'il soit, devra répondre à une question claire : l'Iran doit-il continuer à être le "mauvais" du reste des nations ?
Romain : Quel est le risque que Mahmoud Ahmadinejad soit réélu ? S'il l'était, pensez-vous qu'il suivra sa ligne politique actuelle ou qu'il la durcira de nouveau ?

Marie-Claude Decamps : Je ne sais pas si on peut appeler ça un risque. Peut-il être réélu ? Sincèrement, je n'ai pas la réponse. On se rend compte qu'il y a un mouvement qui n'était absolument pas envisagé il y a quelques semaines, qui est cette vague "verte", de la couleur choisie par les réformateurs qui soutiennent M. Moussavi, qui prend de l'ampleur. Mais en face, il y a aussi quelqu'un qui ne manque pas d'arguments et de troupes, même au sens littéral, et qui a eu l'aval du Guide suprême. M. Ahmadinejad joue sur un registre qui a toujours bien marché en Iran, le nationalisme. Mais le problème, c'est qu'il en rejoue toujours le même scénario, celui des débuts de la révolution, où le pays était seul contre tous, encerclé, et où il était facile de rassembler les gens contre le danger extérieur. C'est là que j'ai un doute, car je me dis que la société iranienne et les électeurs ont évolué, ils se rendent compte que trente ans sont passés depuis la révolution. (...) http://www.lemonde.fr/proche-orient/article/2009/06/12/ouvert-ou-ferme-le-prochain-president-iranien-sera-confronte-aux-memes-defis_1205972_3218.html#ens_id=1190750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교수시국선언', 그런데도 희망은 별로 안보인다.

현대사 고비마다 교수의 ‘시국선언’ 있었다

(...) 순탄치 않은 한국 현대사에서 교수들의 시국선언문은 일종의 방향을 제시해왔다. 대표적인 시국선언문은 4.19혁명 당시 발표됐다.

1960년 4월25일 대학교수단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과 3·15 부정선거 책임자에 대한 문책 등을 요구하고 거리행진에 나섰다. 당시 자유당 정권은 3·15 부정선거로 인한 전국적인 정부 규탄 움직임에 계엄령으로 맞불을 놓으려 했다. 그러나 대학교수단의 시국선언으로 인해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었다. 결국 시국선언 발표 이틀 후인 27일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를 발표하며 자유당 정권은 붕괴됐다.

80년대 6월 항쟁의 불을 지핀 것도 대학교수들의 시국선언이었다. 고려대 교수 28명은 1986년 3월28일 ‘현 시국에 대한 우리의 견해’라는 제목의 시국선언을 통해 직선제 개헌과 언론·사상·표현의 자유를 요구했다. 이후 5월 중순까지 29개 대학에서 785명의 교수들이 대학별로 시국선언을 이어가며 ‘민주주의’에 대한 국민의 열망을 대변했다. 교수들의 시국선언은 1987년 4월22일부터 5월말까지 다시 줄이어 6월 항쟁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

1990년 민주정의당과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의 3당 합당 때에도 전국 57개 대학교수 1041명이 ‘현 보수야합정권에 대한 우리의 입장’라는 제목의 시국선언을 통해 경고의 뜻을 전했다.

21세기 들어서도 중요한 역사적 고비의 순간에는 어김없이 대학교수의 시국선언이 이어졌다.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에는 서울대 교수 88명이 탄핵 반대의 뜻을 밝힌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이어 지난해 7월 정부의 미국산 쇠고기 수입고시 강행으로 3달째 촛불정국이 이어지고 있던 시기에도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학술단체협의회·전국교수노동조합 등 교수3단체가 시국선언을 통해 △정부의 쇠고기 수입고시 철회와 재협상 개시 △촛불시위 폭력진압 중단 △어청수 경찰청장 해임 및 내각 인적 쇄신 △촛불시위 구속자 석방 등을 요구했다.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급속도로 불거지고 있는 민주주의 후퇴 논란에 불씨를 지핀 대학교수들의 목소리가 우리사회에 미칠 파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원출처:서울=뉴시스, 펌: 한겨레, 2009-06-03)

 

위에서 보듯이 소위 민주화정권 이전에는 교수-종교인 등으로 대표되는 일명 사회지도층의 시국선언이 어느정도는 말빨이 서고 권위를 인정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어제(6/3일) 있은 서울대-중앙대(124+68=192명) 교수들의 시국선언에 대한 청와대와 조선일보의 반응은 '개무시' 그 자체로 보여진다. 그들의 논리는 간단하다: 청와대는 '서울대 전체 교수 1700명 중의 124명은 무시해도 좋을 소수'라는 입장이고 (註1), 조선일보는 더 정확히 서울대 교수는 총 1786명이며(덕분에 처음 알았다), 시국선언에 참가한 124명은 버스를 대절해서 봉하마을에 조문도 갔던 '친노'(親盧) 세력으로 그들을 가두고(규정) 평가절하 한다 (물론 "상당수"라는 애매한 탈출구를 감춰두고 124명을 언급하지만 독자의 눈에는 숫자보다는 사건이 먼저 읽힌다) (註2). 비슷한 예로, 누군가 아무리 반동적인 발언을 하더라도 그것에 '항의하는 자는 일부이고 대부분은 찬성'을 한다면 그 발언은 무죄가 되는 판국(註3)이 바로 민주주의라는 논리가 낳은 사악한 결과일 것이다. 역설적이게도 이런 '민주주의 정신'이 어느정도 정착한 계기는 바로 그들이 잃어버렸다고 주장하는 '민주화정권 10년'의 유산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다수결 원칙'과 그에 따른 '정통성'에 신성불가침적 가치를 부여하는 민주주의가 이제는 바야흐로 진짜 민주주의를 좀먹어가는 지점이 되겠다. 그렇다면 뭐가 문제이고 문제를 보완할 논리는 무엇이어야 하는가?

(註1) 번지는 시국선언… 지식인사회, MB정부 국정운영 방식 본격제동
지식인 사회가 이명박 정부의 국정 운영에 대해 본격적으로 제동을 걸고 나섰다. 3일 서울대 교수 124명과 중앙대 교수 68명이 낸 시국선언은 이 대통령의 1년여에 걸친 국정 운영에 대한 공개 비판이자, 국정 기조를 전면 쇄신하라는 강력한 요구로 해석된다. (...) 그러나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시국선언에 나선 서울대 교수가 전체 교수의 극히 일부라는 취지의 말을 하는 등 안이한 인식을 드러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이 관계자는 이날 교수들의 시국선언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서울대 교수 전체가 몇 분인지 아느냐. 1700명 되는 것을 아는데”라고 말했다. (홍석재 김민경 기자 / 기사등록 : 2009-06-03 오후 07:48:54  기사수정 : 2009-06-03 오후 11:38:18 ⓒ 한겨레) 

(註2) <조선> "시국선언 교수들, 허무주의 허우적"
(...) <조선일보>는 이날 사설을 통해 "이번 선언을 주도한 교수들 중 상당수는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소속으로 지난달 26일 전세버스를 내 봉하마을 노 전 대통령 빈소에도 다녀왔다고 한다, 5년 전 노무현 대통령 탄핵반대 서울대 교수 시국성명 때도 중심에 섰었다"며 이번 시국선언에 참여한 교수들을 '친노'(親盧)로 규정했다. <조선일보>는 또 교수들의 시국선언 직후 청와대가 내놓았던 반응과 같이 "현재 서울대 전체 교수는 1786명"이라며 이번 선언을 소수의 교수들이 내놓은 정치 발언으로 폄하했다. 특히 <조선일보>는 시국선언문 중 노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된 부분에 지면을 길게 할애해 교수들을 비난하고 나섰다. (....) (오마이 09.06.04 12:03 이경태) 

(註3) 경남도지사 “좌파정권 10년 고생 많았다” 발언 파문
민족통일전국대회서 “지난 10년 통일정책에 돌아온건 핵폭탄뿐”/수백명의 참석자들 축사 중단 요청 및 행사장 이탈로 거센 항의  (...) 이에 대해 김태호 경남도지사 쪽 관계자는 “애초 준비된 축사와 관계없이 즉흥적인 연설을 하면서 현 정부가 잘하고 있다는 뜻으로 말을 했을뿐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통일정책을 비난하려는 것은 아니었다”며 “일부 항의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박수치는 사람도 많았다”고 해명했다. (마산/최상원 기자 / 기사등록 : 2009-06-03 오후 05:14:29 ⓒ 한겨레)

 

86년 3월에 "고려대 교수 28명"에서 시작된 '교수 시국선언'이 그해 "5월 중순까지 29개 대학에서 785명"까지, 그리고 해를 넘겨 87년 5월까지 이어지며 '6-29'를 낳는데 중요한 공헌을 했듯이, 어제의 '교수 시국선언'도 어느정도는 계속되고 그 숫자도 불어날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런데 예상되는 결과는 20년 전과 비슷할 것으로 별로 기대가 되지 않는 이유는 바로 우리가 이제 그 잘난 '민주주의 정신'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선거로 정통성을 인정받았고 교수든 뭐든 상관없이 그 머릿수가 1000이든 10000이든 그것이 전체에서 소수라면 그 '소수 의견'은 짓밟혀도 좋다는 게 '민주주의 정신'이라고 우리는 10년동안 충실히 학습을 받았다는 말이다. 여기에 반발하는 주장들은 바로 '억지'가 되고마는 실정이다. "무엇을 할 것인가?"

 

'진정한 민주주의는 소수의견도 존중하는 것'이라는 류의 말씀은 이제 성균관에서나 찾아야할 대상이 된 듯하고 잘해야 참고사항 정도에 그칠 공산이 크다. 여기서 민주주의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진단과 처방이 필요하겠다: '원래가 민주주의는 그런 맹점이 있지만 필요악일 수 밖에 없다'는 류의 도피성 진단 말고, 보다 적극적 차원에서의 민주주의에 대한 이념과 가치를 다시 정립할 논리를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그들의 민주주의를 '자유민주주의'로 매도하고 새로운 '인민 주체적 민주주의'를 건설하자고 하면 또 '추상'이라고 욕할테고, 뭔가 뾰족한 수가 없을까?

 


[추가] 그리고, 바로 대안은 아니지만, 비슷한 고민과 제안 (문단의 조정과 번호는 펌자의 것).

 

 

[시론] ‘패자전몰’ 민주주의의 비극 / 최태욱
사실 민주주의의 구현은 불가능하다. ‘주인’인 시민의 뜻이 일치하는 경우는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주인들의 뜻이 서로 다른데 ‘대리인’인 정부가 누구의 뜻을 따를 수 있겠는가. 할 수 없이 고안한 것이 정당을 매개로 하는 대의제다. 다종다양한 시민사회의 선호와 이익을 복수 정당들로 하여금 분담하여 대변케 하고 정당 정치인들이 선거 경쟁을 거쳐 정부를 구성할 때 그 정부 결정을 일반 시민의 뜻으로 인정하자는 일종의 사회계약을 제도화한 것이다. 이 대의제 민주주의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하나는 다수제고, 다른 하나는 합의제다.
1/ 다수제 민주주의는 영국인들이 설계했다. 소선거구 일위대표제와 같은 다수제 혹은 다수결형 선거제도를 통해 의회의 다수당 지위를 차지한 특정 정당에 정치권력을 몰아주는 제도다. 단일 정당이 입법부와 행정부를 모두 장악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도이므로 여기서의 정부는 임기동안 효율적인 국정 운영을 지속해갈 수 있다. 시민의 뜻을 해석하고 구현해가는 권력을 다수당이 독점적으로 행사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패배한 정당과 그 정당이 대변하는 사회세력들은 이 권력에 참여하지 못한다. 승자독식 민주주의라고 하는 이유다. 우리나라는 이 다수제 민주주의를 미국을 통해 수입했다. 그 과정에서 미국인들이 수정을 가한 부분, 즉 행정부 형태를 의원내각제에서 대통령제로 바꾼 방식은 그대로 들여왔으나 대통령으로의 권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삼권분립 제도 등은 제대로 수용하질 못했다. 결과는 다수제 민주주의의 특징인 승자독식-패자전몰 현상이 정당만이 아니라 지도자 개인 차원에서도 지나칠 정도로 뚜렷하게 나타나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고착이었다. 극단적 사례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는 이 패자전몰 민주주의의 비극으로 볼 수 있다. 패자는 권력과 권한은 물론 명예와 자존심, 그리고 목숨마저도 내놔야 하는 이런 식의 민주주의가 과연 타당한 것인가. 여론조사 등을 통해 나타나듯, 국민의 다수가 노 전 대통령 서거는 정치보복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설마 이 정도로 야만적이진 않겠지만, 정권교체 후의 정치보복은 앞으로도 되풀이될 수 있다. 그 경우 사회분열은 악화일로로 치닫게 된다. 이제 한국식 다수제에 손질을 가할 때가 아니겠는가.

2/ ‘유러피언 드림’을 꿔보자. 영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유럽 선진국들은 다수제가 아닌 합의제 민주주의를 택하고 있다. 합의제의 핵심 제도는 국회 의석을 정당 득표율에 비례하여 각 정당에 배분하는 비례대표제다. 여기서는 지역이나 인물이 아닌 정책과 이념 중심의 정당정치가 활성화되면서 다당제가 발전한다. 유력정당의 수는 통상 셋 이상이게 마련이므로 단일 정당이 의석의 과반을 차지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행정부의 일반 형태는 연립정부이며 시민의 뜻은 정당들 간의 합의에 의해 해석되고 구현돼간다. 권력은 당연히 분산되고 공유된다. 승자와 패자가 적대적일 이유도 없다. 패자라도 상당한 영향력 행사가 가능할 뿐더러, 오늘의 경쟁자가 내일의 연정 파트너가 될 가능성은 항상 열려있기 때문이다.

3/ 우리나라에서도 권력분산형 의원내각제로의 전환 필요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거론돼왔다. 무엇보다 반대자들은 물론 심지어 지지자들의 선호마저도 무시하는 행정부의 독선적 국정 운영 행태가 자주 목격됐기 때문이다. 물론 지금의 전근대적 정당정치 수준에서 당장 의원내각제로 갈 수는 없다. 그러나 선거제도 개혁은 한시가 급한 과제다. 경제선진국들의 모임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 회원국 중 다수제 선거제도를 택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 영국, 캐나다 등 대여섯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모두 비례대표제 혹은 비례성이 상당히 보장되는 혼합형 선거제도를 택하고 있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우리도 비례대표제의 전면 도입 등으로 지역주의 청산이나 이념 및 정책에 기초한 정당정치 활성화 등 합의제 민주주의의 발전 조건을 미리 갖춰놔야 한다. 의원내각제는 그 후의 목표다. (최태욱, 한림국제대학원대 교수, 경향 입력 : 2009-06-04 17:56:24ㅣ수정 : 2009-06-05 01:24,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906041756245&code=990303

 

 

어떻게, '비주류 서민대중'을 움직이게 할 것인가? / 정상호

1/(...) 정치인으로서 노무현은 뼈 속까지 비주류였다. 사전적 의미에서 비주류란 중심이 아니거나 소수세력을 의미한다. 이 때 소수란 단순히 수적 개념이 아니라 여성이나 비정규직처럼 권력 관계에서 사회적 약자를 지칭한다. 길게 늘어진 추모 행렬 속에서 가장 짙은 서러움과 통한의 눈물을 흘렸던 이들은 참여정부의 고위인사나 친노 정치인들이 아니다. 그들은 징글징글한 학력중심 사회에서 대학조차 못 나왔거나 서울의 명문대는 물론이고 지역 명문고 이름만 들어도 기가 죽어 내심 분노를 곰삭혔던 우리주변의 흔한 보통사람들이었다. 가난한 농촌에서 나고 자란 상고 출신의 젊은 대통령은 한나라당의 엘리트 여성 의원에게는 나라의 품위를 떨어뜨리는 수치였을지 모르지만 평균 학력의 보통사람들에게는 내놓기에는 뭐하지만 가슴 한켠을 따듯하게 만든 은밀한 자부심의 근거였다.
2/(...) 그의 서거를 남 몰래 슬퍼했을 두 번째 비주류는 지방에서 학교를 다니고 직장을 다니고 거주한다는 이유만으로 2등 시민 취급을 받아온 지방 사람들이다. 그의 균형발전전략에 대해 우파와 수도권 주민들은 행정수도 이전의 급진성과 무모함을 비난하였고, 진보와 시민단체들은 기업도시와 혁신도시로 인한 지가 앙등과 개발주의적 속성을 비판하였다. 그렇지만 비판자 대부분은 지방이 아니라 서울특별시에 기반을 둔 특별한 시민과 중앙 언론들이었다.
3/(...) 두고두고 고민해야 할 세 번째 비주류는 여성이다. 이번 추모행렬에서 가장 눈에 띠는 그룹은 단연 이들이었다. 어디에서든 남학생보다는 여고생이 압도하였고, 어린 자녀를 둔 30-40대의 가족들 단위가 많았으며, 20대 직장여성에서부터 50대 가정주부에 이르기까지 검은 정장의 근조 리본이 5월의 서울 거리를 꽉 메웠다. 박정희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나타난 추모행렬이 분단시대의 영웅주의와 끝없는 성장주의를 추종하였던 남성성을 상징한다면, 노무현 대통령의 그것은 탈냉전시대의 평화를 염원하였던 여성주의와 근접해 있다. [개인적 견해로는 여성들의 추모는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의 육아와 보육을 포함한 여성정책에 대한 긍정적 평가라기보다는 진정성을 추구하고 실천하였던 이상주의 정치인에 대한 여성 특유의 직관과 결국 권력으로부터 박해받고 죽음을 결단하였던 고독한 한 인간의 비극적 운명에 대한 사회적 약자로서 여성 자신들의 연민감과 일체감이 작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정상호-]
=> 5.23 서거 이후 추모열기에 대해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이 합의를 본 유일한 지점은 '서민 대통령, 노무현'이었다. 물론 여기에는 대통령 개인사와 가족사의 유력한 근거들이 있다. 그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현역의 육군병사로서 만기 제대한 '빽' 없는 서민의 아들이었다. 권양숙 여사 역시 민주화 이후 이화여대 출신이 아닌 최초의 영부인이었다. 정확하게 말해 그녀는 대학은 꿈도 못 꾼, 가난 탓에 졸업을 불과 몇 달 앞두고 여상을 자퇴하고 취업 할 수밖에 없었던 산업화 시대의 우리 어머니들이나 누이들의 아픈 경험을 똑같이 공유하고 있었다. 아버지를 극심한 분단 상황 속에서 잃고 남편을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 잃은 권 여사의 삶은 대통령의 삶만큼이나 기구하였다. 보다 주목할 점은 노무현 대통령의 서민 이미지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국민들과의 교감 속에서 창출된 것이라는 점이다.

 

(...) 500만 추모객의 애도는 욕망의 정치, 전문가ㆍ엘리트 정치, 권력정치, 상층계급(upper class) 편향의 정치가 난무하는 현실 속에서 가치의 정치를 추구하였던 인간 노무현에 대한 흠모이지 그의 업적과 성과에 대한 찬양이 아니다. (...) 상주를 자임한 민주당의 (...) 당의 현대화를 내건 뉴민주당 플랜에 대한 시비가 뜨겁다. 필자는 뉴민주당 플랜에 대한 비판의 초점이 완전히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 이는 지엽적이거나 부정확한 진단이다. 문제의 본질은 뉴민주당 플랜의 지향점과 기조가 당대의 역사적 과제와 정면으로 씨름하여왔던 '비주류 서민대중 정치'의 한국적 전통과 완전히 결별하였다는데 있다. (...) 이제, 지난 몇 년 동안 정치변화의 동력으로 작동하여 온 것이 노동이나 사회운동과 같은 단일 노선과 조직의 지도력 발휘가 아니라 비주류 서민대중들의 정치적 선택이었음을 인정하자. 이심전심으로 이들이 움직일 때 정권교체도 가능하였고 광장의 촛불도 번져나갔다. 이들이 노선과 지도자를 잃고 동요할 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섰고, 뉴타운으로 상징되는 욕망의 정치가 승승장구하였다. 무정형의 모습처럼 보이지만 나날이 보다 더 선명한 실체를 형성하고 있는 이들은 앞으로도 한국정치의 향방을 결정지울 것이다.
(...) 민주당은 중도개혁이나 현대화와 같은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비주류 서민대중 정당으로의 분명한 자기 정체성을 확립함으로써 더 이상 개혁 대 실용이라는 탈 맥락적ㆍ소모적 논쟁의 덫에 빠지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한다. 당분간 진보라는 이념의 사용권을 좌파 정당과 진보를 자처하는 지식인들이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자. 대신 민주당 또는 새로운 정치를 준비하는 세력들은 '비주류 서민대중'을 대변할 수 있는 정책과 인물의 배양에 주력하는 것이 백배는 생산적이다. 진보의 형성과 그 궁극적 소유권은 언어나 이론의 정치함이 아니라 실천의 결과 내면화되고 타자로부터 공식화되는 인정 투쟁의 결과 획득되어진다. 이제, 한국정치가 진보의 내용을 채우기 위한 실천적 경쟁과정으로 발전하고, 조직 노동에 기초한 좌파 정당과 비주류 서민대중 정당 사이의 진보 대 진보 또는 좌파 대 진보로 분화하고 때로 연대하는 선의의 경합과정으로 발전하기를 빈다. (...)

[의제27 '시선'] 노무현의 유산과 과제 / 정상호 한양대 제3섹터연구소 연구교수, 프레시안 기사입력 2009-06-04 오후 12:06:52,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603211920§ion=01

 


[사설/6월 5일] 건강한 사회 위한 '민주주의 논란'
서울대와 중앙대를 필두로 확산되고 있는 교수들의 시국선언은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현주소에 대해 많은 것을 생각케 한다. 교수들은 선언에서 "지난 수십 년간 온갖 희생을 치러가며 이루어낸 민주주의가 어려움에 빠졌다"고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그러나 현 상황은 군사독재에 맞서 각계의 민주화 요구가 분출하던 1986,7년 당시와 다르다. 적어도 민주주의의 형식 면에서는 그 시절 치열한 투쟁을 통해 얻어낸 민주화의 성과가 이명박 정부 들어서도 유지되고 있다.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합당한가, 그들의 발언에 과연 대표성이 있는가 하는 지적과 반론에도 충분히 이유가 있다.
다만, 민주주의의 내용과 질을 놓고 볼 때 교수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표현의 자유와 집회결사의 자유 등 민주사회의 기본권이 크게 제약 받고 있는 게 사실이다. 지난해 촛불시위 때의 과잉진압과 노무현 전 대통령 분향소 처리와 서울광장 개방 문제, 미네르바 파동 등에서 그런 측면을 걱정하게 된다. 집회와 시위의 자유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는 안경환 국가인권위원장의 지적도 같은 맥락이다. 과격시위나 무책임한 자유가 초래할 역작용을 염려해 강력한 대응이 불가피했다고 할 수 있지만 권력의 자의적 조치로 인한 국민의 기본권 침해가 더욱 큰 문제다.
각 권력기관의 정치권력 편향성 논란도 그렇다. 노 전 대통령의 죽음과 관련한 검찰의 무리한 수사, 경찰의 서투르고 무리한 진압이 부른 용산 참사, 감사원의 정치적 표적 감사 논란 등 이 정부 들어 권력기관의 중립성을 의심케 하는 사례는 많았다. 정권교체를 거듭하며 어렵게 쌓아온 권력기관의 중립성이 흔들린다면 그 자체로 민주주의의 위기다. 교수들이 본분을 떠나 시국선언 형식으로 목소리를 내는 것이 바람직한지, 그들의 문제의식이 옳은지 는 분명 논란이 될 만하다. 그렇다고 편향된 일부 교수들의 목소리라고 도외시하는 것은 분명 바람직하지 않다. 대통령이 각계각층과 소통하고 연대하는 정치를 하라는 요구는 귀담아 들어야 한다. 거기에 우리 민주주의의 미래가 있다. (한국일보, 2009/06/05 02:36 http://news.hankooki.com/lpage/opinion/200906/h2009060502355676070.htm_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오바마와 이슬람세계의 만남 (6/4일)

오바마와 이슬람세계의 만남이 이번주에 있을 모양이다. 어제(화 6/2일)는 영국 BBC 인터뷰에서 오바마는 이란의 평화적 핵 이용권을 인정하겠다는 -물론 많은 조건이 달리겠지만- 다소 전향적인 듯한, 그러나 원칙적인 말(권리-주권)을 한 모양이고, 내일(목 6/4일)은 이집트에서 범-이슬람을 향한 연설을 계획하고 있다 한다(註1). 또한 "미국은 이슬람 인구를 가장 많이 갖는 국가들 중의 하나"(註2) 라며 이슬람에 친근감을 자아내려는 유화 제스처를 보인 모양이다. 이에 알카이다(Al-Qaida) 2인자는 이러한 "살인자-오바마"의 유혹에 속지 말 것을 이집트인들과 이슬람 세력에 권고하고 나섰다 한다(註3). 우리에게는 별로 감각적으로 와닿지는 않는 사건이지만, 그래도 사건인 것이 "오바마와 이슬람세계의 만남"(註4)이 이슬람 와해(혹은 화해) 술책으로 성공적(!) 연계를 낳을지, 아니면 끝없는 대결을 다시 확인하고 적대의 극단으로 내달릴지의 중요한 기점이 아닐까 싶기 때문이다. 우리도 이슬람적 전쟁과 중동의 석유로부터 전혀 전혀 자유롭지 못한 처지에 있다는 이유로 이기적 관심(!)을 잠시나마 기울여 본다 (이란의 핵문제에 대한 대응 추세를 통해서 북조선의 문제 흐름도 대충 짐작해 볼 수도 있겠고...). 

 

(註1) 오바마 "이란, 평화적인 핵 이용권 보유" - 핵위협국 포기전제.."핵협상 제안 호응" 촉구 / (런던 AP=연합뉴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일 "핵 보유의 목적이 평화적 이용이라는 것을 입증할 경우 이란도 핵에너지 이용 권리를 가질 수 있다"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영국 B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핵무기 보유 야망을 포기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이란과 직접 협상을 추진할 계획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재차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 오바마 대통령은 "이란의 에너지에 대한 관심과 열망은 정당한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하면서 "하지만 국제사회는 중동지역의 핵무기 경쟁을 차단하는데 매우 실질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그러면서 이란이 더 이상 핵위협 국가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다면 "정밀한 검증을 전제로 이란의 평화적인 핵에너지 이용 권리를 지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오바마 대통령의 인터뷰는 이번주 사우디 아라비아, 이집트 등 중동순방에 앞서 이뤄졌다. 그는 4일 이집트 카이로 대학 연설에서 미국과 이슬람 국가들의 관계가 우호적이 되기를 원한다는 뜻을 밝힐 예정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우리가 원하는 것은 대화"라며 "이슬람 국가들은 서방 세계를 오해하고 있고, 거꾸로 서방 세계도 이슬람 세계에 대해 큰 오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09/06/03 09:17)

(註2) Obama : "les Etats-Unis sont l'un des plus grands pays musulmans" (LEMONDE.FR avec AFP, 02. 06. 09, 20h26) [http://www.lemonde.fr/ameriques/article/2009/06/02/obama-les-etats-unis-sont-l-un-des-plus-grands-pays-musulmans_1201506_3222.html#ens_id=1200818]

(註3) Le numéro deux d'Al-Qaida appelle les Egyptiens à ne pas croire Obama (LEMONDE.FR avec Reuters,  03. 06. 09, 06h41) / Ayman Al-Zawahiri, numéro deux d'Al-Qaida, a invité les Egyptiens à ne pas se laisser séduire par les "propos raffinés" du "criminel Barack Obama" lors du discours que le président américain doit prononcer au Caire afin de tenter d'améliorer les relations avec le monde musulman. "Ô, peuple et moudjahidins libres, justes et honorables d'Egypte, tenez-vous unis face à ce criminel", a déclaré Zawahiri dans un enregistrement audio diffusé sur un site Internet islamiste lié à Al-Qaida. (...) Barack Obama a choisi l'Egypte pour prononcer jeudi un discours adressé au monde musulman afin de tenter de dissiper le ressentiment suscité par les interventions américaines en Afghanistan et en Irak après les attentats du 11 septembre 2001. (...) [http://www.lemonde.fr/ameriques/article/2009/06/03/le-numero-deux-d-al-qaida-appelle-les-egyptiens-a-ne-pas-croire-obama_1201529_3222.html#ens_id=1200818]


(註4) Barack Obama à la rencontre du monde musulman
LE MONDE | 01.06.09 | 15h23  •  Mis à jour le 01.06.09 | 15h23  

S i vous deviez écrire le discours du président des Etats-Unis au Caire, quels sont les éléments que vous incluriez ?" Depuis quelques semaines, les têtes pensantes (démocrates) de la politique étrangère aux Etats-Unis ont été consultées par ceux de leurs amis qui ont intégré l'administration Obama. Comme pendant la campagne électorale, la galaxie Obama fonctionne en réseaux. Les experts échangent des e-mails, des idées, des morceaux de texte, curieux de ce qu'il adviendra de ce melting pot intellectuel. "On verra jeudi", dit un de ceux qui ont contribué à la réflexion.

Le discours sur l'islam et au "monde musulman" que doit prononcer le président américain, le 4 juin, à l'université du Caire, est attendu comme l'un des jalons importants de sa stratégie pour réduire les tensions au Moyen-Orient. Un discours "conceptuel" à l'égal de celui de Philadelphie en 2008 sur les relations raciales, ou de Prague, début avril, sur "un monde sans armes nucléaires". Le principal auteur est l'un des jeunes qui suivent M. Obama depuis qu'il a annoncé sa candidature, Ben Rhodes, 31 ans. New-Yorkais, diplômé d'écriture de fiction, son premier ouvrage à succès a été le rapport sur l'Irak de James Baker et Lee Hamilton, qui a amorcé le désengagement américain dans ce pays et la stratégie d'approche avec la Syrie ou l'Iran qui est poursuivie aujourd'hui par M. Obama.

Ce "speech" est une promesse de campagne, pour les 100 premiers jours. Quand il a été conçu en 2007, il visait surtout à redorer l'image des Etats-Unis dans le monde arabo-musulman après l'invasion de l'Irak. "Obama dira clairement que nous ne sommes pas en guerre avec l'islam, que nous serons du côté de ceux qui sont prêts à se mobiliser pour leur futur et que nous avons besoin d'eux pour défaire les prophètes de haine et de violence", indiquait la plate-forme du candidat sous le chapitre "parler directement à un auditoire musulman".

L'entourage de M. Obama a cherché pendant quelques semaines l'endroit qui convenait le mieux. L'Indonésie, où il a vécu cinq ans, était un peu loin du "théâtre" des opérations. L'Arabie saoudite, trop recluse, et peu encline à ce genre de manifestations. Amman, trop proche de Beyrouth, Damas et Jérusalem. Il restait Le Caire, sa "rue arabe" et sa tradition de phare culturel du Proche-Orient, même si le sentiment antiaméricain y est fort et la liberté politique limitée.

A peine l'endroit avait été annoncé qu'une polémique s'est engagée. M. Obama rencontrerait-il des opposants au régime autoritaire du président Hosni Moubarak ? A trois jours du discours, la Maison Blanche était encore dans le flou, se bornant à indiquer que "l'ensemble des acteurs politiques" égyptiens a été invité à l'université. Et que M. Obama rencontrerait des journalistes locaux pour souligner l'importance de la liberté de la presse. Pour désamorcer les critiques, comme celles, acérées, de Nile Gardiner, de l'Heritage Foundation, selon qui "Obama est l'"homme invisible" en ce qui concerne la défense des droits de l'homme", la secrétaire d'Etat Hillary Clinton a reçu la semaine dernière des représentants d'associations égyptiennes pro-démocratie.

Sur le fond, le discours reste largement inconnu. Robert Gibbs, le porte-parole de la Maison Blanche, l'a décrit "une part importante" de l'effort de M. Obama pour "combler le fossé" avec le monde musulman. Effort qui s'inscrit dans une succession de gestes soigneusement calibrés depuis janvier : la mention des musulmans américains, dans le discours d'investiture, la première interview accordée à la chaîne Al-Arabiya, le message du Nouvel An iranien... Selon ce qui a pu filtrer, le discours serait plus "culturel" que politique, évoquant la division du monde islamique entre chiites et sunnites et la menace des extrémistes radicaux. Mais à une semaine des élections en Iran, il est difficile de ne pas voir une occasion pour M. Obama d'envoyer un message de détente.

Certains chercheurs sont sceptiques sur l'idée de s'adresser aux "musulmans" en général, au risque de renforcer "la notion trop bien acceptée mais fausse que l'islam et l'Ouest sont des entités distinctes avec des valeurs profondément différentes", écrivaient Olivier Roy et Justin Vaisse dans le New York Times en décembre 2008. La critique est identique chez Jon Alterman, spécialiste du Moyen-Orient au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CSIS). "Si quelqu'un peut me dire à qui le président Obama compte s'adresser, je lui serai reconnaissant (...) Est-ce qu'il s'adresse aux sociétés à majorité musulmanes, aux centaines de millions de musulmans qui vivent comme des minorités dans le reste du monde ?" Conscient de cet écueil, M. Obama a prévu de rendre hommage à la contribution des musulmans américains à la société américaine.

Plus que le monde musulman, c'est le monde arabe qui attend le président américain. Mais sur le processus de paix israélo-palestinien, la Maison Blanche a modéré les attentes, indiquant qu'il ne faut pas s'attendre à des propositions concrètes, même si M. Obama va d'abord faire escale à Riyad pour s'entretenir avec le roi de la possibilité de concessions réciproques entre Israël et ses voisins dans le cadre d'un règlement "global". L'objectif, décrit par les conseillers de M. Obama, est modeste : "Changer la conversation avec le monde musulman."

Corine Lesnes, Washington. Correspondante
Article paru dans l'édition du 02.06.09. http://www.lemonde.fr/ameriques/article/2009/06/01/barack-obama-a-la-rencontre-du-monde-musulman_1200726_3222.html#ens_id=1200818

 

 

[추가] 오바마가 이집트 연설 하루 전인 6월 3일 수요일, 그나마 미국에 가장 우호적인 사우디엘 미린 들른 모양이다(사진). 그러자 이번에는 역시나 사우디의 뿌리를 갖는 벤라덴이 직접 나서서 '오바마는 부시와 다를 바가 없다'는 사실을 환기시키는 녹음물을 올렸다 함.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71101-ben-laden-s-en-prend-a-obama
Monde 03/06/2009 à 16h01 / Ben Laden s'en prend à Obama
Alors que le président américain est en pleine tournée de réconciliation dans le monde musulman, le chef d'Al-Qaïda est sorti de son silence, accusant Barack Obama de suivre la même politique que George W. Bush au Moyen-Orient.

 

Barack Obama, reçu par le roi d'Arabie Saoudite dans le cadre de sa tournée au Moyen-Orient n'est

Barack Obama, reçu par le roi d'Arabie Saoudite dans le cadre de sa tournée au Moyen-Orient n'est pas plus apprécié par Oussama ben Laden que son prédécesseur à la Maison-Blanche (REUTERS)

 

 

cf.) DOSSIER Israël-Palestine, conflit sans fin ? [자료: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끝나지 않는 전쟁]
http://www.liberation.fr/israelpalestineconflitsansfin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北핵실험~PSI~전쟁상태(53정전협정무효)

전쟁이 나리라고는 우리는 별로 걱정도 않는데, 프랑스 신문과 방송에서는 53년의 정전협정은 무효가 됐고 곧 전쟁이 날지도 모른다는 듯이 완전히 난리다. 계속해서 속보가 올라오고 관련기사와 사진은 인터넷신문들의 맨 앞을 장식한다. 언론뿐만이 아니라 독자들의 관심과 반응도 뜨거운 것이, 예컨데 아래에 옮기는 기사가 올라온지 3시간 30분만에(07:20분 발; 10:50분 현재) 1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리고 있다(프랑스 신문에는 댓글이 거의 잘 안 달리는 게 보통임). 물론 이러한 반응은 북한의 발표문이 갖는 통상의 과격성과 극단성 때문이라고 보이지만, 북한은 진즉에 남한 정부의 PSI(Initiative de sécurité anti-prolifération) 가입을 전쟁선포로 간주하겠다고 예고를 했었고, 그 예고를 확증하는 차원에서 53년 정전협정의 종결을 공식화하고 있으니, 북한의 말투에 익숙한 우리는 현실에 무감한 반면, 사실관계로만 판단하는 서구인들의 걱정이 더 큰지도 모르겠다. 북한은 "한반도는 이제 전쟁상태에 돌입했으며, 조금의 동정도 없이 상상을 초월하는 댓가를 남한에 지불하겠다"(르몽드 본문의 강조부분)고 밝히고 있으니...

 

[핵실험-PSI-대응] (기자메모, 안홍욱, 경향 2009/05/28 18:15:46)
- 북한의 2차 핵실험 실시(25일),
- 정부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전면 참여 발표(26일),
- 북한의 “사소한 적대행위에도 강력한 군사적 타격으로 대응” 성명(27일) 등 숨가쁘고 혼란스럽다.
금방이라도 남북 간에 무력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27일 “대한민국 국민들께 감사하다. 매우 성숙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핵실험) 이후에도 주가·환율 등 경제지표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있다”면서 한 말이다. (...) 계속 기다리기만 하던 정부는 북한이 핵실험을 감행하자 곧바로 PSI 참여를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에도 큰 변동이 없던 금융시장이 PSI 참여 소식에 주가가 급락하고 환율이 급등했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

 

[北 미사일] (한국일보 2009/05/29 19:51:26)
북한은 지난 21일과 23일 동해에 접한 김책시와 원산에서 각각 130㎞ 떨어진 해상에 이달 30일까지 선박 항해금지구역을 설정해 단거리 미사일 발사를 예고했다.
- 25일 오전 핵실험을 한 후 오후 5시3분께 강원도 원산에서 지대함 미사일 2발을,
- 26일에는 함경남도 함흥시 이남 신상리에서 지대함 단거리 미사일 3발을 각각 발사했다.
- 29일 오후 6시12분께 함경북도 화대군 무수단리에서 동해상으로 지대공 단거리 미사일 한발을 발사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사실을 확인한 뒤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신형 지대공 미사일로 추정된다"고, "이번에 발사한 미사일은 지금까지 파악된 단거리 미사일과 전혀 다른 종류"라면서 "지난 25일 발사하려다 중단한 지대공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보당국은 이 지대공 미사일의 최대 사거리를 260km로 추정하고 있지만 제원은아직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2차 핵실험 이후 지금까지 발사한 단거리 미사일은 이번까지 모두 6발이다.

 

[일본의 적기지 공격론에 대한 반응] (한국일보 2009/05/29 10:39:02)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9일 북한의 제2차 핵실험 이후 일본에서 제기되고 있는 '적기지 공격론'에 대해 "재침책동'이라고 비난하면서 "재침 전쟁을 일으킨다면 천백배의 보복의 불벼락을 안길만단의 군사적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장송곡을 불러오는 무모한 적기지 공격론'이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일본 반동들은 그 어떤 방법으로든지 해외 침략전쟁의 불을 기어코 지피려 하고 있다"며 "그들은 우리의 미사일 발사기지에 대한 공습을 그 불씨로 삼으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우리 군대와 인민은 일본 군국주의 세력의 재침 책동을 예리하게 주시하고 있다"며 "우리의 타격력은 매우 강력하며 한계를 모르고 우리는 지상이면 지상, 해상이면 해상, 공중이면 공중에서 일본 군국주의 침략자들을 무자비한 보복타격으로 모조리 소탕할 것"이라고 호언했다. (...)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69707-la-coree-du-nord-prete-a-declarer-la-guerre

Monde 27/05/2009 à 07h20 / La Corée du Nord prête à déclarer la guerre
Pyongyang, qui a lancé de nouveaux missiles après l'essai nucléaire de lundi, menace la Corée du Sud d'une réponse militaire après l'adhésion de Séoul à l'Initiative de sécurité anti-prolifération.

101 réactions [댓글: http://www.liberation.fr/monde/0102569707-reaction-sur-la-coree-du-nord-prete-a-declarer-la-guerre]

 

Officiels et soldats nord coréens célèbrent le second essai nucléaire «mené avec succès» le
Officiels et soldats nord coréens célèbrent le second essai nucléaire «mené avec succès» le 26 mai. Photo communiquée par l'agence de presse officielle KCNA. (REUTERS) [핵실험의 성공을 자축하는 북한인민군, 5/26일]

 
La Corée du Nord a menacé mercredi la Corée du Sud d'une réponse militaire après l'adhésion de Séoul à l'Initiative de sécurité anti-prolifération (PSI) et affirmé n'être plus liée par l'armistice de 1953 ayant mis fin à la guerre de Corée, selon l'agence nord-coréenne KCNA.

La Corée du Nord a également averti qu'elle ne garantissait pas la sécurité des navires sur sa côte ouest, selon un communiqué militaire cité par l'agence officielle nord-coréenne.

Séoul, qui avait un statut d'observateur au PSI, a annoncé mardi sa décision d'en devenir membre à part entière, après que la Corée du Nord a procédé à un nouvel essai nucléaire et au lancement de plusieurs missiles.

«Tout acte hostile envers notre république, notamment le fait de stopper ou de perquisitionner nos navires...donnera lieu à une réponse militaire forte et immédiate», a prévenu l'armée nord-coréenne dans son communiqué cité par KCNA.

«Notre armée ne sera plus liée par l'accord d'armistice dans la mesure où les Etats-Unis ont fait entrer les pantins (la Corée du Sud, ndlr) au sein du PSI», a ajouté le communiqué, émis par le détachement militaire nord-coréen dans le village neutre de Panmunjon, au centre de la Zone démilitarisée (DMZ).

 

Sanction sans pitié

Si Pyongyang ne s'estime plus lié par l'armistice de 1953, «la péninsule coréenne va revenir à un état de guerre», a encore prévenu l'armée.

«Ceux qui nous ont provoqués vont devoir affronter une sanction sans pitié et inimaginable», a encore menacé Pyongyang.

Toujours selon le communiqué, «les impérialistes (américains) et les traîtres entourant Lee Myung-bak (président sud-coréen, ndlr) ont poussé la péninsule coréenne à l'état de guerre».

 

«Traître»
La Corée du Nord Pyongyang avait prévenu dernièrement qu'une éventuelle participation de Seoul au PSI serait considérée comme une déclaration de guerre.

Les relations entre les deux voisins coréens, toujours officiellement en état de guerre depuis le sanglant conflit de 1950-53, se sont détériorées depuis l'arrivée au pouvoir à Séoul en février 2008 de Lee Myung-bak régulièrement qualifié de «traître» par le régime nord-coréen.

Rompant avec la ligne conciliante de ses prédécesseurs, Lee Myung-bak prône une ligne ferme envers le Nord et soumet notamment l'aide de son pays à des progrès tangibles dans le processus de dénucléarisation.

Après l'annonce lundi d'un deuxième essai nucléaire après celui de 2006, condamné par le Conseil de sécurité de l'ONU, la Corée du Nord a procédé mardi et mercredi, selon des sources sud-coréennes, à de nouveaux tirs de missiles, malgrè les appels internationaux à de nouvelles sanctions contre elle.

Le Conseil prépare une résolution devant comporter de nouvelles sanctions contre Pyongyang, a déclaré son président pour le mois de mai, l'ambassadeur de Russie Vitaly Tchourkine. (Source AFP)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기록]09/05/23~29 사이 (喪中/北核)

기록 1/ 장례식이 29일(7일장; 5/23~)이라니, 그때까지는, 소심한 나는 분위기 봐가면서, 웬만하면 블로그 포스팅을 자제하려고 하거나 블로그 홈으로 보내지 않고 있는 게 사실이다. 전전 포스트에서도 밝혔듯이, 노무현의 죽음에 대해서 나는 별로 할 말도 없고 단지 '죽음'(그것도 자살이라는 경로를 통한)이 주는 자연스런 안타까움은 있지만, 더는 쥐어짤 눈물도 없고 슬픔도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슬퍼하는 누군가에게 뭐라고 하고 싶지도 않다. 슬퍼할 자유 어쩌고의 문제가 아니라 이런 저런 우리적 감성의 구조-역학을 참작할 때 충분히 예상하고 상상할 만한 증상이고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또 금방 식고 바로 잊어버리고는 내 갈 길 가겠지만... 여하튼 그런 분위기가 약간은 억지스럽고 공포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간단한 기록을 해 둔다: [펌] <<사이트마다 추모의 물결이 넘쳐나, 다른 주제로 글을 쓰는 게 어려울 지경이다. 모 스포츠 사이트에서 어느 분이 농구에 대한 글을 올렸을 때 이런 댓글이 달렸다. "지금 분위기에 이런 글을 올리다니, 자삭하시죠." 도루를 자제하겠다는 이종범이 찬사의 대상이 되고, 대통령의 서거와 500 도루가 무슨 관계가 있냐고 물으면 "생각없는 놈"이 되버린다. 그래서 그 사이트는 지금 노무현에 대한 애도 이외에는 다른 글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 사이트가 엄연히 스포츠 사이트임에도.>> 나는 마실을 잘 안 다니는 고로 분위기가 이렇게까지 된 줄은 몰랐고, 어쩌면 이런 분위기에 빠지지 않기 위하여 오마이뉴스 같은 '광적 기사'(*)는 웬만하면 피해다니는 중이다. 

(*) 물론 안다, 오마이가 작년 촛불정국에 들인 정성과 노력은 존중받아 마땅하고 훌륭했다는 것도 알고, 지금의 좀 지난친 듯한 분위기 띄우기도 그런 장기기획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도 알고, 때로는 차가운 머리 보다는 가슴에서 우러나온 광기가 혁명에(최소한 촛불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도 안다. 그러나 정처없이-한없이 자유로운 광기들을 꿰어서 조율하여 진정한 혁명의 동력으로 엮어내는 것은 광기가 아닐 것이다. 이런 광기 밖의 역할을 한갓 신문에 기대하는 것은 분명 무리지만, 당장에 다른 마땅한 대안도 눈에 안 띄는 상황에서 신문이 광기를 조율 불가능한 상황까지 밀어내서는 안되리라는 노파심도 든다. ['광기와 혁명' 에 대해 좀 더 상세한 정리가 필요하겠다.]

 

기록2/ 워낙에 하나에 집중된 신문기사들 탓에, 그저께 남한에서 사진과 같은 시위가 있었다는 사실을 르몽드 지를 보고서야 알았다. 관련 기사류를 이것저것 기록 삼아(or 경과 점검 차원에서) 옮겨다 둔다. 뭐, 내용이라 해봤자, -이제는 누구나 다 아는- 북한의 핵실험은 오바마 압박용이고,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편이고, 남한과 일본은 미국편이고, 일련의 비판은 있겠지만 실질적인 제재에는 한계가 있고, 어느정도는 북한 내부 결집용이고..., 등등이다.

Manifestation en Corée du Sud après l'essai nucléaire nord-coréen, lundi 25 mai.

AFP/KIM JAE-HWAN / Manifestation en Corée du Sud après l'essai nucléaire nord-coréen, lundi 25 mai.

이런 구체적 세력관계는 잠시 접어두고, 북핵이라는 또다른 사태를 맞는 남한인들의 반응에 주목해 본다. 뭐, 사진에서와 같은 극우적 반응은 사뿐히 무시하고, 그래도 생각있는(있다고 자처하는) 사람들의 반응만을 살피자면 대충 이런 듯하다: '근데 왜 하필이면 이웃의 상중(喪中)에 초상집 마당을 흔들고 대포를 쏘고 난리냐'는 불만이 있고, 조금 옆에서는 고질의 위기감과 반공(반북) 감정 살리기에 호기를 만난 듯 북한을 비판하는 듯하다. 정부에서 하는 짓들이야 워낙에 개념없고 반동적인 발상에서 나온 것이니 그렇다손 치고 별로 댓구도 하기 싫지만, 그 장단에 소위 진보신문 독자들이 호응(직접적이 아니라 결과론적으로)을 하는 것을 보노라니 좀 갑갑한 맘이 든다. 물론 논리적 근거는 '평화'라는 거룩한 단어다.

 

평화! 도대체 누구를 위한, 무엇에 대한 평화란 말인가? 부자를 위한, 그들의 기득권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평화고 안정이고 현실수호 이데올로기가 아니던가. 작년 촛불 때의 비폭력 주장이 이제는 수그러 든 줄로 알았더니 또 이런류의 자기모순 속에서 살아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 물론 안다, 평화와 비폭력이 아닌 전쟁과 폭력 속에서 결국 희생되고 다칠 사람은 없는놈들일 뿐이라는 사실도 안다. 그렇다고 이런 식의 반-평화를 바로 전쟁찬양이나 폭력예찬으로 연결시키면 좀 곤란하다: 진정한 평화를 위해서는 거짓된 '현실-평화-질서'를 깨는 '좀-덜-평화적인-방법'으로 보이는 과정도 필요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순수한 의미의 전쟁이나 폭력은 아니라는 일종의 변증법적 사고가 요청된다는 말이다 (여기서 '순수한~' = 惡).

 

마찬가지로, 북한의 핵은 전쟁 억지책(평화지키기)으로 요청되는 것이지(만약에 이라크에 핵이 있었다면 미국이 침략을 못했다; 이라크 민주주의는 스스로 시간을 두고 해결할 문제지 다른 나라의 참견권의 대상이 아니다), 그들의 호전성 때문이 아니라는 것은 이제 세상이 다 아는 사실 아닌가. 그리고 어떤 미친 놈이 스스로의 몰살을 무릅쓰고 좁은 한반도에서 핵을 사용할 것이며, 그렇게 북한의 핵은 전적으로 미국과 일본을 대상으로 한다는 사실도 이젠 상식이 아닌가. 특히 북한은 전쟁이나 평화의 안건에 대하여 남한을 어떤 협상이나 대화의 상대로 별로 중요하게 대하지도 않으며 그들의 주 담판 대상은 미국인 마당에 남쪽에서 미국을 대변하여 북한에 대들 필요는 없다고 보여진다. 마찬가지 맥락에서, 남한이 상중이든 축제중이든 그런 일을 고려하여 진즉부터 준비됐을(노무현 죽음 이전부터) 북한 핵실험이 연기되거나 포기되길 우리가 희망한다는 것은 과욕이 아닌지 모르겠다 (핵실험과 초상정국 사이의 함수에 대해 그들은 달리 계산했을 수도 있고). 더구나 핵실험이 있은 지난 25일은 미국의 현충일인지 뭔지 하는 날에 맞춰진 것이라니, '상중에' 어쩌고로 따질 문제는 냉정히는 아닌 듯하다 (언제는 남보다 더 미워하다가 이럴 때만 이웃이 어쩌고 형제가 저쩌고 하는 것은 야비하다). 하여튼 그렇고, 이하 뉴스 펌:

 


* 아래에는, 여기저기서 몇 번 언급한 바 있는, 르몽드 동경특파원, '필립 뽕스'라는 사람의 기사와 전문가 진단, 두 기사를 옮긴다. 반복하자면, 필립 뽕스라는 이 자는 거의 종신(아마 수십년째) 동경특파원으로 있으면서 일본과 한국(남-북) 관련 기사를 전담하는(아마 한국에는 르몽드 상주특파원이 없을듯) 일명 '동북아통' 이다. 내가 '이 자'라고 했듯이 그가 쓰는 대부분의 기사는, 늙은이 답게(아마), 상당히 우파적 냄새를 풍기는 게 일반적인데, 아래 기사는 예외적으로 사실관계에만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제목을 "왜 북한은 새로운 핵실험 실행했나"로 그럴듯하게 뽑아놓고는 특기할만한 답은 없이 흔히 우리가 아는 수준... 그래서 댓글에서 누군가가 아주 깔끔히 이렇게 대신 답변해 준다: [댓글] "왜 핵실험이냐고? 지도를 한번 보자: 북한은 핵강국들에 둘러싸여있고, 게 중에는 남한도 미국의 수백기의 전략미사일 기지로 역할하지 않는가. 마치 이란처럼, 북한이 살아남길 원한다면 핵 억제력을 보유 '해야만'(대문자 강조) 한다." [다른 댓글 하나는 단어교정: 'ban'으로 해야할 것을 (어리석은 기자가) 'banc'으로 했다는 등]

 

Pourquoi la Corée du Nord a pratiqué un nouvel essai nucléaire
LE MONDE | 26.05.09 | 10h42 Tokyo, correspondant, Philippe Pons

 

Réuni d'urgence, lundi 25 mai, le Conseil de sécurité des Nations unies a condamné le second essai nucléaire souterrain nord-coréen, effectué quelques heures auparavant, comme "une violation de ses résolutions". De la Chine, alliée de la République populaire démocratique de Corée (RPDC), aux Etats-Unis en passant par le Japon, la Russie et les pays de l'Union européenne la réprobation est unanime. Pékin s'est déclaré "résolument opposé à cet essai qui ignore la position internationale". Le président Barack Obama l'a qualifié de "menace pour la stabilité en Asie du Nord-Est", appelant "une pression internationale accrue." Cet essai, d'une puissance légèrement supérieure à celui d'octobre 2006, a confirmé les capacités atomiques de la RPDC qui entend être traitée comme une puissance nucléaire au même titre que l'Inde ou le Pakistan. Souvent qualifiée d'"imprévisible", le régime a surpris par sa rapidité à réagir à la condamnation, en avril, par le Conseil de sécurité de son tir d'une fusée (lanceur de satellite ou missile expérimental ?). Mais il n'a fait que ce qu'il avait averti qu'il ferait s'il était l'objet de sanctions.

 

STRATÉGIE À LONG TERME
Au-delà de la "réponse" de Pyongyang à cette nouvelle mise au banc des Nations[댓글참조], l'essai nucléaire se situe dans sa stratégie à long terme depuis la fin des années 1980 : se doter d'une arme de dissuasion afin de négocier en position de force avec les Etats-Unis un traité de paix (seul un armistice a mis fin à la guerre de Corée en 1953), des garanties de sécurité et une aide économique. Le régime est prêt à négocier dans le cadre d'une stabilisation globale de la péninsule mais se cabre s'il est exigé de sa part un désarmement unilatéral.
La montée aux créneaux de Pyongyang a-t-elle un arrière-plan interne ? Accélérer un déblocage des négociations avec les Etats-Unis alors qu'un accident vasculaire, à l'été 2008, a affaibli le dirigeant Kim Jong-il et que se mettrait en place un processus de succession ? En tout état de cause, l'essai est un message à Washington. A la suite de l'accord de février 2007 dans le cadre des négociations à Six (Chine, deux Corées, Etats-Unis, Japon et Russie) des progrès avaient été accomplis : désactivation et début de démantèlement de la centrale de Yongbyon; suppression par Washington de la RPDC de la liste des pays soutenant le terrorisme. Puis, le processus s'est enlisé. Les Etats-Unis exigeant des mesures de vérification du démantèlement qui, selon Pyongyang, vont au-delà des termes de l'accord.

Depuis son arrivée au pouvoir, Barack Obama n'a fait aucune proposition nouvelle sur la Corée. Pyongyang s'impatiente, dénonçant la "politique hostile" de la nouvelle administration américaine. La marge de réponse des Etats-Unis et de leurs alliés à la nouvelle provocation nord-coréenne est limitée. Une intervention militaire paraît exclue : intolérable pour la Chine. Dans l'affaire coréenne, Pékin a une préoccupation, celle de ne pas déstabiliser la RPDC. A l'extrême, le régime lui est indifférent du moment qu'il ne compromet pas ses intérêts : ne pas avoir de troupes américaines à sa frontière – ce qui serait le cas si la péninsule était réunifiée.
Une condamnation diplomatique n'a aucun effet sur Pyongyang. Des sanctions ? Elles affectent une population qui souffre déjà suffisamment plus que le régime lui-même et elles ne sont efficaces que si elles sont unanimes. Or la Chine (avec laquelle la RPDC effectue 70 % de ses échanges) les applique de "manière mesurée". Seule une approche flexible, donnant-donnant, permettra d'enrayer l'engrenage actuel. (Philippe Pons)
Article paru dans l'édition du 27.05.09. http://www.lemonde.fr/asie-pacifique/article/2009/05/26/pourquoi-la-coree-du-nord-a-pratique-un-nouvel-essai-nucleaire_1198011_3216.html

 

[les 2 sur 5 réactions] H. Sterne 26.05.09 | 15h28 / Pourquoi ces essais? Regardons la carte: la Corée du Nord est entourée de puissances nucléaires plus ou moins hostiles, y compris la Corée du Sud où sont basés des centaines de missiles stratégiques américains. Comme l'Iran, la Corée du Nord DOIT posséder une dissuasion si elle veut survivre.

Ortho 26.05.09 | 11h57 / Une mise "au banc" des Nations? Monsieur Pons, vous qui portez le nom d'un célèbre dictionnaire, revoyez votre orthographe (ban/banc) et enlevez en outre cette majuscule à nations, qui ne la mérite pas. Au fait, que font les correcteurs du Monde, à part s'amuser sur leur blog?

 

Une unité de misssiles lors d'une parade militaire à Pyongyang diffusée le 25 avril 2009 par
Une unité de misssiles lors d'une parade militaire à Pyongyang diffusée le 25 avril 2009 par l'agence nord-coréenne de presse. (© AFP Kns) http://www.liberation.fr/monde/0101569495-la-coree-du-nord-condamnee-mais-prete-a-recidiver

 

 

[전문가 질의/응답] 

Corentin Brustlein* : "Une nouvelle résolution accompagnée de sanctions n'est pas à exclure"
LEMONDE.FR | 25.05.09 | 20h00  •  Mis à jour le 25.05.09 | 20h56  


* Corentin Brustlein, chercheur au Centre des études de sécurité de l'IFRI

Avant son dernier essai nucléaire, la Corée du Nord avait procédé à un premier tir de missile balistique en octobre 2006. A l'époque, outre une condamnation unanime, la communauté internationale avait pris des sanctions. Cet essai avait aussi permis de relancer les négociations à Six (Chine, les deux Corées, Japon, Russie et Etats-Unis).

 

En avril 2009, Pyongyang a lancé une fusée censée mettre sur orbite un satellite. Or, il s'agissait d'un missile balistique à capacité nucléaire, selon certaines analyses. La Corée du Nord s'est aussitôt retirée des discussions. Quelques semaines plus tard, la Corée du Nord annonce un essai nucléaire souterrain. Comment l'interprétez-vous ?

Corentin Brustlein : On peut hasarder plusieurs interprétations simultanées des agissements nord-coréens : par ce geste, Pyongyang peut aussi bien désirer entrer dans des négociations bilatérales directes avec la nouvelle administration américaine ; renforcer la crédibilité de ses capacités militaires mise en doute suite au premier essai nucléaire - raté - de 2006 et aux échecs rencontrés lors de ses tirs balistiques ; retourner à la table des négociations en position de force - ces différentes hypothèses ne s'excluant naturellement pas. En outre s'ajoutent peut-être d'autres considérations, liées quant à elles aux dynamiques internes au régime nord-coréen. Enfin, on ne peut exclure de simples erreurs d'appréciation.

 

Les Occidentaux ont condamné cet essai. La Russie s'est dite "inquiète", la Chine n'a toujours pas réagi officiellement et le Japon veut saisir le Conseil de sécurité des Nations Unies qui va d'ailleurs se réunir lundi 24 mai à 22 heures (heures de Paris). Que faut-il attendre de cette réunion, quand on sait que la Chine, proche de la Corée du Nord et opposée à de lourdes sanctions, peut utiliser son droit de veto ?

Corentin Brustlein : Le positionnement chinois vis-à-vis du nucléaire nord-coréen est complexe. C'est en fait le fruit d'objectifs en partie contradictoires. Il est vrai que Pékin, comme dans une moindre mesure Moscou, a "protégé" Pyongyang de manière répétée des sanctions que Washington, Séoul, Tokyo ou encore certaines capitales européennes, ont voulu imposer depuis la découverte du programme nucléaire nord-coréen. Cette politique chinoise a néanmoins évolué au cours des dernières années, en particulier suite au premier essai nucléaire nord-coréen d'octobre 2006, contre lequel Pékin avait mis en garde Pyongyang. Plus généralement, la République populaire de Chine semble se lasser de l'inconstance et de l'imprévisibilité des dirigeants nord-coréens, ce qui a permis le vote par le Conseil de sécurité de la résolution 1718, placée sous le chapitre VII de la Charte des Nations unies et imposant une série de sanctions. La RPC se trouve donc "coincée" entre sa relation particulière avec la Corée du Nord, la crainte de déstabiliser celle-ci et son agacement croissant vis-à-vis d'une politique risquant d'inciter le Japon à reconsidérer ses choix de défense. Dans la situation présente, une nouvelle résolution accompagnée de sanctions n'est pas à exclure : reste à savoir si ces sanctions seront mises en œuvre et si elles parviendront à influencer la politique nord-coréenne.

 

La Russie et les Etats-Unis ont entamé depuis le 17 mai de nouvelles négociations sur la réduction de leurs arsenaux nucléaires, afin d'aboutir au remplacement du traité START, qui expire à la fin de cette année. Cet essai nord-coréen remet-il en question la stratégie américaine d'un monde dénucléarisé ? S'agit-il du premier réel test pour l'administration Obama ? Est-ce qu'il n'y a pas un risque de naïveté de la part du président Obama ?

Corentin Brustlein : On peut à mon sens difficilement parler d'une "stratégie" américaine visant un monde dénucléarisé, tout au plus d'une adhésion de l'administration Obama au principe même du désarmement nucléaire et d'une interrogation sur les prochaines étapes envisageables afin d'y contribuer, notamment via la ratification du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 (Traité d'Interdiction Complète des Essais nucléaires). Il est encore trop tôt pour évaluer les conséquences concrètes de cet essai sur l'idéal d'un monde dénucléarisé promu notamment par l'administration Obama - mais un certain pessimisme semble aujourd'hui de rigueur. L'été dernier, Pyongyang semblait désireux d'accepter l'aide internationale proposée en échange d'une suspension de ses activités nucléaires militaires. Depuis, vous l'aurez compris, la situation a bien changé, et ces gesticulations ne sont pas sans inquiéter la Corée du Sud et le Japon. Au minimum cela risque de renforcer la demande d'une poursuite du "parapluie nucléaire" américain en Asie du Nord-Est. Au pire, cela peut pousser le Japon, voire la Corée du Sud, à revenir sur leur choix de s'en remettre à la dissuasion nucléaire dite "élargie", c'est-à-dire de bénéficier de la dissuasion offerte par les armes nucléaires américaines, pour développer leurs propres capacités nucléaires. Il va sans dire qu'un tel scénario bouleverserait considérablement les équilibres stratégiques asiatiques.

 

Cet essai intervient également en pleine crise du dossier nucléaire iranien. Il y a quelques jours, le président Obama a annoncé à son invité, le premier ministre israélien, Benyamin Nétanyahou, qu'il s'accordait un délai jusqu'en janvier 2010 pour réviser sa stratégie de dialogue avec l'Iran. Or, l'Iran et la Corée du Nord coopèrent sur le plan militaire. Quel effet le tir nucléaire nord-coréen peut-il susciter à Téhéran et plus largement dans le bras de fer entre la communauté internationale et l'Iran ?

Corentin Brustlein : L'Iran regarde avec une grande attention la façon dont la communauté internationale se comporte face aux provocations de Pyongyang, et c'est une chose qu'il faut impérativement garder à l'esprit en réagissant à cette nouvelle gesticulation : Téhéran a déjà beaucoup appris, directement, ou indirectement, des crises nucléaires nord-coréennes. Prouver à Téhéran que le chantage nucléaire ne profite pas à Pyongyang de manière durable doit indéniablement faire partie de nos objectifs afin d'éviter d'être confrontés à court ou moyen terme aux mêmes difficultés vis-à-vis de l'Iran.

 

Y a-t-il dans cet essai nucléaire une lecture intérieure qui échappe a priori à notre attention en Occident ? D'après ce que vous nous avez dit et ce que pensent certains chercheurs asiatiques spécialistes des questions nucléaires, le régime nord-coréen aurait procédé à cet essai pour monnayer auprès de l'armée la succession du leader Kim jong-il au profit de l'un de ses fils. Qu'en est-il exactement ?

Corentin Brustlein : Il est vrai que la question de la succession de Kim Jong-il se pose de manière croissante depuis les problèmes de santé de celui-ci à l'été 2008, et cette dimension ne doit pas être négligée. Dans cette perspective, au moins deux lectures peuvent être faites de cet essai : en première analyse et comme vous le mentionnez, il peut témoigner de la volonté de Kim Jong-il de faire accepter son fils comme successeur. A l'inverse, le test peut traduire l'influence grandissante de la hiérarchie militaire sur la politique nord-coréenne et un durcissement potentiel de celle-ci. En tout état de cause, il est certain qu'une crise de succession ne rendrait que plus difficile encore la tâche de négocier avec Pyongyang. La réaction de la communauté internationale face à la crise actuelle doit ainsi prendre soin de ne pas favoriser l'émergence d'un pouvoir nord-coréen plus dur qu'il ne l'est actuellement. Cela étant dit, il convient de souligner que les dimensions interne et externe sont et resteront inextricablement liées : un essai nucléaire est aussi un moyen de paraître puissant vis-à-vis de l'extérieur malgré les nombreuses interrogations quant à la succession de Kim Jong-il. (Propos recueillis par Le Monde.fr)

 

Sur le même sujet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대전]화물연대,총파업 결의후 경찰과 격렬 충돌

"박종태를 살려내라", "박종태를 살려내라"

▲ 시위대가 경찰이 거리행진을 저지하기 위해 방어벽으로 사용한 경찰버스에 '박종태를 살려내라' 글씨를 새겼다. ⓒ 심규상 오마이뉴스

 

밥먹는 식당 덮치고, 귀향버스 올라 잡아가 / 경찰, 대대적 검거... 연행자 400여명 넘을듯
[현장 4신·마지막 - 대전] 화물연대, 총파업 결의후 경찰과 격렬 충돌
09.05.16 19:52 ㅣ최종 업데이트 09.05.17 00:37  심규상 (djsim)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133560&PAGE_CD=N0000&BLCK_NO=3&CMPT_CD=M0001&NEW_GB=...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87년 민주화 항쟁 이후 대전에서 이렇게 격렬한 시위가 벌어지는 것은 처음인 것 같아요."

 

16일 오후 민노총 조합원 1만여명이 화물연대 광주지부 제1지회장인 고 박종태 씨를 애도하며 시위를 벌인 대전시 대덕구 동부경찰서 인근 도로 는 흡사 전쟁터를 방불케했다. 이날 충돌은 민노총 조합원들이 당초 신고내용과 달리 중앙병원에서 약 1.7㎞ 떨어진 대한통운까지 계속 행진을 하려 하면서 빚어졌다.

 

시위대 사이에서는 돌이 난무했고, 이를 방패로 막던 경찰도 물대포와 경찰봉으로 응수하며 1시간여 동안 시가전을 벌였다. 만장(輓章)을 들고 행진하던 시위대는 박 씨를 애도하는 내용이 쓰인 검은색 천을 떼어내고 시위도구로 활용했다. 만장깃대 가운데 일부는 '죽창'처럼 끝이 날카로워 행진을 저지하는 경찰에게는 매우 위협적이었다. 일부 시위대는 한번에 5-6개의 만장깃대를 시위대 후방에서 공수해 온 뒤 대나무 끝이 경찰의 진압방패에 막혀 부러지거나 갈라지면, 곧바로 새것으로 교체해주기도 했다.

 

경찰은 경찰버스를 이용해 바리케이드를 친 뒤 물대포를 쏘며 행진을 막아보려 했지만 1만여명의 시위대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 과정에서 인천에서 지원 온 한 경찰관이 시위대 차량에 치여 중상을 입는 등 돌이나 경찰봉에 맞아 부상한 시위대와 경찰 수십명이 인근 병원으로 후송되기도 했다. 대한통운까지 시위대가 휩쓸고 간 1.7㎞ 구간에는 전의경 버스와 지휘차량 등 경찰 차량 30여 대가 유리창과 철망, 문짝이 부서진 채 나뒹굴며 마치 폭격을 맞은 듯 했다. 시위대는 경찰이 자신들의 행진을 저지한 데 대한 분을 풀려는 듯 눈에 보이는 경찰 차량마다 돌 등을 던지며 화풀이를 하기도 했다.

 

대한통운 앞에서 별다른 충돌없이 집회를 마친 시위대가 해산하는 순간 경찰은 검거조를 전격 투입해 시위를 주도한 민주노총 간부 등 80여명을 연행했다. 일련의 과정을 지켜본 주민들 사이에서는 시위대를 격려하거나 비난하는 등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한 주민은 "현 정권 아래서 오죽 먹고 살기가 어려웠으면 저렇게 격렬한 시위를 벌이겠느냐"며 "교통정체도 있었고, 소음도 있었지만 시위대의 심정을 이해한다"고 말했다. 반면 또 다른 주민은 "아무리 힘들다고 해도 경찰서에 진입하려 하는 등의 행위는 이해가 안된다"며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면서까지 격렬한 시위를 벌여야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kjunho@yna.co.kr (끝))

 

 

"참고 또 참았다…이제 더는 못 참겠다"  

故박종태 사망 보름…화물연대 '총파업' vs 경찰 500명 연행
기사입력 2009-05-17 오후 2:34:02 /여정민 기자(대전)

 

▲ 박 씨가 숨진 대한통운 대전지사 앞까지 행진을 하겠다는 노동자들에게 경찰은 물대포를 쏘아댔고, 노동자들은 결국 만장으로 만들었던 대나무를 경찰을 향해 겨누었다. ⓒ프레시안


"그동안 우리가 얼마나 참았는데, 이제는 평화적으로 못 합니다."

16일 오후 대한통운 택배 기사들과 함께 싸우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고 박종태 씨의 영안실이 있는 대전중앙병원 앞에서 한 화물연대 조합원이 "아저씨들, 평화적으로 해야지 폭력을 쓰면 어떻게 해요?"라는 한 시민의 말에 이렇게 목소리를 높였다. 두 사람의 눈앞에는 1만5000여 명의 노동자와 110개 중대 1만 여 명의 경찰이 대치하고 있었다. 박 씨가 숨진 대한통운 대전지사 앞까지 행진을 하겠다는 노동자들에게 경찰은 물대포를 쏘아댔고, 노동자들은 결국 만장으로 만들었던 대나무를 경찰을 향해 겨누었다.

 

"아니 그래도 비도 오는데, 다칠까봐 그러지"라고 걱정하는 시민을 향해 그 화물연대 조합원은 참아 왔던 말들을 쏟아냈다.

"사람이 죽었단 말입니다. 그런데도 저 인간들은 꼼짝을 안 하잖아요. 대한통운 앞까지 행진하겠다는데 그것도 못하게 하지 않습니까. 평화적으로 하면 우리만 자꾸 잡아가고 우리 말은 들어주지도 않는데 그럼 우리가 어떻게 합니까?"

 

고 박종태 씨의 죽음으로 촉발된 노동계의 투쟁이 격화되고 있다. 화물연대는 이날 조합원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총파업을 통과시켰고, 민주노총은 다시 "이 투쟁에 모든 역량을 투입하겠다"고 선언했다. '5.18 정신계승 전국노동자대회' 참가자들은 대한통운 대전지사 부근까지 행진을 했고, 뒤로 물러서던 경찰은 해가 진 뒤 해산하는 참가자들을 뒤쫓아 500명 가까이 무차별 연행했다. 돌아가려고 버스에 올라탄 참가자들까지 일일이 버스에서 끌어내렸고,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집회 참가 차량을 세워 연행해갔다.

노동계가 박 씨의 죽음에 대해 대응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매년 전라도 광주에서 열던 '5·18 정신계승 노동자대회'가 올해는 박 씨의 죽음을 불러온 대전에서 열렸다. 화물연대는 이날 같은 장소에서 조합원 총회를 열고 총파업을 결의했다. 돌입 시기는 지도부에 위임하기로 했다. 김달식 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장은 "정부가 적극적인 대화에 나서지 않는 한 고속도로 봉쇄를 비롯해 상경 투쟁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싸우겠다"며 "파업 돌입 시기는 정부와 대한통운 측의 대화의지를 본 뒤 다음주 중으로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화물연대는 이번 총파업이 대한통운 뿐 아니라 이명박 정부에 대한 투쟁임을 강조했다. 화물연대는 "금호아시아나그룹 뒤에는 이명박 정권의 반노동 정책이 있다"며 "경제 위기 책임을 노동자에게 떠넘기는 이명박에 맞서 모든 조직과 연대하겠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이번 총파업이 노동계 전체로 확산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김달식 본부장은 무대 위에 올라 민주노총 조합원들에게 지난 2006년 포항에서 경찰에 의해 목숨을 잃은 하중근 씨와 한미 FTA를 반대하며 스스로 산화한 허세욱 씨를 언급하며 "화물연대의 힘만으로 싸우도록 그냥 두지 말아 달라"고 호소했다.
김 본부장은 "철도, 택시, 항공 등 운수노조 산하의 모든 운수 노동자들도 총파업을 결의해 달라"며 "민주노총도 총파업을 결의해달라"고 요구했다. (...)

 


▲ 노동계는 시민·사회 단체들과도 함께 박 씨의 죽음을 정부에 대한 투쟁의 도화선으로 삼겠다는 계획이어서 충돌은 상당 기간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프레시안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책소개] 북유럽 사민주의 (링크)

[화제의 책] <사회민주주의란 무엇인가>,

안네마리에 린드그랜·잉바르 카를손 지음, 윤도현 옮김, 논형 펴냄, 2009-04-10, 196쪽, 13,000원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60090515113437&section=03
"복지는 약자만을 위한 것?" / 성현석 기자 (기사입력 2009-05-16 오후 2:30:37)

"좌우로 비틀거려도 앞으로 나간다"…자유, 평등, 연대, 민주주의
사민주의자에게 자유란?
"시장 근본주의는 자유의 적"
"50년대 해법이 90년대에도 통할 수는 없다"
'지는 해'가 된 신자유주의, 한국이 택한 길의 끝에는?

대충 이런 중간 제목들을 단 아주 아주 긴 서평(책소개) 이다. 내가 사민주의에 각별한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처지는 아니지만, 한 번 보고 버리기에는 아까운 (혹은 두루 잃혀도 좋을) 글로 보여지고, 다 옮기기에는 너무 길어서 링크만 걸어 둔다. 더불어 기사의 말미에 딸린, 또한 엄청 많은(대단한 프레시안!) '관련기사'도 친절하게도 모두 링크가 걸려있는데, 그 목록만 참고삼아 가져온다.

 

[저자-역자 소개(알라딘)]

안네마리에 린드그렌 (Anne-Marie Christina Lindgren) - 1943년 7월 17일생. 스웨덴 사회민주주의 저술가. 이 책이 쓰여 질 당시 사회민주주의 운동진영 내의 논쟁을 주로 다루는 저명 잡지 "Tiden"의 편집장 그리고 사회민주당 당 강령 위원회의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1970년대부터 80, 90년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왕성한 집필활동을 하고 있다.

잉바르 카를손 (Gosta Ingvar Carlsson) - 1934년 11월 9일생. 스웨덴 정치가. 1965년 미국에서 공부를 끝내고 돌아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같은 해 스웨덴 사회민주당 청년 동맹의 지도자가 되었다. 이후 교육부 장관(1969~1973), 주택부 장관(1973~1976), 부수상(1982~1986)을 거쳐 스웨덴 수상(1986~1991, 1994~1996), 사회민주주의당 당수(1986~1996)를 지냈다.

윤도현 - 한국외국어대학교 독일어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양대학교, 한림대학교, 서울대학교, 동국대학교 강사와 국회 정책연구위원을 역임하고 현재 현도사회복지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한국 사회민주주의 선언>, <계급이여 안녕?> 등이 있다.

 

 

북유럽 사민주의 모델 관련 기사 모음

 

○"키워드로 읽는 북유럽"

☞ 연재를 시작하며: "'사람값'이 비싼 사회를 찾아서"

- 첫 번째 키워드 : 협동

☞ "평등 교육이 더 '실용'적이다" (上)
☞ "'혼자 똑똑한 사람'을 키우지 않는다" (中)
☞ "'로마'만 배우는 역사 수업" (下)

- 두 번째 키워드 : 코뮌

☞ "가족 없이 늙어도, 당당하다" (上)
☞ "'착한 정부'는 '코뮌'에서 나온다" (中)
☞ "'인민의 집', 그들만의 천국?" (下)

- 세 번째 키워드 : 생태

☞ "산적이 100년 동안 다스리는 마을에서는…" (上)
☞ 'MB식 녹색성장'이 불안한 이유 (中)
☞ '친환경 기술'로 녹색성장?…"글쎄요" (下)

- 네 번째 키워드 : 민감

☞ "'강철신경'은 자랑이 아니다"


 ○ 김명신의 '카르페디엠' : 북유럽 교육

☞<1> "당신은 펜을 들고, 친구는 카메라를 든 것처럼"
☞<2> "경쟁과 협력…누가 더 많이 웃고 살까"
☞<3> "한국 부모들, 심리학을 공부하세요"
☞<4> 백년대계를 바꾸는 열 가지 차이는?
☞<5> "지구 반대편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 핀란드 교육 탐방

☞ "세금 많아서 자랑스럽다"…"튼튼한 복지는 좋은 교육의 조건"
☞ "협동ㆍ배려ㆍ여유 vs 경쟁ㆍ욕심ㆍ긴장"
☞ "부모 잘 만나야 우등생 되는 사회…벗어나려면"
☞ "멀리 봐야 희망을 찾는다"

 

○ 핀란드 교육 관련 인터뷰

☞ 국제학력평가 1위, 핀란드의 비결은?
☞ "경쟁? 100m 달리기 할 때만 들어본 단어입니다"
☞ "일제고사, 교사 해직…한국은 놀랄 일 투성이"
☞ "교원노조는 좋은 교육 위한 동반자"
☞ "관리자는 '윗사람'이 아니다"
☞ "'피드백'이 교육을 살린다"
☞ "차별, 더 강력한 차별이 필요하다"

 

○ 핀란드 학교 탐방

☞ 꼴찌 없는 교실, 이유는?
☞ "자율 선택 강조하는 평등교육"
☞ "직업교육이 더 자랑스럽다"
☞ "혼자서 잘 해내는 아이를 키운다"
☞ "수업시간에 잠자는 아이를 보기 어려운 이유"
☞ "관료주의 깨야 공교육 산다"

 

○ 도종환 시인이 본 핀란드 교육

☞ 핀란드의 아이들
☞ 악덕의 씨를 심는 교육

 

○ 스웨덴 학교 이야기

☞ "일등을 포기한 학교에서, 더 많이 배웠다"
☞ "외운 것은 가장 낮은 수준의 지식일 뿐"
☞ 청소부에게 야단맞는 대학 교수
☞ 사민주의 사회에서 이뤄지는 경쟁 실험

 

○ 잘 사는 나라가 져야 할 책임

☞ "'아이에게 살충제 먹이는 회사'엔 투자할 수 없다"
☞ 당당하게 '퍼주자', 스웨덴처럼

 

○ 스웨덴 우파의 도전

☞ 스웨덴 우파 집권, 그 이후…
☞ 스웨덴에 특목고가 생긴다?

 

○ "덴마크에서 살아보니"

- 직업과 학벌에 따른 차별이 없다

☞ "명문대? 우리 애가 대학에 갈까봐 걱정"
☞ 의사와 벽돌공이 비슷한 대접을 받는 사회
☞ "덴마크도 40년 전에는 '서열 의식'이 견고했다"
☞ 모두가 승리자 되는 복지제도
☞ 비정규직 임금이 정규직 임금보다 더 많은 나라

 

- '암기가 아닌 창의, 통제가 아닌 자율'을 장려하는 교육

☞ "아이들은 숲 속에서 뛰노는 게 원칙"
☞ "노는 게 공부다"
☞ "충분히 놀아야 다부진 어른으로 자란다"
☞ 1등도, 꼴찌도 없는 교실
☞ "왜?"라는 물음에 익숙한 사회
☞ "19살 넘으면, 부모가 간섭할 수 없다"

 

- "아기 돌보기, 사회가 책임진다"

☞ "출산율? 왜 떨어집니까"
☞ "직장인의 육아? 걱정 없어요"

 

- "덜 소비하는 풍요"

☞ "에너지 덜 쓰니, 삶의 질은 더 높아져"
☞ "개인주의를 보장하는 공동체 생활"
☞ '빚과 쓰레기'로부터의 자유
☞ "장관이 자전거로 출근하는 나라"
☞ "우리는 언제 '덴마크의 1979년'에 도달하려나"

 

- "낡고 초라한 아름다움"

☞ "수도 한 복판에 있는 300년 전 해군 병영"
☞ 인기 높은 헌 집
☞ "코펜하겐에 가면, 감자줄 주택에 들르세요"
☞ 도서관,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곳

 

- 덴마크 사회의 그림자

☞ "덴마크는 천국이 아니다"
☞ "덴마크 사회의 '관용'은 유럽인을 위한 것?"

 

○ 입양대국 북유럽, 그리고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

☞ 한국에서 덴마크로 입양된 사람들
☞ "스웨덴에서 자란 입양인이 왜 한국을 그리워하죠?"
☞ "중국에 공녀, 일본에 위안부, 그리고 우리"
☞ 해외입양은 아동복지인가, 아동학대인가?
☞ "한국은 여전히 '미개한 나라'일지도 모른다"
☞ 해외입양 16만명 중 10만명이 미국으로, 왜?
☞ 한국, 경제대국? 세계 1위 '아동수출대국'!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전쟁] 파키스탄 <-> 탈리반

미국의 압력에 의해서, 파키스탄 북부의 알카이다-탈리반을 향한 파키스탄 군의 공격이 지난 4월 26일 이래로 격화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지도에서 파키스탄 북부의 빨간색에 빗금친 곳이 탈리반 점령구이고 그 곳에 공격이 행해진다는데, 문제는 엄청나게 늘어나는 전쟁 피난객들(기사에 의하면 13일 현재 36만명에 이른다 함)을 수용하고 보호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는 것(지도의 파란텐트 표시가 피난민 수용소, 빨간텐트는 새로 만든 수용소), 유엔도 그 점을 걱정하고 있다는 등의 르몽드 기사들을 링크 걸어 둔다.

 

Les zones sous influence talibane au Pakistan

Infographie Les régions sous influence talibane au Pakistan  

.
Au Pakistan, le consensus sur l'offensive contre les talibans s'effrite
LEMONDE.FR | 13.05.09 | 17h24  •  Mis à jour le 13.05.09 | 17h39   
Soldats de l'armée pakistanaise dans la vallée de Swat, le 8 mai.
AP/Mohammad Sajjad /Soldats de l'armée pakistanaise dans la vallée de Swat, le 8 mai.
 
Les combats entre les militaires pakistanais et les talibans se sont poursuivis, mercredi 13 mai, dans le nord-ouest du pays. L'armée a fait savoir que son aviation a bombardé des positions des islamistes dans la vallée de Peochar, au nord-ouest de la vallée de Swat, où des commandos héliportés avaient déjà été envoyés la veille. Envoyé spécial du Monde au Pakistan, Jacques Follorou détaille, depuis Islamabad, la stratégie militaire pakistanaise, tout en soulignant que "la situation est confuse", car il est "difficile de vérifier les avancées revendiquées par l'armée pakistanaise" : [특파원 목소리]

Engagée depuis le 26 avril, l'offensive miliaire pakistanaise a été déclenchée sous la pression des Etats-Unis, qui évoquaient une "abdication" des autorités d'Islamabad devant les talibans. Mobilisant quelque 15 000 militaires contre environ 5 000 islamistes, elle a fait l'objet, les premiers jours, d'un relatif consensus dans la société pakistanaise. Mais celui-ci a tendance à s'effriter désormais, relève Jacques Follorou : [특파원..]

Le président pakistanais, Asif Ali Zardari, a demandé, mardi 12 mai à l'ONU, l'aide internationale pour les civils déplacés par les combats. Selon le HCR, plus d'un demi-million de personnes ont fui de la vallée de Swat et de sa région située à une centaine de kilomètres d'Islamabad. Un précédent bilan, il y a deux jours, faisait état de 360 000 personnes enregistrées dans divers camps de la Province de la Frontière du Nord-Ouest. Jacques Follorou décrit ce qu'il y a vu : [특파원..]

Le Monde.fr
.
Depuis plusieurs mois, les tirs de missiles américains ciblant des cadres d'Al-Qaida et des talibans dans les zones tribales pakistanaises sont devenus fréquents. Islamabad proteste toujours publiquement, en vain, et Washington ne les dément jamais. 
AP/Master Sgt. Steve Horton /Depuis plusieurs mois, les tirs de missiles américains ciblant des cadres d'Al-Qaida et des talibans dans les zones tribales pakistanaises sont devenus fréquents. Islamabad proteste toujours publiquement, en vain, et Washington ne les dément jamais.
[파키스탄에서 알카이다와 탈리반을 겨냥하는 미국 미사일 발사 기지 모습]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고 박종태 열사 투쟁 승리 결의대회 (09/05/09,대전)

고 박종태 열사 미망인 하수진씨가 고인에게 붙이는 편지

 
  
▲ 고 박종태 열사 미망인 하수진 씨가 고인에게 붙이는 편지 9일 오후 대전 대한통운 대전물류센터 앞에서 열린 '박종태 열사 투쟁승리를 위한 총력투쟁 결의대회'에서 고 박종태 열사 미망인 하수진 씨가 고인에게 붙이는 편지를 낭독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박종태

 

 

여보! 오랜만에 불러보네. 나는 아직도 실감이 안 나. 당신이 이 세상에 없다는 것이... 병원에 걸린 사진 속에서 당신이 튀어 나올 것만 같고, 다른 화물연대 조합원들처럼 바쁜 듯이 걸어 들어올 것만 같고, 큰 아이 말처럼 당신이 장난을 치고 있는 것만 같아.

 

아이들에겐 사람은 태어나면 언젠가는 죽게 된다, 다만 언제 죽게 될지 모를 뿐인데, 아빠가 조금 빨리 가신 것 같다고 말했으면서도 아이들과 마찬가지로 아직 받아들여지지가 않네.

 

체포영장이 떨어진 날, 입을 옷가지들을 챙겨서 보냈는데, 속옷이 마음에 걸려서 싸구려가 아닌 좀 좋은 것으로 줄려고 사다 놓은 속옷이 아직 서랍장에 그대로 있을 텐데...

 

여보 생각나? 작년 12월 마지막 날 눈이 너무도 이쁘게 와서 정말 모처럼 만에 팔짱도 끼고 손도 잡고 걸으면서 '나 그래도 괜찮은 사람이지?'하고 했던 말, 나 그때 그냥 웃기만 했는데 말해 줄걸 그랬어. '그래 당신 괜찮은 사람이다'.

 

당신이 사랑했던 동지들도, 당신을 너무나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당신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지금 보게 되면서 늦었지만 알게 돼. 당신이 좋은 사람이었다는 것을.

 

여보. 아직 믿기지도 않고, 믿고 싶지도 않지만, 걱정하지마. 나 아직 잘 견디고 있고, 당신을 사랑했던 많은 사람들과 함께 당신이 그토록 간절히 바라던 세상을 이루기 위해 작은 힘이지만 보태려고 노력하고 있어.

 

당신이 정말 마음 놓고 웃으며 편안한 곳으로 갈 수 있도록 그래서 우리 아이들도 당신을 좋은 사람으로 간직하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할게. 당신이 가는 마지막 길이 더 이상 외롭지 않게, 당신의 선택이 헛되지 않도록 당신이 그랬던 것처럼 열심히 살아갈게.

 

그리고 여기 계신 분들에게 드리고 싶은 말입니다.

 

한 가정의 가장을 궁지로 몰아서 죽인 놈들이 아직도 정신을 못 차리고 '밥줄을 끊겠다'는 둥, '질서를 지키라'는 둥 헛소리를 하고 있습니다. 저들이 인간입니까? 사람을 죽여 놓고 협상은커녕 사죄도 그 어떤 것도 하고 있지 않는 대한통운과 금호는 누구를 위해서 아름다운 기업입니까? 고인은 아직 깜깜한 어둠속에서 차디찬 얼음장 속에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남편이 사랑했던 대한통운 택배 조합원 여러분, 그리고 화물연대 조합원 여러분, 죄인처럼 고개를 숙이지 마십시오, 죄인은 여러분들이 아니라 저 뒤에 숨어있는 자들입니다. 더 이상 슬러하는 대신에 일어나서 싸워주십시오. 고인의 유언대로 악착같이 싸워서 사람대접 받을 수 있도록 여러분들이 싸움을 이어가야 합니다. 남아있는 저희 가족이 살 수 있는 것도 여러분들에게 달려있습니다.

 

 

 

5000여명의 노동자들이 나무에 리본을 단 이유
고 박종태 열사 투쟁 승리 결의대회... "고인 유언처럼 악착같이 싸우자"
오마이뉴스 09.05.09 20:54 ㅣ최종 업데이트 09.05.09 21:32  장재완 (jjang153)  
 

대전 대덕구 읍내동 대한통운 앞 삼거리가 검은 옷에 검은 리본을 단 5000여명의 노동자들로 가득 메워졌다.

이들은 대한통운으로부터 계약해지 된 78명의 택배노동자들의 복직투쟁을 이끌다가 지난 3일 스스로 목숨을 끊은 화물연대 광주지부 1지회장 고 박종태씨를 추모하기 위해 모인 노동자들.

'노동기본권 보장, 비정규직 철폐, 노동탄압 중단, 운송료 삭감 중단, 해고자 원직복직, 고 박종태 열사 대책위원회'는 9일 오후 대전 대한통운 대전물류센터 앞에서 '박종태 열사 투쟁승리를 위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지난 6일 1000여명이 모여 제1차 투쟁결의대회를 개최한 화물연대를 비롯한 노동계는 민주노총과 진보정당, 시민사회단체 등 제 진보진영 전체가 참여하는 '대책위원회'를 꾸리고, 이날 첫 투쟁결의대회를 마련한 것.

 

대한통운 정문을 가로막고 대형 무대가 설치됐고, 5000여명의 노동자들은 읍내삼거리 도로 전체를 점거한 채 대오를 갖춰 자리했다. 이들은 '근조'라고 쓰인 검은색 리본을 가슴에 달았고 '박종태를 살려내라', '대한통운 박살내자'라고 쓰인 손 피켓을 들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임성규 민주노총위원장과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 심상정 전 진보신당 공동대표, 이수호 민주노총 최고위원, 이정희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등 진보진영 주요인사들은 물론이고 각 지역별 민주노총 간부와 조합원들도 참석했다.

고인에 대한 묵념과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며 시작된 이날 대회는 경과보고와 대회사, 문예공연, 추모사, 유족인사, 투쟁사, 상징의식, 거리행진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대회사에 나선 임성규 민주노총 위원장은 "박종태 열사는 결코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 아니다, 거대한 역사의 수레바퀴가 뒷걸음질 치면서 거기에 깔려 죽은 것"이라며 "지금도 이명박 정권 아래에서 수많은 노동자들이 그 수레바퀴에 손이 잘리고 발이 잘리고 목숨을 잃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제 이 땅은 모든 진보세력들이 지난 5월 1일 노동자대회를 기점으로 하나가 되어 총력투쟁에 나서기로 결의했다"면서 "노동자를 탄압하는 이명박 정권을 끌어내리기 위해, 그리고 대한통운과 금호그룹을 심판하기 위해 힘차게 투쟁하자"고 말했다.

 

임 위원장의 뒤를 이어 추모사에 나선 이는 정영신씨. 그녀는 용산참사에서 목숨을 잃은 고 이상림씨의 며느리다. 검은 상복을 입고 무대에 오른 그녀는 "박종태 열사의 소식을 듣고 정말로 가슴이 아팠다"면서 "왜 힘없는 철거민과 노동자들이 희생을 당해야 하는지, 원망스럽고 한스럽다"고 말했다.

"살려고 망루에 올라간 철거민을 죽인 이명박 정권, 일하고 싶어서 싸워야 했던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몰은 그들은 사죄해야 한다. 용산참사가 110일이나 지났지만 저희 유가족들 지치지 않았다. 여러분들도 지치지 않고 싸워서 반드시 고임의 염원을 이루어 달라."

 

정씨를 이어 박종태 열사의 미망인인 하수진씨가 무대에 올랐다. 그녀는 떨리는 목소리로 고인에게 쓴 편지를 낭독했다.  

하씨는 "여보, 오랜만에 불러 보네"로 시작된 편지에서 "아직 믿기지도 않고, 믿고 싶지도 않지만, 걱정하지마, 잘 견디고 있다"면서 "당신을 사랑했던 많은 사람들과 함께 당신이 그토록 간절히 바라던 세상을 이루기 위해 작은 힘이지만 보태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씨는 또 그 자리에 모인 사람들에게 "죄인처럼 고개를 숙이고 있지 말라"면서 "고인의 유언대로 악착같이 싸워서 사람대접 받을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하씨가 편지를 읽어 내려가는 동안 참가자들은 일제히 눈시울을 붉히며 고인을 추모했다.

 

 

투쟁사에는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와 심상정 전 진보신당 공동대표가 나섰다. 먼저 강 대표는 "비정규직과 특수고용노동자를 노동자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하는 이명박 정권과 한나라당, 자본가들, 그리고 그들의 하수인이 되어버린 경찰이 또 다시 한사람을 죽음으로 내몰았다"면서 "돈만 보이고 사람은 보이지 않는 이명박 정권을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고 규탄했다.

심상정 전 대표는 "박종태 열사의 죽음은 노동자 대우도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과 특수고용노동자들의 설움을 대변한 죽음이었다"면서 "7살과 10살 자녀,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사랑하는 아내를 두고 눈을 감아야 했던 젊은 노동자의 죽음을 우리는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결의의 시간을 통해 ▲ 노동기본권 보장 ▲ 비정규직 철폐 ▲ 노동탄압 중단 ▲ 운송료 삭감 중단 ▲ 집단 해고된 화물연대 대한통운택배 조합원 전원 복직 등을 촉구했다.

행사의 마지막 순서로는 '상징의식'으로 고인이 목숨은 끊은 인근 야산의 현장과 주변 나무에 노란색 리본을 묶고 고인의 넋을 위로하는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노란리본에 "종태야 잘가라", "네 몫까지 싸워서 반드시 승리하마" 등의 문구를 적어 놓았다.

상징의식이 진행되는 동안 일부 참가자들과 경찰이 몸싸움을 벌이면서 부상자가 생기기도 했다. 또한 대한통운 건물의 현관과 유리창이 파손되기도 했으나 큰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 '박종태 열사 투쟁승리를 위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마친 5000여 노동자들이 거리행진을 벌이고 있다. 
ⓒ 오마이뉴스 장재완   박종태 

 
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200여개의 검은 만장을 앞세워 고인이 안치된 대전중앙병원까지 1.7km의 도로를 따라 행진한 뒤 모든 일정을 마감했다.

한편, 민주노총 지도부는 이날 오전 민주노총 대전본부에서 긴급회의를 열어 오는 16일 같은 장소에서 전국 노동자 1만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규탄대회를 개최하기로 결의했다. 또한 16일까지 대한통운측의 사죄와 해고노동자들에 대한 원직복직 처리가 되지 않을 경우, 서울에서 대규모 노동자대회를 개최하는 등 전국적인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출처 : 5000여명의 노동자들이 나무에 리본을 단 이유 - 오마이뉴스
 

 

  
▲ '박종태 열사 투쟁승리를 위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마치고 거리행진을 벌이고 있는 참가자들. 
ⓒ 오마이뉴스 장재완  박종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