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건 - 체게바라

온건

 

 

 

 

온건이란 말은

제국주의자들이

즐겨 쓰는 말 중 하나다

온건주의자는

두려움이 많은 사람

혹은,

어떤 형태의 배신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을

가리킬 뿐이다

민중은,

결코 온건하지 않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1:10 2010/01/13 01:10

핀셋 - 체게바라

핀셋

 

 

 

 

 

혁명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돕는

의사와 같은 것이다

혁명은

핀셋이 필요하지 않을 때는

그것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노동자들이 핀셋을 요구할 때는

망설임 없이 사용한다

해산의 고통은

더 이상

잃을 것밖에 없는 자들에게

보다 나은 삶이라는

희망을 안겨다준다

 

 

역사는

망설이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무엇을 해야할 것인가?

우리가 할 수 있는 대답은 이것뿐이다

폭력은

착취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피착취자들 역시

폭력을 행사할 수 있다

단지,

적절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마르티는 이렇게 말했다

싸움을 피할 수 있는 데도

싸움을 하는 자는 범죄자이다

그런 자는

피해서는 안 될 싸움에는

꼭 피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1:02 2010/01/13 01:02

멈출 수 없는 싸움 - 체게바라

멈출 수 없는 싸움

 

 

 

새로운 세상을 위한

우리의 투쟁은

죽는 날까지 멈추지 않는다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우리는

남의 일처럼 외면해서는 안 된다

 

 

어느 한 나라에서의 승리는

곧 우리 자신의 승리이고

그 나라의 패배는

곧 우리 모두의 패배이므로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1:01 2010/01/13 01:01

돈 - 체게바라

 

 

 

보수를 지불한다는 것은

아주 못된 관습이다

그런 관행은 자본주의의

탄생과 함께 시작되었다

사회주의 단계에서도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아마,

돈은 이 세상에서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쓰레기들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그 돈이 없어지고

보수의 지불이라는

관행도 사라질 때

우리는 비로소

이상적인 단계에

도달할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1:00 2010/01/13 01:00

권리 - 체게바라

권리

 

 

 

오늘 자전거 공장 노동자들이

자기들 손으로 만든 자전거를

특별히 싼값에 구입하게 해달라는

제안서가 올라왔다

 

나는 사인을 하지 않았다

 

노등자가 물건을 직접 만들었다고 해서

그 물건에 대한 권리까지 갖는 건 아니다

빵 공장 노동자라고 해서

남들보다 빵을 더 가질 권리는 없으며

섬유공장 노동자라고 해서

실 한 가닥이라도 그냥 가질 수는 없다

모든 것은 거짓없이 공평해야 하고

누구이든 특별대우는 없어져야 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1:00 2010/01/13 01:00

나의 손끝 - 체게바라

나의 손끝

 

 

 

아름다움과 혁명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니다

얼마든지,

아름답게,

만들 수 있는 것을

아무렇게나 만드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아름다움과 혁명은

먼 데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나의 손 끝에 있는 것이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0:59 2010/01/13 00:59

조건 - 체게바라

조건

 

 

 

민중의 힘은

적과의 싸움에서

질 수 없을 만큼 강해진다

우리는

혁명적 분위기가

단순히 무르익기만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폭동은

그런 분위기를 스스로

충분히 만들어낼 수 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0:58 2010/01/13 00:58

탐독 - 체게바라

탐독

 

 

올바른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한다

"해적과 달"은

라스콜리니코프로 가는 길을 열어주었다

엘리샤에서 네루다까지

그리고

열띤 토론은 또 다른 책을 탐닉케 했다

스테판 츠바이크,

보들레르와 세익스피어

엥겔스와 도스토예프스키

크로포트킨과 트로츠키

폴 발레리와 가르시아 로르까

그 외 많은 아나키스트들,

레온 펠리페의 "훈장"

레닌의 "유물 변증법"

모택동의 "신중국론"

사르트르의 "벽"

마르크스의 "경제학, 철학수고"

네루다와 랭보

...

특히,

마야코프스키와

네루다의 시에 탐닉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0:57 2010/01/13 00:57

괴테 전기 - 체게바라

괴테 전기

 

 

내 중대에 간호병으로

새로 들어온 여성대원

하이디 산타마리아에게

괴테 전기를 빌려 읽었다

기억해 둘 만한 구절에

밑줄을 쳤다

 

 

"극도로 예민한 사람만이

아주 차갑고 냉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단단한 껍질로 자신을

둘러싸야 하기 때문이다

간혹,

그 껍질은

총알도 뚫지 못한 만큼

단단해진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0:56 2010/01/13 00:56

희망 - 체게바라

희망

 

 

 

 

게릴라로 싸우던 동안에는 물론

심지어 지금까지도

카스트로의 이야기는

내 뇌리에 선명히 남아 있다

 

 

당신들은 아직

당신들이 저지른 과오에 대해서

그 대가를 지불하지 않았다

무기를 방기한 게릴라로서의

지불해야 할 대가는

바로 목숨이기 때문이다

적과 직접 부딪쳐 싸울 경우

살기 위해 의지해야 할

유일한 희망은

바로 무기뿐이다

 

 

그런데 그 무기를 버리다니!

그것은

처벌받아 마땅할 범죄이다

 

 

단 하나의 무기,

단 하나의 비밀,

단 하나의 진지도

적들에게 넘어가게 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모든 것을 잃게 된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1/13 00:55 2010/01/13 0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