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쇠고기를 먹지 않는다. 아니다. 전혀 안 먹는 건 아니니, 거의 먹지 않는다는 표현이 옳겠다. 무슨 모임에서건 다들 먹겠다는데 나만 안 먹겠다고 버티는 것도 좀 그렇고, 생일날 어머니가 차려주시는 밥상에 올라온 쇠고기를 넣은 미역국을 마다할 수 없으니 일 년에 한두 번은 쇠고기를 안 먹을 수 없다. 그래도 나는 애써 찾아서 쇠고기를 먹으려고 하지는 않는다. 이를테면 누가 오늘은 설렁탕을 먹자 그러면 나는 오히려 돼지국밥을 먹자고 하는 식이다.

나는 채식주의자도 아니고 돼지고기는 또 잘 먹는 편이니 고기에 대해 분명 모순적인 잣대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사실 나처럼 어린 시절을 시골 촌구석에서 보낸 사람은 소와 어떤 식으로든 특별한 관계를 맺지 않을 수 없다. 시골집에서 누렁소는 친구이자 가족이었다. 그 때만 해도 소는 쟁기를 메고 논을 갈았다. 소가 없으면 농사를 지을 수 없었다. 나는 아주 어린 시절 학교에서 돌아오면 자주 마구간에서 소를 몰고 꼴을 먹이러 뒷산으로 나가곤 했다. 소의 뿔을 잡고 장난도 치고 한 번쯤은 소등에 타려다가 굴러 떨어지기도 했던 것 같다.

그렇게 지낸 소를 장에 내 놓기 위해 송아지만 남겨놓고 마구간에서 끌어내면 이놈도 자기가 팔려가는 줄 알고 음매음매 울며 마구간에서 버티며 나오지 않으려고 목을 자꾸 돌려 댔다. 나는 지금도 그 어미 소의 크고 둥글고 눈꼽이 끼긴 했지만 맑은 눈을 잊을 수 없다. 내가 개고기와 쇠고기를 먹지 않는 건 한 때 개와 소는 나의 친구이자 가족이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내가 여전히 육식을 외면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부끄럽기만 하다.


[작가회의 ‘촛불집회’ 릴레이기고] 이문재(경향신문 입력: 2008년 06월 13일 17:47:53)

-촛불은 시, 강력한 시였다-

결국 인터넷에서 보았다. 광화문(사실은 세종로다) 네거리와 청계 광장, 시청 앞 서울광장에서도, 서대문으로, 안국동으로 행진하면서도 찾지 못했던 구호를 블로그에서 만났다. 아스팔트 바닥을 찍은 한 장의 사진. 거기에는 이렇게 씌어 있었다. “소를 생명으로 존중할 때 광우병은 사라진다.”

촛불시위는 충격의 연속이었다. 여전히 레드 콤플렉스와 지역감정에 휘둘리는 전쟁세대만 놀란 것이 아니었다. 권위와 중심을 중시하는 기성세대만 경악한 것이 아니다. 유신세대와 386 사이에 끼여있는 나는 ‘한 시대가 갔다’며 시원섭섭해했다. 디지털 게릴라들도 스스로에게 놀랐을 것이다. 40여일 촛불이 타오르면서, 우리를 놀라게 한 것은 ‘그들’이 아니었다. 우리가 ‘우리’에게 놀랐다. 우리 아이들이 이렇게 똑똑하단 말인가, 우리 시민들에게 이런 자발성과 창의력과 실천력이 있었단 말인가, 대중들 안에 이렇게 다양한 ‘다중’이 있었단 말인가.

하지만 나는 조금 의아해했다. 지난해 하반기 국제 곡물가격이 폭등할 때, 우리 사회가 내놓은 최종적 대안은 외국에 식량기지를 건설하자는 것이었다. 쌀을 제외하면 식량 자급률이 5%도 안 되는 나라인데, 농업을 되살려야 한다는 목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았다. 5월 이후 주말마다 서울 한복판이 ‘촛불의 바다’로 변했지만, 축산업에 대한 반성은 주요 이슈가 되지 못했다. 먹거리 전반에 대한 성찰은 눈에 띄지 않았다. 인간 중심주의가 문제의 핵심이라는 근원적 지적에는 ‘댓글’이 거의 달리지 않았다.

광우병이 의심되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대운하 반대, 공기업 및 의료보험 민영화 반대, 교육의 시장화 반대…. 나 역시 반대한다. 그러나 내가 반대하는 이유는 조금 다르다. 이명박 정부를 탄생시킨 것은 경제 논리였다. 이명박 정부로 하여금 인수위를 꾸리자마자 가속 페달을 밟게 한 ‘배후 세력’도 경제 논리였다. “이명박은 물러가라”고 외치는 촛불들의 근거와 논리가 이명박 정부에 견주어 훨씬 합리적이지만, 그렇다고 촛불들이 경제 논리를 벗어난 것으로 보이지는 않았다. 촛불 정국을 단순화하면, 가진 자의 무자비한 경제논리와 가지지 못한 자의 합리적 경제논리가 대결하는 구도다. 경제논리가 공통분모인 것이다.

십수 년 전부터 나는 식탁이 문명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믿어왔다. 광우병 사태의 한 본질은 여전히 식탁이다. 미국산 쇠고기가 들어오지 않는다고 해도 먹거리 문제는 그대로 남는다. 만에 하나 정권이 퇴진한다고 해도 현재 수준의 경제 논리가 지속하는 한, 먹거리의 위험성은 해결되지 않는다. 현재 수준의 경제 논리란, 한 마디로 지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논리, 즉 산업 자본주의 문명을 작동시키는 논리를 말한다. 곡식이나 가축을 생명이 아니라 ‘공산품’으로 보는 시각, 지구를 무한히 사용할 수 있는 투자 대상으로 여기는 인식이 사라지지 않는 한 식탁은 안전해지지 않는다. 우리 몸이 중금속 저장고가 된다면, 다른 부문의 눈부신 풍요와 편리가 무슨 소용이 있단 말인가.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직시한 것 가운데 하나가 경제 논리의 묵시록적 미래라고 나는 생각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고민해야 할 주제는 경제 논리의 다음이다. 지구적 차원에서 보면, 경제 논리는 인간중심주의의 다른 이름이다. 반인간적이고 반생명적인 경제논리를 넘어서는 새로운 논리가 바로 생명 논리다. 인간과 인간, 인간과 생명이 서로 평화롭게 공존하는 세상을 건설하는 새로운 에너지가 생명 논리다.

촛불의 바다 한 가운데에서 나는 보았다. 세종로 네거리를 가로막은 컨테이너의 정면에다 “경축 명박산성”이라는 현수막을 내거는 ‘집단지성’의 창의력과 실천력을. 그것은 시, 사태의 본질을 꿰뚫는 강력한 시였다. 언어는 살아 있었다. 한 마디 언어가 세상을 움직였다. 여기에 ‘소를 생명으로 존중’하는 생명 논리가 가세한다면, 촛불은 우리의 식탁을 밝힐 것이다. 그때의 촛불은 정권 퇴진 차원을 넘어, 지금과는 다른 민주주의를 넘어, 문명사적 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이 될 것이다.

<이문재|시인>

진보블로그 공감 버튼트위터로 리트윗하기페이스북에 공유하기딜리셔스에 북마크
2012/01/09 13:07 2012/01/09 13:07
https://blog.jinbo.net/greenparty/trackback/172
YOUR COMMENT IS THE CRITICAL SUCCESS FACTOR FOR THE QUALITY OF BLOG POST
[로그인][오픈아이디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