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세욱 선생님 3주기가 다가온다.

하...벌써 만 3년이 지났다.

세상은 많은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대통령도 바뀌었고, 허선생님이 돌아가실 당시의 한미 FTA를 추진하던 대통령도 이 세상에 없다.

여담이지만... 그래서 난 그 먼저 간 전 대통령에 대한 찬사가 마뜩치 않다. 솔직히 그 당시 국정운영을 돌아보면 뭐가 그렇게나 진보적이고 그 생각을 기려야 하는지 잘모르겠다... 그럼 그때 분신하신 선생님은 뭐란말인가..한미 FTA를 비롯해 평택 대추리 문제, 안기부 X파일 등... 언제 시민들과 그렇게나 소통을 했다는건지...국민참여당인지 뭔지는 노무현처럼 하겠다고 하는데...그 전에 자기반성과 성찰을 해야 하는거 아닌가...한명숙 전 총리는 평택 대추리에 주민 소거를 위해 군부대를 보냈던 사람이다...쩝...에이 여담은 여담으로 끝내자...

 

아직 가끔 술먹다가 허선생님 생각이 나면 눈물이 난다. 시발...

사람은 그렇게 죽으면 안된다는게 내 생각이다. 그저 여전히 집회장 어디선가 불쑥 나타나 반갑게 손을 잡아주며 인사를 건내고 끝나고 소주나 한잔 할 수 있는 아저씨로 남아 있어 주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4월 11일 일요일 오전 11시 30분에 허세욱 선생님 3주기 추모제가 열린다.

평전 출판기념회도 함께 진행된다고 하니 많은 분들이 모이면 좋겠다.

 

허선생님 영정으로 사용된 사진. 그 당시 활동하던 단체의 월간 소식지에 실릴 인터뷰 사진이다.

 

사진을 찍다 보면 참 찍기 어려운 사람들이 있다.

자연스런 사진이 필요한데 계속 카메라를 의식하는 사람들.

허세욱 선생님도 무척이나 촬영하기 어려웠던 기억이다.

당시 내가 활동하던 단체의 회원이셨던 선생님의 소식지 인터뷰용으로 사용할 사진이 필요했다.

자연스러운 집회 참여 사진이 컨셉이었는데...

딱딱하게 굳으신체 계속 카메라만 쳐다 보신다...

어이쿠...이건 그림이 안나온다. 구호를 외칠 때는 마치 로보트처럼 움직이신다.

결국 다 찎었다고 거짓말을 하고 멀리서 망원으로 땡겨 찍었다.

 

선생님 만나러 갈 때는 좀 따뜻해지겠지요?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0/03/30 11:56 2010/03/30 1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