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게시물에서 찾기오픈콘텐츠라이선스

1개의 게시물을 찾았습니다.

  1. 2008/03/18
    비디오 공유 아카이브!(6)
    넷!

비디오 공유 아카이브!

다섯병님의 [CC Korea 국제 컨퍼런스 개최] 에 관련된 글.
행사에 대한 상세한 정보: http://www.creativecommons.or.kr/conference/kor/
를 보면서, 궁금한 것: "Open Culture"...
- 번역 안하기: Creative Commons (Korea)를 빼면, 왜 이 말만 영어로 썼을까...
(새로울 것도 없는데 새로운 것처럼, 혹은 새삼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듯이 "개념"으로 받아주기를 바라는 것... 말고 또 다른 이유가?)
- 번역 하기: 예의 CEO인 로렌스 레식 교수의 "자유문화"(free culture)라는 이름의 책도 있고 이를 따르는 대학생들의 "자유문화"운동 조직도 있는데, 왜 "열린문화"(open culture)로 변환/번역을 했을까...

하여간, 난 왜 그 로렌스 레식 교수"님"이 별로 맘에 들지 않을까... 좋은 일 하시는데... 참. 여전히 자유시장을 옹호해서 그런가...

그런데, 성은 다르지만 이름이 같고, 미국이 아닌 인도에서, 저작권을 비판하며 활동하는 변호사이자 활동가가 있다.
들어보신 분들도 계실 텐데, 로렌스 리앙(Lawrence Liang).
인도의 방갈로에 살면서 활동한다고 하고, 대안법포럼(Alternative Law Forum)에서 일하고, 오픈콘텐츠 라이선스에 대한 책자도 만들고 했고, 아래에 간단하게 소개할 글 같은 것도 여럿 쓰고...

Lawrence Liang, "Shoot, share and create: Looking beyond copyright makes sense in film", 2006
"촬영하고, 공유하며 창작하자: 저작권을 넘어서 보는 것이 영화에 합당하다" (번역이 어색하지만) 대충 이런 제목의 짧은 글인데, 리앙은 이를 공개서한 형식으로  당시 인도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의 메일링 리스트인 docuwallahs2(http://groups.yahoo.com/group/docuwallahs2)로 보냈다 한다...

그 메일이 전달되고 전달되고 해서 나도 예전에 받아본 적이 있는데, 오늘 이 글이 생각난 것은, 바로 대안법포럼도 참여하면서 대 여섯 개의 조직이 모여 만든 "비디오 촬영본(footage) 공유 아카이브"를 발견하고 나서였다. 이름 하여:


pad.ma: http://pad.ma
(뜻은, public access digital media archive; 공중이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아카이브).
간단한 소개를 번역하면: 주석이 달려있는 비디오 자료 - 주로 촬영본(footage)와 편집이 완료되지 않은 영화들 - 의 온라인 아카이브다. 모두 검색 가능하고, 온라인으로 볼 수 있고, 자유롭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이트를 자세히 살펴보면, 더 놀라운 것들이 많은데, 간단하나마 웹 상에서 곧바로 편집도 가능하다; 지리적 정보 - 지도를 제공한다 등... 하지만 무엇보다도, 이 사이트(아카이빙)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일반공중라이선스(gpl) 하에 자유롭게 배포된다는 것이다: 오픈된 소스는 여기: https://wiki.pad.ma/browser or https://wiki.pad.ma/wiki/Source

조만간, 시간을 내서 꼼꼼히 사이트를 살펴보고,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해 보기로 한다...


아래의 글에서 로렌스 리앙이 말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독립적 인프라 구축으로 이어지는 것을 보니, 감동적이다. 이렇게  현실적인 대안들이 수많이 많아지는구나 싶다...


-




먼저 오픈콘텐츠 라이선스, 크리에이티브커먼즈에 대해, 특히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 있고,
그리고 아래와 같이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이 저작권에 반대하고 오픈콘텐츠 라이선스를 채택해야 하는 이유들을 제시함.

배급

* 많은 사람들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당신의 작품을 열어놓으면, 더 많은 배급의 가능성이 생긴다.

적극적인 이용허락(라이선스) 표시

* 현재의 저작권법은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으면 일괄 적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당신의 작품을 다른 사람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문제가 없다면, 그렇게 하라고 적극적으로 표명을 해주어야 한다.

그렇다고 당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다

* '오픈콘텐츠라이선스' 하에서는 작품의 창작자로서의 권리를 포기하는 게 아니다. 여전히 저작인격권 등을 갖는 것이며, 이용자들 역시 그것을 존중해야 한다. 사람들이 당신의 작품들을 변형/개작하는 것 혹은 중요한 부분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 허락할 지 말 지를 표시하는 것은 여전히 당신이다.

영화제작자는 로열티로 생계를 유지하지 않는다

* 대부분 의뢰받거나 요청받아 제작하고, 다양한 수상과 초청 등을 통해 돈을 번다. 경험, 크레딧, 인지도, 미래의 작업의뢰(assignment)에서도 여전히 이익을 얻는다.
* 저작권을 통한 수익을 포기하는 것은 사실 별로 많지도 않고 심각한 것도 아니다.
* 또한, 공적 지원/자금을 통해 제작하는 경우라면, 왜 그 작품이 개인 영화제작자의 사적 소유물로 되어야 하는가.
* 요약자의 코멘트: 이 부분은 실증적인 연구 조사가 필요함. 실제로 영화제작자들이 영화 제작을 통해 어떻게 돈을 버는지, 혹은 지속적인 창작과 생존을 위해 무슨 일을 하는지... 그 중에서 저작권을 통한 수익이 있는지... 혹은 저작재산권을 주장하지 않을 때 얼마나 손실이 생길지("불법복제"를 통해)... / 그리고 무엇보다도, 저작권과 수입의 문제 뿐만 아니라, 저작권으로부터 자유롭다면  제작 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기존 영화 자료들(역사적 자료 화면이나 다른 제작자가 촬영한 것)에 저작권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 즉,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측면이 중요하다. 영화제작 공동체들이 서로에게 저작권을 걸지 않으면 그 제작비용을 상당히 아낄 수 있다는 것인데, 지금까지야 별 상관없이/허락없이 사용해도 문제없었지만, 현재처럼 저작권이 강화되는 상황에서라면, 영화 제작비용은 상당한 고려사항이 된다.

영화제작의 협력적 성격

* 저작권은 개인 창조자의 천재성이라는 신화를 이용한다. 영화제작자들에게도 그러한 신화가 덧씌워진다. 하지만 영화는 협력적 창작 예술이다. 공동 창작자(joint authorship)
* 제작과정의 수많은/다양한 노동이 투여되는 것도 그렇고, 영화제작자에게 미친 다양한 영향과 자극들도 그렇고...
* 다큐멘터리 제작자 공동체는 전체 사회에서 소규모이고, 그러므로 더 많은 협력과 그 협력을 통한 이익을 위해 작업해야 한다. 촬영소스공유 프로젝트(shared footage project) 같은... <-- 바로 pad.ma 같은!
* 요약자의 코멘트: 경제적인 이익/손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 위에서 코멘트 한 것과 같다. 즉, 당장에는 자신이 노력과 돈을 들여 촬영하고 그것을 공유하기 위해 어딘가에 올리는 귀찮은 일을 하는 것이 손해로 보이지만, 집단적으로 이것이 이루어진다면, 나의 작품을 만들 때 필요한 (내가 할 수는 없지만 다른 사람이 해놓은) 것을 구하는데 비용이 들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손해가 아니면, 문화적으로도 더 많은 창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 "협력재"(collaborative goods)라는 개념도 어디서 본적이 있는데... 

저작권은 점점 창조성을 위협하고 있다

* 디지털 혁명... 거의 모든 사람이 저비용의 스튜디오가 되고 있다. 이러한 민주적 미디어 환경에 대해...

이건 정치적인 문제이다.

*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은 신자유쥬의 국제 질서에 반대하는 사람들이 아닌가. 지적재산권은 그러한 신자유주의 세계 질서를 형성하는 핵심 축의 하나가 되어왔다.
* WTO 등의 헤게모니에 반대하는 저항하는 영화를 만들고, 그 영화에 대해서는 강력한 저작권 보호를 주장하는 것(이것은 앞서 언급했듯이,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으면 현행의 저작권 보호를 받겠다는 것이 된다!)은 아이러니다.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