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블로그 공감 버튼

1.  새로 생긴 블로그들을 둘러보다가

    슈아와 알엠 말고도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사람들이 이곳에 많다는 걸 알았다

    김희철 감독('진실의 문') 김환태 감독('708호 이등병의 편지' '총을 들지 않는 사람들' 등)

    박종필 감독('버스를 타자' 등) 그리고 또 누가 있더라...

    근데 다들 아직 글을 올리지 않고 있다

    그들이 새로 시작한 작업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사는 이야기도 들려주었으면 좋겠다

   

2. 내가 처음 카메라를 들었을 때는

    빨간눈사람(http://www.redsnowman.com/)이 유일한 친구였다

    2000년에 총선시민연대에서 취재를 하던 무렵

    오정훈, 이안숙 감독('낙선')을 만났고

    빨간눈사람 사무실에서 오색곰팡이(http://www.coloroutsider.org/ )를 만났다

    그 다음해에 푸른영상(http://docupurn.org/)에서 10주년기획단을 구성할 때

    촬영조수라도 하고 싶다고 영상물기획단에 참여했던 기억이 난다

    2002년에는 김미례 감독('노가다' 등)(http://mi-re.com/)과 '동행'이라는 작품의

    구성작업을 같이 했었고

    '동행'에서 촬영을 담당했던 이혜란 감독('평행선')도 알게 되었다

    2003년에 여성영상집단 '움'('거북이 시스터즈' '이반검열')과 인사를 나눴고

    2004년에 성혜란 감독('바그다드로 가는 길')을 만났다

   

3. 어쩌면 실례가 될 지도 모르는데

   내가 굳이 홈페이지까지 링크해가며 여러 감독들을 언급한 건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자라온 환경도, 관심있는 주제도, 작업을 시작한 동기도

  저마다 다 다른 사람들이지만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독립영화를 선택한 그들에게는

  한가지 공통점이 있다

  작품을 완성하는 것도 어렵지만 배급하기는 더 어렵다는 것

  독립영화를 방영하는 방송프로그램이나 정기상영회가 있지만

  해마다 발표되는 작품들은 대개 몇 몇 영화제에서 상영된 후에는

  겨우 1년만에 관객들 앞에서 조용히 사라진다

  비디오나 DVD를 제작하고 싶어도 수요가 얼마나 될 지 알 수 없어서

  영화제 상영 외에는 관객을 만날 방법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에도 아직 독립영화 전용관이 없는 지금

  한독협에 가입하지 않는다면

  오랜 역사를 가진 제작단체에 소속되지 않았다면

  제작과 배급에 대한 정보를 교류할 방법이 없는 것일까

  독립영화를 만드는 사람들과 보고 싶은 사람들의 연대라는 것은

  불가능한 것일까

 

4. 10월 29일과 30일,

   인디다큐페스티발 기간에 독립영화 배급에 대한 세미나와 마켓이 열렸다

   충주의 작은영화제를 비롯한 지역 상영회의 사례를 소개하고

   상영주체들과 감독(혹은 제작자)들이 만나는 자리가 마련되었는데

   준비한 사람들의 기획의도와 열의에 비해 참석율이 높지 않아서 안타까웠다

   지역에서 상영회를 추진하는 사람이나 외롭게 영화를 제작하는 사람이나

   네트워킹이 절실하다고 털어놓지만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아직은 없다

   한독협에서는 회원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배급위원회'를 추진하고 있지만 발족시일이 계속 연기되고 있고

   인적 물적 구성이 완결되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한국독립영화협회 http://www.kifv.org/ 에 새 게시판을 만들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단지 게시판 하나를 더 만든다고 해서

   지금까지 오랫동안 누적된 고민들이 갑자기 해결될 것 같진 않다

   내가 아는 감독들 중에는 한독협 회원도 있고 비회원도 있으며

   배급위원회에 참여할 수 있는 사람이 있고 관심이 있어도 참여할 수 없는 사람이 있다

   상영료를 정해서 철저하게 원칙을 고수하는 사람도 있고

   그 때 그 때 타협하느라 무료상영을 거듭하는 사람도 있다

   독립영화 한 편을 발표하고 나서 겪게 되는 이 다양한 경험들을

   스스럼없이 털어놓으면서 합의점을 모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방법은 없을까

   누군가 나서서 고양이에게 방울을 달아야만 하는 걸까

 

5. 가능한 사람들부터

    진보넷에서 블로그를 만든 사람들부터

    그리고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 사람들부터

    아주 사소한 경험이라도 공유하기 시작한다면

    막막한 현실에 작은 숨구멍 하나 찾을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은 일단 나눠야 할 시간

    준비됐나요?

 

 

    

  


2005/11/03 01:26 2005/11/03 01:26