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규율

2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22/09/24
    개근상은 원하지는 않는다
    슈이타
  2. 2022/09/10
    노동 규율에 익숙해지다
    슈이타

개근상은 원하지는 않는다

나보다 늦게 계약직 사원으로 입사한 젊은 친구가 있다. 결근이 잦더니 오늘은 관리자가 질책할만한 사고를 친 모양이다.  한 직원은 그 친구가 근무 시간에 잠을 자는 것을 보았다고 나에게 말했다. 아마 그것 때문에 질책을 받는 게 아닐까 싶었다. 관리자가 그를 사람들 앞에서 대놓고 질책한 것은 아니었고, 데스크 뒤쪽으로 따로 불러내 이야기를 잠시 나누었는데, 그것이 질책이라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었다. 항상 웃던 관리자가 그때만은 화가 난 얼굴이었기 때문이다.

 

내가 일하는 공정의 사람들 대부분은 성실하다. 체력이 딸려 천천히 일하는 경우는 있지만 대놓고 일을 하지 않았던 경우는 그 친구를 제외하면 아직까지 본 적이 없다. 지금처럼 행동한다면 그 친구는 수습기간을 통과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그 전에 그 친구가 일을 그만 둘 가능성은 더욱 높아 보인다. 그런데 왜 계약직 사원으로 입사를 했을까? 하고 싶은 마음은 있었지만 몸과 마음이 안 따라주는 것일까?

 

그런데 생각해보면 정말 놀라운 것은 불성실한 그 친구가 아니라 성실한 우리가 아닐까. 수십 명의 사람들이 묵묵히 PDA의 지시에 따라 카트나 파렛트를 끌며 일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로봇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생각이 자주 들고는 한다. 다수의 사람들이 로봇화되어 일하는 모습이야말로 자본주의 체제가 만든 '경이로운' 일상이 아닌가.

 

하지만 우리는 인간이고, 쿠팡 또한 그것을 알고 있는 듯하다. 관리자들은 한달에 3번까지의 결근은 재계약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한다. 이건 노동강도가 그만큼의 결근을 묵인할 수밖에 없을 정도로 노동강도가 세다는 뜻을 쿠팡이 알고 있다는 뜻이 아닌가.

 

내가 국민학교에 다닐 때에는 우등상만큼 중요한 상이 개근상이라고, 어른들은 말하고는 했다. 그래서 당시 학생들은 아파도 학교에 꾸역꾸역 나오는 경우가 잦았다. 나도 그 시절 규율에 전염된 사람이다. 결근을 하면 마음이 괴로워 오히려 일하는 것보다 더 힘든 하루를 보낼 수 있다는 것을 스스로 잘 알기에 쓰러질 정도로 아프지 않는 한 출근을 할 것이다.

 

그래서 불성실한 그 친구를 바라보는 내 마음은 복잡하다. 고등학교 일 학년 때 내 짝이 가출을 해서 보름 정도 학교에도 나오지 않았던 적이 있었는데, 그 빈자리를 부담스러워 했던 기억까지 떠오른다. 짝이 등교한 후에 왜 가출을 했냐고 물었다. 짝은 내 질문에 엉뚱한 답을 했다. 엄마가 아프다고 해서 집에 왔는데 멀쩡하더라고. 속았어, 속았어. 

 

어쨌든 현재의 쿠팡은 개근상은 원하지 않는다. (과거에 만근수당이 있었다고는 한다.) 결근을 일정 부분 허용할 수 있는 이유는 쿠팡의 인력 운용이 일용직에 상당히 기대고 있어 그만큼 '유연'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산성은 어느 기업과 마찬가지로 포기할 수 없는 목표이다. 쿠팡에서는 보수를 지급하지 않아도 되는 결근보다, 보수를 지급했는데 행해지는 태만은 더 큰 죄일 수도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노동 규율에 익숙해지다

쿠팡 물류센터에서는 노동시간에 화장실에 갈 때 관리자에게 보고하고 가라고 한다. 물론 급할 때에는 보고 없이 가도 된다고 말은 한다. 하지만 원칙은 보고다. 그 이유는 화재 등 사고 발생 때 인원 파악을 위해서라고 한다. 그러나 노동 규율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쿠팡 물류센터는 거주지 외곽에 주로 있고, 버스를 투입해 수많은 노동자를 일터로 나른다. 따라서 출퇴근 시간이 꽤 걸린다. 나의 경우에는 교통 상황에 따라서 적게는 50분, 많게는 2시간 넘게 버스를 타게 된다. (아침 저녁으로 막히면 버스 탑승시간만 4시간 이상인 셈이다.) 게다가 새벽에는 버스를 타는 곳까지 대중 교통이 다니지 않는다. 그래서 50분 정도 걸어 통근 버스가 서는 곳까지 걸어가야 한다.

 

나의 경우는 지하철역 앞에서 통근 버스를 타는데 신기하게도 아침 6시 정각이 되면 배변 욕구가 생기고 지하철역 화장실에서 이를 해결하게 되었다. 노동을 하면서 화장실 갈 일이 생기지 않도록 몸이 알아서 시간에 맞춰 내보내는 것이다. 다른 일을 할 때에는 이러지 않았다. 다른 곳에서는 화장실에 갈 때 보고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보고에 대한 부담이 배변 습관을 무의식적으로 만든 것이다.

 

자본주의 노동의 핵심 중의 하나는 규율이다. 정해진 시간에 출근해 정해진 방식으로 일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쿠팡 물류센터 노동은 이 핵심을 여실히 보여준다. 대부분의 노동자가 통근 버스를 타고 정해진 시간에 출근한다. 정해진 방식으로 단순한 노동을 반복한다. 노동이 끝나면 정해진 시간에 통근 버스를 타고 퇴근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이 없으면 노동을 해야 하고 노동을 하면 사적인 시간이 그만큼 줄어든다. 출퇴근 시간과 노동시간, 수면시간, 식사시간을 제외하면 실제로 우리에게 주어지는 시간은 얼마되지 않는다. 쿠팡 물류센터의 경우 위치상 출퇴근 시간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출퇴근에 노동시간의 절반에 가까운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쿠팡 물류센터 노동은 사실상 최저임금 이하라고 봐야 하지 않을까.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