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결론

from 이런저런 2009/01/27 07:49

그 많은 권력을 지닌 부모의 자녀들. 뭐든지 해줄 수 있는, 돈이든, 학원이든, 먹을 것이든, 그런 혜택을 받는 아이들이 별로 행복하지 않을 것이란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확신한다.

 

내가 학원강사를 그만둘 때는 나름대로 비장한 각오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강사를 그만둘 때 난 다른 대안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하지만, 스스로 알아나가지 못하고 선생님한테 의지해야 하는 수많은 아이들과 그런 교육풍토는 내게 자성을 가지고 왔다. 아이들은 국영수를 위해 학원에 다니지 말아야 하고 그래서 자신의 창의성을 개발할 시간을 죽이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빈부의 격차로 인해서 학원을 다니지 못하는 것도 부당하다고 생각했다. 학원은 이래저래 나쁘다는 판단이었다. 하지만, 공교육은 아이들을 포기하듯이 가르치는 것 같았다. 들리는 소문에 의하면, 다른 아이들이 다 학원에서 선행학습을 하기 때문에 학교 교사는 적당히 그 아이들의 지적 수준을 만족시켜줘야 했던 것이다. 그리고 학교는 아이들에게 시험성적만을 강요하게 된 것 같다. 그런 풍토는 지금도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게 학원에서 열심히 공부하는 아이들이 세계 속에서는 점점 능력을 잃어가고 있다. 마치 일찍 발견된 천재를 국가와 부모가 망치듯이 수많은 아이들이 창의성을 잃어가면서 시들어가고 있는 것이다.

 

아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창의력 교육 역시 아닌 것 같다. 스스로 창의력을 알고 찾아나갈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해 주는 것이며, 교사는 혹은 강사는 그것을 끌어주는 것이다. 그것이 더디게 보이더라도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을 믿는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09/01/27 07:49 2009/01/27 07:49
Tag //

Trackback Address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