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바 영역으로 건너뛰기

One-Way Communications


-1.
세상의 대부분의 것은 대칭에서 벗어나 있다.
왼쪽과 오른쪽 눈은 다르고, /짝궁뎅이/의 별명은 특정인의 것이 될 수 없다.
갑돌이는 갑순이를 좋아하지만, 갑순이는 엉뚱한 녀석한테 시집가며 눈물을 흘리니.

0.
대화의 방식 또한 서로 마주 보고 시선을 주고 받지만,
내 머리속에는 그가 한말의 절반정도나 들어오면 다행일테다.
한편으로는 이해할 수 없어서이고, 어떤 경우에는 딴 생각으로 가득할때도 많다.'대체 내 얘기를 듣고 있기나 한거니?'라는 한탄은 도처에 노정해 있다.
기억이 온전치 않아서, '(의도적인 아니라, 정말) 앗 기억이 나질 않아'라는 얘기를 해야
할때는 나의 기억저장소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지 걱정스러울 정도다.

1.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누군가와 함께 가) 대화를 하며 나) 메일을 주고 받으며
다) 침이 마르도록 반복하는, 젠장 이런 노력이 몽땅 수포로 돌아갈 수 있으니 황당한 노릇이다.
결국은  단방향의  외침을 기본으로, 가끔은 그에 대한 메아리가 울리기를 간절히 바라는 수밖에.

2.
반향이 없을 것을 미리 알고 있다면, 입을 닫아 버리는가? 개인적인 경험을 빌자면 전혀 그렇지 않다.
방문없는 불로그를 열심히 적는 사람도 있고, 일기(Diary)를 수십년동안 적어내는 사람도 있다.
일기는 몇년전의 발신자와 현재의 수신자가 근본적으로 다르며, 과거에서 현재로만 이어진다는
점에서 가장 그럴듯한 One-Way Communications의 일종이다.
'세상에 1년전에 그런 아픈 기억으로 힘들어 했구나'를 볼수 있지만, 그 과거를 어찌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3.
세상의 Asymmetric한 Interaction을 이해하고,
그에 맞춰 다각도로 수도없이 반복하는 인내만이 해결책일 수 있다.
백만번 반복하는 콜필드의 유머가 필요하다.

10^6.
비록 일방적이기는 하지만,
(대화의 본질이 비대칭임을 인정한다면),
죽은 사람과 대화하는 타임캡술 혹은 몇년전의 나와 대화하는 일기 등이 꽤 근사한 방식처럼 보인다.
페이스북에 공유하기

  • 제목
    그리운 지난 것 혹은 두려운 올 것로의 떠나기
  • 이미지
    블로그 이미지
  • 설명
    아무 얘기나 써볼까라고 생각한 2004년 7월 27일이 처음이었다.
  • 소유자
    REDONE

찾아보기

Support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