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최근에 읽은 그리고 읽을 혹은 전혀 안읽을 지도 모를 책 #13

 

가. 탈리반 : 아프가니스탄의 종교와 전쟁, 피터 마스던, 박종철출판사, 2005/01

나. 갈릴레오의 아이들, 아서 클라크,어슐러 르 귄,조지 R. R. 마틴 등저, 시공사, 2007/06

다.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4, 박종철출판사, 2002/03

라. 정본 백석 시집, 백석, 문학동네, 2007/02


北新
- 西行詩抄 (二)
                                       조선일보, 1939.11.09

거리에서는 모밀내가 낫다
부처를 위하는 정갈한 노친네의 내음새가튼 모밀내가 낫다

어쩐지 香山부처님이 가까웁다는 거린데
국수집에서는 농짝가튼 도야지를 잡아걸고 국수에 치는 도야지고기는 돗바늘 가튼 털이 드문드문 백엿다
나는 이 털도 안뽑은 도야지 고기를 물구럼이 바라보며
또 털도 안뽑는 고기를 시껌언 맨모밀국수에 언저서 한입에 끌꺽 삼키는 사람들을 바라보며
나는 문득 가슴에 뜨끈한것을 느끼며
小獸林王을 생각한다 廣開土大王을 생각한다

 

평북 사투리가 짙게 깔리거나 멀리는 통영의 사투리까지, 간혹 중국말도 섞여있다. 특히 그의 시에 등장하는 많은 단어가 사전속 순우리말이라 점이,  다시말해 잠자고 있는 어휘를 캐낸 것은 우리시사에서 백석의 탁월한 업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반세기전의 우리말 시를 읽는 것임에도, 각주의 단어 해석이 없으면 곤란하다.

유럽의 제국주의적 팽창이래로 1500년만에 1만5천개에 달하는 구어는 6천여개로 줄었다고 한다. 그리고 살아남은 것중 90%는 세기말에 다시 소멸될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인류의 조상을 찾아서, 스펜서 웰스, 말글빛냄, 2007/08) 사투리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우리말을 잃어버리는 것쯤된다는 주장을 할 수는 없지만, 지난 50년동안 분단과 세계화의 이름아래 우리말이 크게 위축되고 있음은 분명하다.

 

마. 역사서설 : 아랍, 이슬람, 문명, 이븐 할둔, 까치, 2003/03

바. 무엇을 할 것인가?, 레닌, 박종철출판사, 1999/02

사. 지구의 미래로 떠난 여행(High Tide), 마크 라이너스, 돌베개, 2006/08

환경에 대한 고찰은 1)구체적인 사례를 근거로 할 것이며 2) 전지구적으로 생각할 것이나 한편으로 그 영향이 국소적으로는 치명적인 오염/질병/파괴를 가져올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아. 캐테 콜비츠, 캐테 콜비츠, 운디네, 2004/09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